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자기계발
· ISBN : 9791192444925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4-05-0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교시 개성이란 무엇인가
잡초 키우기는 어렵다?│늦게 나는 싹도 가치가 있을까│자연계는 개성이 풍부하다│민들레꽃 색깔에 개성이 없는 이유│개성은 ‘필요’해서 갖게 되는 생존 전략│감자의 비극│개성이 전무한 세계의 모습│개성과 사회성의 공존│수십억 명이 사는 세상에 똑같은 얼굴이 없는 이유│개성의 가짓수는 무한대│DNA 98%의 역할│일란성 쌍둥이라도 태어나는 순간 다른 개성을 갖는다
2교시 보통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많음’을 싫어한다│인간 뇌의 한계│인간이 ‘많음’을 이해하는 방법│인간이 세상을 이해하는 잣대│균일화된 세상에서 잃어버린 가치│‘평균’은 비교하기 위해 인간이 만들어 낸 아이디어│자연계의 불균일성│‘보통’이라는 이름의 환상│아웃사이더가 진화를 만든다│다르다는 데 의미가 있다│자로 잴 수 있는 것과 잴 수 없는 것
3교시 구별이란 무엇인가
자연계에는 구별이 없다│산의 경계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가│돌고래와 고래 사이에는 경계가 없다?│인간과 원숭이의 경계선│생물은 분류할 수 있다? 없다?│민들레와 나비와 나│우리의 뇌는 비교하려 든다│구별과 차별에 대하여│무지개는 몇 가지 색일까│꽃은 다채로울 때 더 아름답다
4교시 다양성이란 무엇인가
유전적 다양성과 종의 다양성│꽃이 다양하게 피는 이유│온리원인가, 넘버원인가│넘버원만 살아남는다?│온리원이 살아 남는다│모든 생물에게는 넘버원이 될 수 있는 자신만의 영역이 있다│니치라는 개념│지렁이・땅강아지・소금쟁이, 그들만의 니치│누구에게나 자신에게 빛나는 자리가 있다│니치가 힌트를 주는 이유
5교시 ‘ ~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넘버원이 되는 방법│분야를 직접 만들고 설정하라│잘하는 일이 있기는 한데……│‘~다움’으로 승부를 내자│아무도 코끼리를 모른다│친구가 보는 나, 부모가 보는 나│자기다움은 ‘~다움’을 버렸을 때 찾을 수 있다│인간이 만든 규칙에 사로잡히지 않는 잡초
6교시 이긴다는 것은 무엇인가
‘저마다 공덕 깊은 꽃이로구나’│인간은 승패 가르기를 좋아한다│경쟁이 전부는 아니다│져도 된다│서툴러도 일단 해 보기│진화의 정점인 인류, 패자 중의 패자였다│지는 방식도 진화했다│우연의 피라미드가 만들어 낸 기적, ‘나’
7교시 강하다는 것은 무엇인가
약한 것이 강하다│잡초는 약하다?│숲에서 잡초가 자라지 않는 이유│강하다는 것의 의미│강자가 꼭 이기는 것은 아니다│호모 사피엔스가 살아남고 네안데르탈인이 멸종한 이유
8교시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
잡초는 밟혀도……│진짜 잡초 정신에 대하여│성장을 측정하는 두 가지 방법│치열한 경쟁 속에서 잡초의 다른 선택│단단함과 부드러움을 겸비한 잡초│질경이에게는 밟히는 것이 고통이 아니다│진정 중요한 성장이란
9교시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나무와 풀 중 어느 쪽이 더 진화한 형태일까│식물은 수명이 짧은 쪽으로 진화한다│영원하기 위해 189│살고 싶어하지 않는 생명은 없다│하늘을 올려다보자. 고개 숙인 잡초는 없다
맺음말
리뷰
책속에서
조건에 따라서는 인간의 눈에 아웃사이더로 보이는 것이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수도 있다. 오래전 자연계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커다란 환경 변화에 직면했을 때, 그 환경에 적응한 생물은 평균값과 동떨어진 모습을 보이던 아웃사이더였다. 그리고 오래지 않아 아웃사이더라 불리던 개체는 표준이 되고, 그 아웃사이더가 만든 집단 안에서 다시 아웃사이더 취급을 받던 것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 나갔다. 그 과정 속에서 지나간 시대의 평균과는 전혀 다른 존재가 자리 잡게 되었다.
생물의 진화는 이런 식으로 이루어졌다. 진화는 긴 역사 속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유감스럽게도 우리는 진화의 과정을 관찰할 수가 없다. - <아웃사이더가 진화를 만든다> 중에서
옛사람들은 정성 들여 물을 주고 키운 채소와 작물은 여름 가뭄에 말라죽는데 어째서 아무도 물을 주지 않는 잡초는 파릇파릇한지 궁금해했다. 물을 받고 크는 작물과 아무도 물을 주지 않는 잡초는 뿌리를 뻗는 방법이 아예 다르다. 평소 힘들 때, 견뎌야 할 때, 잡초는 잠자코 뿌리를 뻗는다. 그 뿌리가 가뭄이 왔을 때 힘을 발휘하기에 잡초는 쉬이 말라 죽지 않는다.
- <진정 중요한 성장이란> 중에서
인간은 서로 다른 숫자를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비교하고 이해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개성 있는 생물 집단은 균일하지 않은 저마다 다른 자신의 모습을 갖고 있는데 그 상태에서는 인간이 쉽게 이해할 수가 없다. 그래서 인간이 집단을 쉽게 비교하고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 낸 것이 평균값이다.
- <‘평균’은 비교하기 위해 인간이 만들어 낸 아이디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