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하곡학파의 정치평설, 『원론』

하곡학파의 정치평설, 『원론』

이충익, 이건창, 이건방 (지은이), 김윤경 (옮긴이)
문사철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750원
14,250원 >
13,5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350원
1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하곡학파의 정치평설, 『원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하곡학파의 정치평설, 『원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91192239293
· 쪽수 : 174쪽
· 출판일 : 2023-04-20

책 소개

판단부터 주장의 정합성 검토에 이르기까지, 거짓 정보를 걸러내는 능력이 현대인의 필수적인 소양이 되었다. 그러나 오래 전부터 우리 사회 안에는 거짓과 위선을 판별하는 능력을 중시하고 허위의 풍조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조선의 양명학을 대표하는 하곡학파의 「원론(原論)」이 그것이다.

목차

서문
차례

본문
Ⅰ. 이충익, 『초원유고(椒園遺藁)』
1. 「가설(假說)」 상
2. 「가설(假說)」 하
3. 「군자지과설(君子之過說)」
Ⅱ. 이건창, 『명미당집(明美堂集)』, 권11 「論」 「원론(原論)」
Ⅲ. 이건방, 『난곡존고(蘭谷存稿)』 권6 「문록(文錄)」
1. 「원론(原論)」
2. 「원론(原論)」
3. 「원론(原論)」
4. 「속원론(續原論)」

해제
Ⅰ. 하곡학파의 「원론(原論)」에 나타난 역사인식과 사회비판론
1. 서론 84
2. 이충익의 「가설(假說)」과 공론(公論)의 왜곡 비판
3. 이건창의 「원론(原論)」과 명의(名義)의 사유화 비판
4. 이건방의 「원론(原論)」과 진가(眞假) 비판론의 정립
5. 결론
참고문헌

원문
Ⅰ. 『椒園遺藁』
1. <假說> 上
2. <假說 下>
3. <君子之過說>
Ⅱ. 『明美堂集』, 卷11 「論」 <原論>
Ⅲ. 『蘭谷存稿』 卷6 「文錄」
1. 〈原論〉 上
2. 〈原論〉 中
3. <原論> 下
4. <續原論>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건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세기 후반 대내외적인 변혁의 시대에 관료이자 문장가로서 이름을 떨친 인물이다. 본관은 전주이고, 조선의 2대 왕 정종의 후손으로서 인조대 이경직(李景稷)은 판서, 이경석(李景奭)은 영의정까지 지낸 집안이었다. 그의 조상들은 숙종대 소론으로 좌정하여 경종.영조대까지 소론 탕평파로 활약하다가 노론의 공격을 받고 1755년 을해옥사 이후 조정에 진출하지 못하였다. 그는 학문적으로 양명학을 가학으로 물려받은 강화학파(江華學派)에 속하였다. 순조대 그의 조부 이시원(李是遠)이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이조판서까지 이르렀지만, 1866년 병인양요 당시 그 형제가 자결하는 비극을 겪었다. 그는 15세에 조부의 순절(殉節)을 기리는 과거에 최연소로 합격하여 조정에 진출한 뒤 청현직을 두루 역임하였지만 현실 정치와 불화하여 세 번이나 유배당하는 곤경을 당했다. 조부 이시원의 작업을 이어서 <당의통략>을 저술하여 그 집안의 정치적 입장을 정리하였다.
펼치기
이충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44∼1816. 자는 우신虞臣이고 호는 초원椒園?수관거사水觀居士이다. 당색은 소론으로, 집안이 영조 즉위 후 몰락하면서 강화도로 옮겨가 하곡학파(강화학파)의 형성에 큰 기여를 한 이광명?이광려에게 학문을 배웠다. 그는 유학 이외에 노자?장자?불교?의학의 핵심을 알았으며 서법과 문장에 뛰어났으나, 집안이 당쟁의 화를 입어 벼슬길에 나갈 수 없었다. 저서로는 문집 『초원유고』와 『노자』 주석서인 『초원담노』가 있으며, 스승이자 친족인 이광려의 문집 『이참봉집』을 간행하였고, 하곡학파의 일원인 이영익, 이긍익, 신대우, 신작 등과 교유하였다.
펼치기
이충익의 다른 책 >
이건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건창의 종형제로서 후기 하곡학파에 속한다. 어릴 때부터 종형제인 이건창, 이건승과 함께 학문을 익혔 다. 24세에 진사시에 합격했지만 벼슬하지 않고, 홀 로 남겨진 친어머니와 양어머니를 봉양하는 데 힘썼 다. 시대착오적인 은둔 선비를 비판했고, 정인보에게 하곡학을 전수하였다. 저서로 『난곡존고(蘭谷存稿)』가 있다.
펼치기
김윤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박사(한국유가철학). (現)조선대학교 연구교수 <저서> 「청소년을 위한 한국철학사」(2007). 「생각이 크는 인문학(공부편)」(2013). 「(초등학교)더불어 나누는 철학」(2015, 공저) <주요논문> 하곡 철학의 조선성리학적 기반(2013). 정인보 ‘조선얼’의 정체성(2016). 19세기 조선 성리학계의 양명학 비판양상(2017). 근대기 현실인식과 개혁에 관한 불교와 하곡학의 교섭(2017). 조선후기 주자학과 양명학의 知行논변과 그 함의(2018). 근대전환기 實心實學의 다층적 함의(2019) 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