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

(중판)

고원석, 김기승, 김윤경, 김정인, 박의수, 박재순, 송순재, 우정길, 유재봉, 이우진, 정경화, 정혜정, 한현정, 황금중 (지은이), 한국교육철학학회 (엮은이)
박영스토리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000원 -0% 0원
780원
25,220원 >
26,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600원
23,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200원 -10% 910원 15,470원 >

책 이미지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 (중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5190545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4-11-19

목차

주권상실기 안창호의 교육운동과 교육사상 2
조소앙의 삼균주의와 교육사상 32
한국근대기 박은식의 교육문명 전환의 철학과 실천 62
단재 신채호의 민족에 대한 상상과 영웅 106
심산 김창숙의 교육사상 ? 민족주의, 민주주의, 유교교육 운동을 중심으로 134
정인보의 교육사상과 민족교육 162
약자를 위한 저항과 계몽 ? 양한나의 독립·자립·돌봄의 정신을 중심으로 198
근우회 여성운동가들의 교육계몽론 220
천도교 신문화운동과 방정환의 교육사상 ? 1920년대 천도교의 사회주의 수용을 중심으로 244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시민교육 266
이승훈의 삶에 대한 기독교교육학적 함의 302
함석헌의 ‘인간’교육사상 332
인간교육을 위한 김교신의 철학과 방법 368
일제강점기 교육사상가 연구의 현황과 전망 408

