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92469331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2-11-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x
프롤로그 xiii
PART 1 | 웹3.0
CHAPTER 01 | 웹3 3
● 미래 인터넷의 도래 3
● 웹1.0 ― 한 방향으로 흐르는 정보의 시대 5
● 웹2.0 ― 읽고, 쓰고, 공유하는 시대 7
● 웹2.0과 모바일의 등장 10
● 웹2.0 시대와 4차 산업혁명 13
● 웹2.0, 우리는 아직도 누군가의 통제를 받고 있다 16
● 웹2.0의 한계와 웹3의 부상 17
● 지금의 웹은? 그리고 웹3는 무엇을 한다는 것인가? 20
● 웹3의 특징 24
● 기업들이 웹3에 주목하는 이유 26
● 웹3는 현실이 될까? 28
● 웹3의 전환 과정 30
● 웹3의 잠재력과 함정 32
● 그럼에도 웹3를 수용해야 하는 이유 33
웹1, 2 그리고 웹3에 이은 웹5? 36
CHAPTER 02 | 데이터 소유권 38
● 소유권이란 무엇일까? 38
● 내 삶 속 데이터 42
● 소셜미디어를 사용할 때 실제로 가입하는 것 44
● 내가 만든 콘텐츠 데이터는 누구의 소유인가? 49
● 자신의 빅데이터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고 있다 53
● 잊힐 권리 55
● 넷플릭스의 〈소셜 딜레마〉에 따르면… 61
나의 데이터는 내가 통제한다 ― 마이데이터 64
CHAPTER 03 | 데이터의 가치 66
● 데이터가 왜 중요한가? 66
● 데이터를 지배한 자와 아닌 자 69
● 데이터는 자산이다 75
데이터를 지배하는 자가 세상을 지배한다 77
CHAPTER 04 | 기업은 어떻게 데이터로 돈을 버는가? 79
● 구글의 데이터 활용법 79
● 빅테크 회사들이 데이터를 수집하는 법 85
개인도 데이터로 돈을 벌 수 있다? 90
CHAPTER 05 | 데이터 소유권의 전환 92
● 데이터 오너십 전환의 제도적 기반 94
● 데이터 오너십 전환의 기술적 기반 98
● 데이터 경제의 패러다임 전환 100
GDPR이란 무엇인가? 102
CHAPTER 06 | 블록체인 103
● 왜 블록체인인가? 104
● 왜 블록체인이 나오게 되었는가? 105
● 금융기관은 모든 돈의 흐름의 길목에서 경제활동의 중개 107
● 원장이란 무엇인가? 111
● 블록체인의 탄생 113
● 이중 지불의 문제 117
● 블록체인이 이중 지불 문제를 해결하는 법 119
● 그렇다면 도대체 블록체인은 무엇인가? 119
● 블록체인의 작동 원리 120
● 그렇다면 왜 블록체인이 좋은 것인가? 122
비트코인을 얻고자 한다면 125
CHAPTER 07 | NFT 127
● NFT란 무엇일까? 128
● NFT가 왜 주목받는가? 130
● NFT와 웹3 ― 디지털 소유권은 거래의 영역을 넓혀 세상을 바꿀 것이다 134
● NFT는 진짜 시장으로 성장할까? 138
● NFT는 어떻게 발행되는가? 143
● NFT가 가진 리스크 145
● NFT 사례 소개 147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NFT 디지털 자산 150
CHAPTER 08 | 디파이 83
● 디파이와 기존 금융시스템과의 차이 152
● 디파이의 특징 162
● 디파이의 리스크 168
● 디파이 서비스 기업 소개 171
● 디파이의 미래 174
디파이의 위기? 177
CHAPTER 09 | 다오 179
● DAO란 무엇일까? 181
● DAO의 기본 요소 184
● DAO의 특징 187
● DAO의 종류 189
정치에 활용되는 다오 196
PART 2 | 메타버스
CHAPTER 10 | 메타버스란 무엇인가? 199
● 가상공간이란 무엇인가? 199
● 인간은 왜 가상공간이 필요할까? 203
● 가상공간 속 생성되는 새로운 자아 204
● 가상공간은 현실 세계와 어떻게 연결되나? 206
● 메타버스의 정의 208
● 불가능한 상상은 없다 ― 메타버스의 유래 210
● 메타버스의 구성요소 211
● 메타버스와 웹3 214
CHAPTER 11 | 메타버스가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215
● 인간의 욕구 실현 216
● 인간의 5단계 욕구 216
● 사회적 연결 218
● 경제활동 221
● 비즈니스 창출 225
CHAPTER 12 | 메타버스의 부작용은 무엇일까? 229
● 현실 도피 230
● 신종 범죄 231
● 집단 극화 현상 234
● 정보 격차 문제 236
● 사생활 침해 237
● 메타버스에 필요한 규제들 238
메타버스가 우리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해칠 수 있을까? 240
CHAPTER 13 | 디지털 신대륙이 개척되고 있다 242
● 게임 중심 메타버스, 로블록스 242
● 새로운 놀이터, 제페토와 이프랜드 244
● 일터를 옮겨놓은 게더타운과 호라이즌 248
● 암호화폐를 결합한 디센트럴랜드 252
스포츠 산업에도 메타버스가 적용되다 ― 플레이어온니 255
CHAPTER 14 | 메타버스의 주목받는 핵심 기술 257
● 가상현실부터 확장현실까지 258
● 초연결 사회가 오고 있다 263
● 메타버스의 주인공 디지털 휴먼 265
● 인공지능, 메타버스 세계를 확장하다 269
● 에지 컴퓨팅은 왜 중요한가? 271
메타버스 안경점이 온다 275
CHAPTER 15 | 메타버스 시대에 각광받을 직업들 277
● 가상 세계에서 공간을 설계하다 278
● 아바타를 디자인하다 280
● 콘텐츠 산업의 지평을 열다 281
● 앞다퉈 게임을 개발하다 284
● 데이터 금광 시대가 온다 286
CHAPTER 16 | 기업은 메타버스를 어떻게 활용하는가? 288
● 현대자동차의 디지털 가상공장과 메타모빌리티 288
● SM의 메타버스 세계관, SMCU 292
● 교원 빨간펜의 인공지능 선생님, 아이캔두 295
● 삼성전자의 인공지능 아바타와 가전 로봇 297
에필로그 299
찾아보기 305
리뷰
책속에서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실리콘 밸리를 중심으로 많은 사람들이 웹3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웹3는 사용자들이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그리고 한국의 경우 카카오와 네이버 등과 같은 거대 IT 기업에 의존하지 않고, 신뢰를 기반으로한 탈중앙화된 준익명의 플랫폼에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새로운 인터넷 비전이다.
우리는 지금도 끊임없이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다. 데이터를 생산한다는 의도를 가지고 데이터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데이터를 생산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무의식 중에 호흡하며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뿜듯이 우리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어도 데이터를 생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