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열하일기 - 하

열하일기 - 하

박지원 (지은이), 이가원 (옮긴이)
명문당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27,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700원
24,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5개 2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열하일기 - 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열하일기 - 하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91757941
· 쪽수 : 1248쪽
· 출판일 : 2023-10-27

책 소개

「열하일기」는 연암 박지원이 44세(1780년) 때에 8촌(삼봉) 형인 박명원이 청나라 건륭제의 칠순연을 축하하기 위한 사은겸진하정사로 연경에 사신 갈 때 따라갔다가 청조치하의 북중국과 남만주 일대를 견문하고, 그곳 문인, 명사들과의 교류 및 문물제도를 접한 결과를 소상하게 기록한 견문기이다.

목차

일러두기

1. 양매시화(楊梅詩話)

양매시화서(楊梅詩話序)

2. 동란섭필(銅蘭涉筆)

동란섭필서(銅蘭涉筆序)

3. 옥갑야화(⽟匣夜話)

옥갑야화(⽟匣夜話)
허생전(許⽣傳)
허생 후지(許⽣後識)Ⅰ
허생 후지(許⽣後識)Ⅱ
차수평어(次修評語)

4. 행재잡록(⾏在雜錄)

행재잡록서(⾏在雜錄序)
반선사 후지(班禪事後識)
동불사 후지(銅佛事後識)
행재잡록 후지(⾏在雜錄後識)
중존평어(仲存評語)

5. 금료소초(⾦蓼⼩抄)

금료소초서(⾦蓼⼩抄序)
부(附)

6. 환희기(幻戲記)

환희기서(幻戲記序)
환희기 후지(幻戲記後識)

7. 산장잡기(⼭莊雜記)

야출고북구기(夜出古北⼝記) 밤에 고북구를 나서며
야출고북구기 후지(夜出古北⼝記後識)
일야구도하기(⼀夜九渡河記) 하룻밤에 아홉 번 강을 건너다
만국진공기(萬國進貢記)
만국진공기 후지(萬國進貢記後識)
상기(象記) 코끼리 이야기
승귀선인행우기(乘⿔仙⼈⾏⾬記) 거북을 탄 신선이 비를 뿌리다
만년춘등기(萬年春燈記) 만년춘의 등불
매화포기(梅花砲記)
납취조기(蠟嘴⿃記)
희본명목기(戲本名⽬記) 희곡 대본의 목록

8. 구외이문(⼝外異聞)

반양(盤⽺)
채요(彩鷂)와 호접(蝴蝶)
고려주(⾼麗珠) 고려 구슬
숭정 상신(崇禎相⾂)
이상아(伊桑阿)와 서혁덕(舒赫德)
왕진의 무덤[王振墓]
조조의 수장[曹操⽔葬]
위충현(魏忠賢)
양귀비의 사당[楊貴妃祠]
『초사(樵史)』
주각해(麈⾓解) 고라니 뿔이 빠지다
하란록(荷蘭⿅) 네덜란드 사슴
사답(砟答) 타조의 알
입정승(⼊定僧)
별단(別單) 비공식 문서
등즙교석(籐汁膠⽯) 돌을 붙이는 등나무 즙
조라치(照羅⾚)
원사천자명(元史天⼦名)
만어(蠻語)
여음리(麗⾳離)와 동두등절(東頭登切)
병오 을묘 설날의 일식[丙午⼄卯元朝⽇蝕]
육청(六廳)
삼학사가 살신성인한 날[三學⼠成仁之⽇]
요즘의 중국 명사[當今名⼠]
명련자봉왕(明璉⼦封王) 한명련의 아들을 왕으로 봉하다
고아마홍(古兒⾺紅)
『동의보감(東醫寶鑑)』
심의(深⾐) 선비의 옷
나약국의 국서[羅約國書]
불교 서적[佛書]
황명 마패(皇明⾺牌)
합밀왕(哈密王)
서화담집(徐花潭集)
장흥루판(⾧興鏤板)
주한(周翰)과 주앙(朱昻)
무열하(武列河)
옹노후(雍奴侯)

순제묘(順濟廟)
해인사(海印寺)
4월 초파일 방등[四⽉⼋⽇放燈]
다섯 현의 비파[五絃琵琶]
사자(獅⼦)
강선루(降仙樓)
이영현(李榮賢)
왕월의 시권[王越試券]
천순 7년 회시 때 공원에서 난 불[天順七年會試貢院⽕]
신라호(新羅⼾)
증고려사(證⾼麗史)
조선 모란(朝鮮牡丹)
애호(艾虎)
십가소(⼗可笑)
자규(⼦規) 접동새
경수사 대장경 비략(慶壽寺⼤藏經碑略)
황량대(謊糧臺)
호원이학지성(胡元理學之盛) 오랑캐 원나라 이학의 성황
배형(拜荊) 가시나무에 절하다
환향하(還鄕河)
계원필경(桂苑筆耕)
천불사(千佛寺)