저자소개

김기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現)순천향대학교 향설나눔대학 교수 <저서> 「한국근현대 사회사상사 연구」(1994). 「조소앙이 꿈꾼 세계」(2003). 「21세기에도 우리문화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2003, 공저). 「제국의 황혼」(2011, 공저). 「고불 맹사성의 생애와 사상」(2014). 「아산의 독립운동사」(2014, 공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론가 조소앙」(2015). 「유림 독립운동의 상징 심산 김창숙」(2017) 등 <주요논문> 신채호의 독립운동과 역사인식의 변화(2010). 4월혁명과 한국의 민족주의(2010). 심산 김창숙의 사상적 변화와 민족운동(2012). 한국독립당의 정치노선과 통일(2012). 도산 안창호의 대공주의와 조소앙의 삼균주의 비교 연구(2015). 언론에 나타난 신간회 해체 논쟁의 전개과정(2018). 20세기 초 독립운동가들의 사회진화론 극복과 평화사상 형성(2019). 조소앙과 ‘적자보’ 연구(2020) 외 다수
펼치기
박의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교육학 박사, (전)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현)강남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저역서> 도산 안창호의 생애와 교육사상(저서), 루돌프 슈타이너의 교육론(공역), 율곡 교육사상의 인식론적 연구(논문) 외 다수.
펼치기
김정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대학원에 진학하여 한국 근대사를 전공했다. 천도교 근대 민족운동을 주제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한국 민주주의 역사와 대학사를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역사 대화에 관심을 갖고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민주주의의 눈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재해석·재구성한 ‘민주주의 한국사’ 3부작을 기획·출간해왔다. 19세기부터 3·1운동과 민주공화정의 탄생까지를 다룬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2015), 3·1운동 이후부터 해방 직후까지 독립운동사를 담은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2017)에 이어, 해방 이후부터 21세기 촛불시위까지 현대 민주주의의 역사를 다룬 《모두의 민주주의》는 3부작을 완결 짓는 책이다. 그 외에 지은 책으로 《오늘을 마주한 3·1운동》, 《대학과 권력》, 《역사전쟁, 과거를 해석하는 싸움》, 《천도교 근대 민족운동 연구》 등이 있으며, 함께 쓴 책으로 《공공역사를 실천 중입니다》, 《여성 단체들의 독립운동》, 《한국 근대사 연구의 쟁점》, 《저항의 축제 해방의 불꽃, 시위》, 《87년 이후 35년의 한국 민주주의》,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교과서와 역사 정치》, 《간첩 시대》, 《동아시아사 입문》, 《미래를 여는 역사》,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근현대사 1, 2》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정인의 다른 책 >
송순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와 감리교신학대에서 각각 교육학과 조직신학을 공부하고, 독일 튀빙겐대학교에서 ‘에두아르트 쉬프랑어의 깨우침의 개념’에 관해 교육철학 논문을 썼다. 감리교신학대학교 은퇴교수, 서울시교육연수원장,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회장 등을 역임. 우리 교육의 변화를 위해 ‘교육사랑방’, ‘학교교육연구회’, ‘삶을 위한 교사대학’ 등을 공동 설립·운영하는 등 대안교육 운동과 혁신학교 운동에 다년간 참여해 왔다. 교육철학과 기독교종교교육학 분야에서 여러 논문을 발표했으며, 저서로 『상상력으로 교육에 말 걸기』, 『덴마크 자유교육』(편저), 『미래학교, 공간과 문화를 짓다』(공저), 역서로 『꿈의 학교, 헬레네 랑에』, 『꼬마 키티 이야기』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윤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박사(한국유가철학). (現)조선대학교 연구교수 <저서> 「청소년을 위한 한국철학사」(2007). 「생각이 크는 인문학(공부편)」(2013). 「(초등학교)더불어 나누는 철학」(2015, 공저) <주요논문> 하곡 철학의 조선성리학적 기반(2013). 정인보 ‘조선얼’의 정체성(2016). 19세기 조선 성리학계의 양명학 비판양상(2017). 근대기 현실인식과 개혁에 관한 불교와 하곡학의 교섭(2017). 조선후기 주자학과 양명학의 知行논변과 그 함의(2018). 근대전환기 實心實學의 다층적 함의(2019) 외 다수
펼치기
박재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한신대학교 신학과 박사, 한신대 연구교수, 성공회대 겸임교수. ◦ 씨ᄋᆞᆯ사상연구회 초대 회장, 재단법인 씨ᄋᆞᆯ상임이사 역임, 현재 씨ᄋᆞᆯ사상연구소장. ◦ 2008년 세계철학자 대회 ‘유영모, 함석헌 철학 발표회’ 주관. ◦ 2009년 한일철학대회 ‘씨ᄋᆞᆯ철학과 공공철학의 대화’ 주관. 저서 <다석 유영모의 철학과 사상>, <함석헌의 철학과 사상>, <삼일운동의 정신과 철학>, <애기애타: 안창호의 삶과 사상>, <애국가 작사자 도산 안창호>. <도산철학과 씨ᄋᆞᆯ철학>, <인성교육의 철학과 방법>, <바닥에서 하나님을 만난 사람>, <인간 ․ 역사 교육과 어린이 교육>, <큰 사상가 다석 유영모 이야기> 논문 도산 안창호의 마을공화국 철학(한국행정연구원 발표)
펼치기
고원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 교수, 비블리오 드라마 교육연구소장으로 섬기고 있습니다. 젊은이들과 함께 성경 속 하나님 나라의 비밀을 발견하며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 성장하는 교육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독일 본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성경아 놀자』(한사람), 『현대 기독교교육 방법론』(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등의 저역서가 있습니다.
펼치기
이우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왕양명 공부론의 교육학적 해석」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Korean Edcuation : Thought, System and Content』 등이 있고, 역서로는 『동아시아 양명학의 전개』, 『야누시 코르차크 : 정의를 위한 교육』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신유학의 아동교육(1~2)」, 「Changes in the image of the ideal teacher in Korea」 등이 있다.
펼치기
우정길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독일 Justus-Liebig-Univ. Giessen(Dr. Phil.). 독일 Justus-Liebig-Univ. Giessen 전임연구강사(Wiss. Mitarbeiter) 및 강의전임(LfbA) 역임. 현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저서> Handbuch der Erziehungswissenschaft(2007, 공저). Lehren und Lernen mit Bildern(2010, 공저). Lernen und Kultur(2010, 공저). ??포스트휴머니즘과 인간의 교육??(2019. 세종우수도서).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학??(2019, 공저. 세종우수도서). Confucian Perspectives on Learning and Self-Transformation(2020, 공저). ??일제강점기, 저항과 계몽의 교육사상가들??(2020, 공저). ??한나 아렌트와 교육의 지평??(2020, 공저.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학??(2021, 편저) <역서> ??마틴 부버의 교육강연집??(2010)
펼치기
황금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이며, 교육과학대학 학장의 일도 맡고 있다. 주자학 및 유교 전반의 교학론, 도가와 불교의 교육사상, 한국교육사상사, 그리고 마음교육 등의 주제 영역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및 교육 활동을 이어 오고 있다. 교육철학 및 교육사 관련 학회들을 기반으로 공부해 왔으며 한국교육사학회장을 역임했다.
펼치기
유재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영국 런던 대학교(현 UCL Institute of Education)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교육학 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관심 분야는 현대교육철학이론, 교육과정 철학, 종교교육철학 등이다.
펼치기
정경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Columbia University, Teachers College(Ph.D.) (現)숙명여자대학교, 부산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강사 <저서> Teaching, Learning, and Schooling in Film(2015, 공저) <주요논문>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적 덕’과 ‘성품적 덕’ 개념을 통해 본 ‘선한 이’의 도덕적 지각 (2015). 니체의 두 가지 도덕과 현대의 학교교육: 학교의 사회화 기관으로서의 재구조화(2019) 외 다수
펼치기
한현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일본 東京大學대학원(철학박사). (現)창신대학교 교수 <저서> 「일본의 재난방지 안전안심교육」(2017, 공저). 「해외의 영유아교육」(2018, 공저) <역서> 「教育の哲学」(2006, 공역) <주요논문> 植民地朝鮮の児童雑誌研究 ― 「オリニ」 読者欄を中心に(2013). Adventure Stories and Geographical Imagination in Japanese and Korean Children’s Magazines, 1925-1945 (2015). 일본 초등교과서에 나타난 지진재해 관련서술의 변천(2017). 세계인식 형성에 있어서 교과서의 삽화의 역할(2017) 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