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도가철학/노장철학 > 노자철학
· ISBN : 9791193142066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23-09-15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참나’와 ‘미래로 가는 옛길’을 찾아 5
프롤로그 우리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18
道經
도의 본체론
도(道), 그 크고 참된 이치는 무엇인가? 24
태초 우주의 시원 (제25장) 26
도란 무엇인가? (제1장) 31
우주 만물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제42장) 38
도의 형상, ‘이(夷) 희(稀) 미(微)’ (제14장) 41
도와 우주 만물과의 관계 (제34장) 48
밝은 깨달음(明)이란? (제52장) 51
만물의 실재(常) - 귀근(歸根) (제16장) 56
도의 작용론
도(道)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63
도의 기본적인 움직임과 기능 (제40장) 64
도의 본질과 주요작용, 충(沖)에 관하여 (제4장) 67
도의 주요작용, 허(虛)에 관하여 (제5장) 72
천지의 뿌리, 음(陰,여성성)에 관하여 (제6장) 76
도의 성품, 물의 순리 작용 (제8장) 80
도의 주요작용, 무용(無用)에 관하여 (제11장) 87
도와 덕의 역설적 작용 (제41장) 90
유도(有道)와 무도(無道)의 원인, 결과 (제46장) 96
도의 실재와 올바른 다스림 (제37장) 101
도는 왜 알기 어려운가? (제70장) 107
천명(天命)과 하늘의 그물 (제73장) 111
德經
덕의 본체론
덕(德)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가? 118
도와 덕의 관계 (제21장, 51장) 120
높고 훌륭한 덕(上德)과 수준이 낮은 덕(下德) (제38장) 123
변함없는 덕(常德)을 잘 지키는 방법 (제28장) 128
큰 덕(德)은 서툰 것 같고 (제45장) 133
성인론
성인(聖人)은 어떤 사람이며, 어떻게 될 수 있는가? 141
문밖을 나가지 않고도 다 알게 되고 (제47장) 142
상대적 관계가 하나임을 아는 자 (제2장) 146
성인이 드러내는 덕(德)의 모습 (제15장) 152
사욕(私慾)이 없어서 영원히 존재한다 (제7장) 160
성인이 하지 말아야 할 것들 (제9장) 164
도가(道家)의 건강법 (제10장) 169
감각적 욕망을 극복하는 방법 (제12장) 175
인정욕구에서 해방되는 방법 (제13장) 180
만물을 취사선택(取捨選擇)하지 않고 (제27장) 189
자기를 알고 스스로 만족하는 자 (제33장) 197
일상에서 빠지기 쉬운 여러 욕구에 대한 경계 (제44장) 204
매일 쌓았으면 매일 덜어내야 (제48장) 207
고정된 마음 없이 모든 사람을 대하고 (제49장) 212
사람들은 왜 죽음의 길을 선택하는가? (제50장) 216
사람들은 왜 좁은 지름길을 선호하는가? (제53장) 221
어렵고 큰일을 쉽거나 작게 보지 않고 (제63장) 224
일을 시작하기 전에 마음을 먼저 정제하고 (제64장) 228
도가(道家)의 세 가지 보물 (제67장, 59장) 235
아는 것이 어떻게 병(病)이 되는가? (제71장) 243
큰 원한은 화해를 잘해도 여한이 남으니 (제79장) 247
믿음직스러운 말은 아름답지 못하고 (제81장) 252
지도자론
덕(德)을 지닌 지도자는 어떻게 다스리는가? 258
욕심낼만한 것들을 보이지 않음으로써 (제3장) 260
지도자의 네 단계와 최고 수준의 통치 (제17장) 266
분별심과 아는 체하는 것을 버리고 (제19장) 271
지나침과 사치, 교만을 버려야 (제29장) 275
너무 꼼꼼하게 다스리면 사람들 마음이 각박해지고 (제58장, 60장) 280
다투지 않고 상대를 이기는 법 (제68장) 285
부드럽고 약한 것이 굳세고 강한 것을 이기니 (제76장) 289
남는 것은 덜어내어 모자란 것을 채우고 (제77장) 293
좋은 지도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제78장) 297
에필로그 노자가 꿈꾸던 세상은? (제80장) 306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큰 지혜는 궁역락(窮亦樂) 통역락(通亦樂)이라, 막혀도 즐거움이요 뚫려도 즐거움이라 했으니, 너무 먼 길이지만 기꺼이 그 경지까지 걸어가 보기로 하자.
― 여는 글
15년 전부터는 동서양의 대표 종교라 할 수 있는 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의 4대 경전인 논어, 금강경, 도덕경, 성경의 말씀을 상호 비교해서 살펴보는 ‘동서양 4대 경전 비교강좌’를 진행해 오고 있다. 이 책은 15년 동안 비교강좌를 진행했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 여는 글
노자나 예수님, 석가모니는 말할 것도 없고 공자, 맹자, 장자, 소크라테스, 스피노자, 간디, 톨스토이, 소로우에서 우리나라의 최제우, 최시형, 류영모, 함석헌, 장일순 선생에 이르기까지 동서고금의 성현들이 전하는 진리는, 한 나무 안에서도 잎사귀나 꽃의 크기나 모양과 색깔이 조금씩 다르듯 표현만 조금씩 다를 뿐 그 바탕이 되는 뿌리는 한결같았다.
― 여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