9. 황도기략(⿈圖紀略)

황성 9문(皇城九⾨) 북경의 아홉 개 성문
서관(西館) 사신의 숙소
금오교(⾦鰲橋)
경화도(瓊華島)
토원산(兔園⼭)
만수산(萬壽⼭)
태화전(太和殿)
체인각(體仁閣)
문화전(⽂華殿)
문연각(⽂淵閣)
무영전(武英殿)
경천주(擎天柱) 하늘을 떠받치는 기둥
어구(御廐) 황제의 마구간
오문(午⾨)
묘사(廟社) 종묘와 사직
전성문(前星⾨)
오봉루(五鳳樓)
천단(天壇)
호권(虎圈) 호랑이 우리
천주당(天主堂)
양화(洋畵)
상방(象房) 코끼리 우리
황금대(⿈⾦臺)
황금대 이야기[⿈⾦臺記]
옹화궁(雍和宮)
대광명전(⼤光明殿)
구방(狗房) 개 우리
공작포(孔雀圃)
오룡정(五⿓亭)
구룡벽(九⿓壁)
태액지(太液池)
자광각(紫光閣)
만불루(萬佛樓)
극락세계(極樂世界)
영대(瀛臺)
남해자(南海⼦)
회자관(回⼦館)
유리창(琉璃廠)
채조포(綵⿃舖)
화초포(花草舖)

10. 알성퇴술(謁聖退述)

순천부학(順天府學)
태학(太學)
학사(學舍)
역대의 비석[歷代碑]
명나라 진사 제명비[明朝進⼠題名碑]
석고(⽯⿎) 돌로 만든 북문 승상의 사당[⽂丞相祠]
문 승상 사당 이야기[⽂丞相祠堂記]
관상대(觀象臺)
과거 시험장[試院]
조선관(朝鮮館)

11. 앙엽기(盎葉記)

앙엽기서(盎葉記序)
홍인사(弘仁寺)
보국사(報國寺)
천녕사(天寧寺)
백운관(⽩雲觀)
법장사(法藏寺)
태양궁(太陽宮)
안국사(安國寺)
약왕묘(藥王廟)
천경사(天慶寺)
두모궁(⽃姥宮)
융복사(隆福寺)
석조사(⼣照寺)
관제묘(關帝廟)
명인사(明因寺)
대륭선호국사(⼤隆善護國寺)
화신묘(⽕神廟)
북약왕묘(北藥王廟)
숭복사(崇福寺)
진각사(眞覺寺)
이마두의 무덤[利瑪竇塚]

12. 천애결린집(天涯結隣集)

풍승건 편지[馮乘騝書]
선가옥 편지[單可玉書]
유세기 편지[兪世琦書]
하란태 편지[荷蘭泰書]

13. 한문소설(漢⽂⼩說)

마장전(⾺駔傳)
예덕선생전(穢德先⽣傳) 엄 행수가 환경 미화하던 이야기
민옹전(閔翁傳) 민영감이 도통했던 이야기
양반전(兩班傳) 양반을 사고팔던 이야기
김신선전(⾦神仙傳) 신선되려고 벽곡(辟穀)했다는 이야기
광문자전(廣⽂者傳) 거지가 출세하여 거부가 된 이야기
광문전 뒤에 붙이다[書廣⽂傳後]
우상전(虞裳傳) 우상이 일본을 구경한 이야기
열녀함양박씨전(烈⼥咸陽朴⽒傳) 열녀의 고독과 고뇌

