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나도 루쉰의 유물이다

[큰글자책] 나도 루쉰의 유물이다

(주안전)

차오리화 (지은이), 김민정 (옮긴이)
파람북
4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8,000원 -0% 0원
1,440원
46,5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나도 루쉰의 유물이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나도 루쉰의 유물이다 (주안전)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91192964379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3-06-09

책 소개

근대 중국의 대문호 루쉰의 본처 주안(朱安)에 관한 전면적이고도 유일한 평전이다. 루쉰기념관 연구원인 저자 차오리화는 평생 루쉰의 그늘에 가려져 이름 두 자 정도나 세상에 알려진 채 그마저도 언급조차 금기시되었던 주안의 내밀한 삶 그리고 그녀의 쓸쓸한 결혼생활을 시종 담담하면서도 세세하게 이야기한다.

목차

추천의 글 적막한 세상, 고독한 사람
개정판 서문
서장 모든 고민과 절망의 몸부림 소리

1부 어머니의 선물
가정형편 ─ 딩자눙(丁家弄) 주 씨 댁
딩자눙을 찾아서 / 주가 타이먼(朱家臺門) / 주안이 태어난 해
혼약 ─ 1899년 전후
‘노처녀’의 혼사 / 연극 관람과 생신 축하 / 혼약 이면의 의문 / 차례
신방 ─ 어머니의 선물
“딸은 스물여섯을 넘겨서까지 데리고 있지 않는다” / 발이 큰 척하는 신부 / 신혼 첫날밤
독수공방 ─ 결혼 후의 처지
새색시 / “두 사람은 각자 살아서 부부 같지 않다” / 저우쭤런 일기 속의 ‘큰형수’ / “부인이 보낸 편지를 받았다”
석별 ─ 온 가족의 베이징 이주

2부 땅에 떨어진 달팽이
죽음의 정적 ─ 유명무실한 집
바다오완(八道灣)에서 나와 / 부부 사이 / 와이프(Wife) ─ 성(性) / 고부 사이
심연 ─ 땅에 떨어진 달팽이
신여성 / 땅에 떨어진 달팽이
가계부 ─ 진실로 무거운 짐
편지 ─ 상하이와의 거리
슬픔 ─ 루쉰의 죽음
역경 ─ 시싼탸오의 여주인
시어머니의 유언 / 루쉰 장서 매각 사건 / 스스로 고생할지언정 구차하게 얻진 않으리

에필로그 ─ 샹린댁의 꿈
쓸쓸한 죽음 / 옷가지와 물건 선물 목록 / 〈주안 소전(朱安小傳〉 / 에필로그

부록 1 주안의 가계도
부록 2 루쉰의 가계부(1923년 8월 2일~1926년 2월 11일)
부록 3 항일전쟁 후 베이핑 《세계일보(世界日報)》 ‘명주(明珠)’판 주안 관련 보도

참고문헌
역자후기

저자소개

차오리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상하이 출신. 2001년 푸단대학 중문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상하이 루쉰기념관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구실 부주임이다. 오랫동안 루쉰 연구와 현대 작가 연구에 종사했다. 대표적 저서로는 《루쉰과 그의 사오싱(魯迅與他的紹興)》(2007, 공저), 《수집가 루쉰(藏家魯迅)》(2009, 공저), 《나도 루쉰의 유물이다 - 주안전(我也是魯迅的遺物: 朱安傳)》(2009), 《‘중국 좌익미술가연맹’과 좌익미술운동(“美聯”與左翼美術運動)》(2016) 등이 있다.
펼치기
김민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7년 중국 상하이 화둥사범대학에서 《‘유럽전쟁’ 담론과 ‘1910년대’ 한중 지식인의 사상 지형도(“歐戰”論述與“1910年代”中韓知識分子的思想狀況)》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종현학술원 중국학술팀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고전 매트릭스 연구단’ 소속이다. 《왜 동아시아인가 ― 상황 속의 정치와 역사》(2018)를 번역했고, 《청소년을 위한 고전 매트릭스》(2022) 등을 함께 썼다.
펼치기

책속에서

루쉰의 본처인 주안은 사랑 없는 결혼 속에 씁쓸한 일생을 보냈다. 이는 꺼내자면 숨 막힐 것 같은 이야기다. 루쉰 본인도 주안 이야기를 잘 꺼내지 않았고, 그의 함구는 후세 사람들에게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를 많이 남겼다. (중략) 루쉰은 확실히 이 부인을 “어머니가 주신 선물”로만 여기고 부양의 책임을 다할 뿐이었다. 주안은 결혼 후 수십 년 동안 줄곧 ‘소박데기’라는 가엾은 처지에 놓였다. 루쉰은 주안에게 애정이 없었으며 두 사람은 남남처럼 지냈다.
_ 서장 중에서


1906년 음력 유월 초엿새에 루쉰과 주안은 저우가 신타이먼 대청에서 혼례를 올렸다. 1899년에 저우 씨 집안 도련님과 정혼하고 두 사람이 결혼식을 올릴 때까지 주안은 7년을 기다린 끝에 이날을 맞이했다. 그녀도 틀림없이 저우 씨 집안 도련님이 이 혼사를 탐탁지 않게 여긴다는 사실을 어렴풋이 들었을 것이다. 어쩌면 7년에 달하는 절망에 가까운 기나긴 기다림 속에서 그녀는 어른들이 항상 그녀의 귓가에 들려주었던 그 말을 기억했을 것이다. “살아서는 저우 씨 집안 사람으로 살고, 죽어서는 저우 씨 집안 귀신이 되거라.” 당시 사오싱 풍속에 처녀가 남자네 집에서 파혼을 당하면 사형선고를 당한 것이나 다름없었으며 가문의 수치였다. 저우 씨 집안 도련님과 약혼한 이상 그녀는 죽어도 저우 씨 집안에서 죽어야 했으며 물러설 자리가 없었다. 어쩌면 이것이 훗날 그녀의 모진 일생을 운명 지었는지도 모른다.
_ 신방 ─ 어머니의 선물 중에서


많은 연구자들은 루쉰이 베이징의 사오싱회관에서 지내는 동안 옛 비문을 베껴 쓰는 데 몰두했던 생활은 독신자나 고행승과도 같았으며 정신적으로 위축되어 있었다고 지적한다. 사실 주안이 생과부와 다를 바 없이 지내는 나날도 분명 힘들었을 것이다. 다만 오늘날 우리는 그녀의 마음의 소리를 들을 수 없으며, 그녀가 어떤 방식으로 마음속 번민을 해소했는지도 알지 못한다. 몇몇 지인들의 회상에서 주안이 베이징에 있을 때 한가해지면 말없이 혼자서 물담배를 피우곤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녀가 언제부터 물담배를 피우기 시작했는지는 기록이 없지만, 결혼 후 외롭고 답답해서 이런 습관이 생겼을 것이다.
_ 독수공방 ─ 결혼 후의 처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