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91851816
· 쪽수 : 988쪽
· 출판일 : 2023-12-07
책 소개
목차
그림 목록
지도
한국어판 서문
서론: 오늘의 성서
문화와 성서|신앙 공동체의 성서|고대와 현대|이 책의 개요
1부 구약
1장 고대 이스라엘: 역사와 언어
성서의 이야기|현대에 재구성한 이스라엘 역사|‘구약’이라는 말|구약 성서의 언어
2장 히브리 내러티브
히브리 내러티브의 세 스타일|함께 엮어 짬|일차 역사와 다른 내러티브들|히브리 내러티브의 목적
3장 율법과 지혜서
히브리 성서와 고대 근동이 말하는 지혜|회의(懷疑)하는 지혜|의인화된 지혜|고대 근동의 정황에서 살펴본 히브리 율법|십계명|선한 행위를 요구하는 동기|율법의 정경화|토라를 사람에 빗댐
4장 선지서
선지자들과 그들의 책|이사야서의 성장|선지서들의 편집|최종 완결된 형태
5장 시와 시편
시편|시편 사용|전례 중심의 시편 해석|시편의 순서|시편의 주제들|유대교와 기독교의 시편 읽기
2부 신약
6장 기독교의 시작
역사적 맥락|헬레니즘|요세푸스|필론|언어|종교 분파와 당파|그리스도인의 기록: 세 단계
7장 서신서
바울과 부활|예수가 곧 하나님의 아들임을 논증하는 바울|교회 질서|바울과 사도행전|바울과 이신칭의|저자
8장 복음서
공관복음|공관복음 문제|공관복음서는 언제, 어디서, 누구를 위해 기록했는가|요한복음|복음서의 목적|네 복음서
3부 성서와 그 텍스트
9장 책들에서 성서로
히브리 성서에 관한 합의|‘손을 더럽힘’|히브리 성서 형성의 초기 단계들|경(經)과 정경: 외경|유대인과 그리스도인의 성서 인식|정경인 책과 정경이 아닌 책?
10장 그리스도인과 그들의 책
이레나이우스, 그리고 역사 기록인 신약 성서|두루마리와 코덱스|신약이라는 성서|구약이라는 기독교 책|조화|신성한 이름|2세기의 신약 성서
11장 공식 텍스트와 비공식 텍스트
정경을 정의함|제외된 책|사도 뒤를 이은 교부들|정경이 아닌 다른 텍스트들
12장 성서 사본
신약 성서|히브리 성서|본문 변이와 원문
4부 성서의 의미
13장 성서의 주제
기독교의 성서 읽기|유대교의 성서 읽기|유대교의 성서 읽기와 기독교의 성서 읽기를 화해시킨다?|유대교의 히브리 성서 해석|옛것과 새것|신약 성서 읽기|성서에서 한 주제를 찾아내려는 탐구
14장 랍비와 교부
랍비들의 해석 원리|그리스도인의 해석 방법들|성서학자 오리게네스|안티오키아학파|서방의 성서 해석|교부들의 접근법
15장 중세
한 책인 성서|성서 해석: 기독교의 접근법|주석과 해주|유대교 주석
16장 종교개혁과 종교개혁의 성서 읽기
종교개혁의 전조들|루터의 개혁|개혁파 전통|오직 성서|성서들
17장 계몽주의 이후
스피노자 뒤를 따른 해석자들|젬러|라이마루스와 슈트라우스|파트케, 벨하우젠, 바우어|성서와 과학|현대의 성서 연구
18장 성서 번역
히브리 성서의 그리스어 역본들|아람어 역본들|라틴어 역본들|다른 역본들|종교개혁 때 나온 역본들|근현대의 역본들|옛 역본들을 개정한 역본들|신선한 역본들|모방 역본들|몇 가지 쟁점
결론: 성서와 믿음
믿음과 성서|성서에 있는 책들의 장르|위명 저작|두 언약?|영감|본문의 유동성|성서와 전통|성서의 필수불가결성
감사의 말
해제: 모두를 위한 성서의 모든 것
옮긴이의 말
주(註)
더 읽을 자료
참고 문헌
성서 구절 색인
용어 색인
리뷰
책속에서


“시편의 시인은 하나님이 그가 창조하신 인간을 돌보는 데 놀라는 반면, 욥은 하나님이 피조물인 인간에게 과도한 관심을 쏟아 붓는 바람에 오히려 그 관심이 달갑지 않다며 불평한다. 욥기에서 시종일관 토론하는 주제는 분명 아무 죄도 없고 경건한 사람 욥이 어찌하여 극도의 병고를 겪고 처참하게 무너지며 조롱을 당하는가다. 욥의 친구들은 이런 수수께끼에 잠언의 일반적인 분위기와 궤를 같이하는 대답들을 풀어놓는다.”
“이 두 그룹은 똑같이 내부의 지체들과 지체가 아닌 외부인을 분명하게 구분하는 경계 표지를 그어 놓고 활동했다. 두 그룹은 히브리 성서에 상당히 비슷한 태도를 보였으며, 히브리 성서가 해당 공동체가 영위하던 삶 속에서 일어난 일을 예언한다고 보았다. 쿰란의 그룹과 초기 그리스도인 모두 그들 자신을 참 ‘이스라엘’로 보면서, 자신들이야말로 참 이스라엘이라 주장하던 대다수 유대인에 맞서 자신들을 구별하곤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