■ 찾아보기

저자소개

박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후기의 탁월한 문장가이자 실학자다. 박사유(朴師愈)와 함평(咸平) 이씨(李氏) 사이에서 2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6세에 처사 이보천(李輔天)의 딸과 결혼했다. 장인에게는 《맹자》를, 처삼촌 이양천(李亮天)에게는 《사기(史記)》를 배워 본격적인 학문을 시작했다. 처남인 이재성(李在誠)과는 평생의 문우(文友) 관계를 이어 갔다. 청년 시절엔 세상의 염량세태에 실망해 불면증과 우울증으로 고생했으며 이러한 성장 배경을 바탕으로 진실한 인간형에 대해 모색한 전(傳) 아홉 편을 지어 《방경각외전(放?閣外傳)》이라는 이름으로 편찬했다. 영조 47년(1771) 마침내 과거를 보지 않기로 결심하고 서울 전의감동(典醫監洞)에 은거하면서 홍대용, 이덕무, 박제가, 유득공을 비롯한 많은 젊은 지식인들과 더불어 학문과 우정의 세계를 펼쳐 갔다. 정조 2년(1778) 홍국영이 세도를 잡고 벽파를 박해하자 생명에 위협을 느끼고 황해도 금천군(金川郡)에 있는 연암협(燕巖峽)으로 피신해 은둔 생활을 했다. 연암이라는 호는 이 골짝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정조 4년(1780)에 삼종형(三從兄)인 박명원(朴明源)의 연행(燕行) 권유를 받고 정사의 반당 자격으로 북경에 가게 되었다. 이때 건륭 황제가 열하에서 고희연을 치르는 바람에 조선 사신 역사상 처음으로 열하에 가는 행운을 얻게 되었다. 연행을 통해 깨달음을 확대한 연암은 여행의 경험을 수년간 정리해 《열하일기》를 저술했다. 정조 10년(1786) 유언호의 천거로 음사(蔭仕)인 선공감(繕工監) 감역(監役)에 임명되었다. 정조 13년(1789)에는 평시서주부(平市署主簿)와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를 역임했고, 정조 15년(1791)에는 한성부 판관을 지냈다. 그해 12월 안의현감에 임명되어 다음 해부터 임지에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때 정조 임금이 문체를 타락시킨 장본인으로 《열하일기》를 쓴 연암을 지목하고는 남공철을 통해 순정한 글을 지어 바치라 명령했으나 실제로 응하지는 않았다. 정조 21년(1797) 61세에 면천군수로 임명되었다. 이 시절에 정조 임금에게 《과농소초(課農小抄)》를 지어 바쳐 칭송을 들었다. 1800년 양양부사로 승진했으며 이듬해 벼슬에서 물러났다. 순조 5년(1805) 10월 20일 서울 가회방(嘉會坊)의 재동(齋洞) 자택에서 깨끗하게 목욕시켜 달라는 유언만 남긴 채 세상을 떠났다. 선영이 있는 장단(長湍)의 대세현(大世峴)에 장사 지냈다. 박지원의 문학 정신은 ‘법고창신(法古創新)’이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옛것을 본받되 변화를 알고 새롭게 지어내되 법도를 지키라”는 의미다. 그는 문학의 참된 정신은 변화의 정신을 바탕으로 창조적인 글을 쓰는 데 있다고 생각했다. 비슷하게 되려는 것은 참이 아니며, ‘닮았다’고 하는 말 속엔 이미 가짜가 들어 있다는 것이다. 연암은 억지로 점잖은 척 고상한 글을 써서는 안 되며 오직 진실한 마음으로 대상을 참되게 그려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하여 그는 틀에 박힌 표현이나 관습적인 문체를 거부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문체를 지향했다. 나아가 옛날 저곳이 아닌 지금 여기를 이야기하고자 했다. 중국이 아닌 조선을, 과거가 아닌 현재를 이야기할 때 진정한 문학 정신을 구현할 수 있다고 믿었다. 연암의 학문적 성취와 사상은 《열하일기》에 집대성되어 있다. 《열하일기》에서 연암은 이용후생의 정신을 기반으로 청나라의 선진적 문물을 받아들여 낙후된 조선의 현실을 타개하자는 주장을 펼침으로써 북학파를 대표하는 학자로 우뚝 서게 되었다. 연암은 《열하일기》 외에도 《방경각외전》, 《과농소초》, 《한민명전의(限民名田議)》 등을 직접 편찬했다. 연암의 유고는 그의 아들 박종채에 의해서 정리되었는데 아들이 쓴 〈과정록추기〉에 의하면 연암의 유고는 문고 16권, 《열하일기》 24권, 《과농소초》 15권 등 총 55권으로 정리되었다. 《열하일기》는 오늘날 완질은 2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암의 작품은 대부분이 문(文)이며 시(詩)는 50여 편이 전한다.
펼치기
이가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17년 경북 안동에서 출생. 아호는 연민이다. 성균관대학교 중문과 교수 및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를 역임했다. 「연암소설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저서로는 한문 문집 다수와 「금오신화 역주」, 「중국문학사조사」, 「한문학연구漢文學硏究」 등을 포함하여 수십 권의 저서를 펴냈다. 특히 1986년 「열하일기」 원본, 정선의 산수화 등 3만여 점을 단국대학교 부설 퇴계학연구소에 기증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