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수학 > 수학사
· ISBN : 9791192988917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4-10-2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추천의 글
1장 맨 처음에
바빌론 강가에서 | 겨드랑이에 두루마리를 낀 수학자
2장 거북과 황제
산가지 | 우주 만물의 이치가 숨어 있는 《주역》 | 세상을 바꾼 아홉 장 | 그런데 증명이란 무엇인가? | 여성을 위한 교훈서 | 반기를 든 기하학자들
3장 알렉산드리아
베일에 싸인 인물, 유클리드 | 위대한 도시, 알렉산드리아 | 히파티아 | 후대의 평가
4장. 시간의 새벽
우주 달력 | 하루마다 하나의 신 | 시계의 등장 | 시간에 관하여
5장 0의 기원에 관하여
인도의 황금기 | 우리는 왜 지구에서 떨어지지 않을까? | 구멍이 있는 숫자 | 0의 확산
6장 지혜의 집
칼리프를 위한 계산 | 대수학, 알고리듬, 알 콰리즈미 | 알고리듬이란 무엇인가? | 천체의 회전 | 지혜의 집을 불태우다
7장 불가능한 꿈
도박사의 야망 | 편지 공화국 | 망명 궁정의 엘리자베트와 데카르트
8장 (최초의) 미적분학 개척자
케랄라 학파 | 미적분이란 무엇인가? | 뉴턴의 미적분 연구 | 라이프니츠가 수학 기계를 만들다 | 영국인 늙은이의 비웃음 | 평결
9장 숙녀를 위한 뉴턴주의
뉴턴 역학의 기초 | 납작한 지구 | 프랑스에서 뉴턴을 강하게 지지한 여성 | 집에서 실험을 한 바시 | 지나친 상상력 | 미국으로 건너간 뉴턴주의
10장 대종합
예수회 선교사들의 활약 | 동양과 서양의 만남 | 최선의 관측 데이터를 선택하다
11장 수학의 인어
최초의 여성 수학 교수 | 벽에 적힌 방정식 | 생산적인 파트너 | 인어를 만나다 | 팽이 문제 | 후세의 평가
12장 혁명
유클리드 기하학의 유행 | 평행선이 만날 때 | 기본적인 제한 속도 | 우주의 방정식
13장 =
민권 | 모든 사람을 위한 교육 | 결투에서 이기는 방법
14장 별들의 지도를 작성하다
하늘 관측 | 하버드의 인간 컴퓨터들 | 더 많은 사진과 데이터를 얻기 위한 노력 | 우주 경쟁
15장 수치 처리
하디-리틀우드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수학자 | 신이 직접 가르쳐준 수학 | 협력에서 나온 카오스 | 기본적인 정리와 문제 | 스큐스 수 | 튜링조차 풀지 못한 수수께끼
에필로그
수학은 릴레이 경기 | 아직도 풀리지 않은 문제들
감사의 말 / 도판 목록 / 주 /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미적분을 예로 들어보자. 사물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기술하고 결정하는 이 수학 이론은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하고 유용한 발전 중 하나이다. 미적분은 공학에 필수적이며(미적분이 없다면 다리나 로켓을 정확하게 만들 수 없다), 거의 모든 과학 분야에 쓰이면서 세계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 그렇다면 미적분을 발명한 사람은 누구일까? 흔히 17세기에 영국 수학자 아이작 뉴턴과 독일 수학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가 거의 동시에 각자 독자적으로 발명했다고 이야기한다. (…) 미적분의 배경을 이루는 개념들을 훨씬 앞서 생각한 사람들이 있었다. 14세기에 인도 케랄라에는 많은 수학자들이 활약한 천문학 및 수학 학파가 있었다. 그 창시자인 상가마그라마의 마다바는 아주 뛰어난 수학자였는데, 그의 업적 중에는 미적분 이론을 설명한 것도 있었다. 마다바는 미적분을 가능케 한 핵심 개념들을 탐구했고, 케랄라 학파의 수학자들이 이를 더 갈고닦으면서 발전시켰다.
‘달력의 집’이라 불린 마야 필경사들의 작업실 유적은 천문학자들이 데이터를 어떻게 기록했는지 알려준다. 기원전 9세기 초에 만들어진 이 작업실의 벽과 천장은 여러 인물과 숫자와 상형 문자를 다채로운 색으로 표현한 그림으로 장식돼 있다. 벽은 아마도 일종의 칠판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벽에는 달력과 천문학 계산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상형 문자가 여러 가지 색으로 적혀 있다. 두 계산표의 흔적은 달의 움직임을 보여주는데, 어쩌면 화성과 금성의 움직임을 나타냈을 수도 있다. (…) 이들은 일식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고, 심지어 8년을 주기로 반복되는 금성의 기묘한 움직임도 예측해냈다. (…) 마야인은 달과 별들의 움직임을 놀랍도록 정확하게 측정했다. 예를 들면, 음력으로 149개월이 4400일이라고 계산했다. 이것은 음력으로 한 달이 29.5302일에 해당한다는 뜻인데, 오늘날 우리가 측정한 값은 29.5306일이다. 또한 1년의 길이가 365.242일이라고 계산했는데, 오늘날 우리가 알아낸 값은 365.242198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