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중앙아시아사
· ISBN : 9791193320716
· 쪽수 : 215쪽
· 출판일 : 2024-10-31
목차
프롤로그 7
대책이 없는 21세기의 민족문제 7 | 영광의 잔영 12 | 아이덴티티라고 하는 정치문제 14 | 내륙아시아의 내몽골 16 | 유라시아의 교두보 20 | 역사수정주의의 야심 22
1장 민족지정학 27
민족지정학 27 | 유라시아의 ‘초지草地의 달자?子’와 분지형盆地型 사상 30 |유목세계의 환경 32 | 티무르와 다얀 칸 34 | 우익 몽골의 중앙아시아 원정 37 | 티베트 불교의 재도입과 남북 몽골의 출현 40 | 유라시아 초원의 국제성 43 | 만주인에 의한 권력 혁명 45 | 청조의 중국화 47 | 분지 국가명 왕조 49
2장 분단 정치의 인생 53
이슬람의 봉기와 그 영향 54 | 이슬람교도가 야기한 민족 이동 56 | 서양의 옛 지식과 새로운 모험 60 | 포교를 인정한 청조의 목적과 선교사의 전략 62 | 금단도가 초래한 민족 간 분쟁 66 | 신ㆍ구 두 제국에 의한 분단 68 | 사회주의에 의한 분단과 복수 69 | 국민국가가 민족의 통일을 저지하다 72 | ‘몽골족’으로서의 비애 75
3장 여러 민족과 중국의 분쟁 81
서쪽으로 이어지는 ‘흉노의 오른팔’ 81 | 공산주의자 겸 민족주의자인 몽골인 83 | 소련으로부터 받은 내륙아시아 87 | 북적北狄으로 서융西戎을 통제한 현대 중국 89 | 제노사이드의 시대 92 | 해결되지 않은 민족 문제 95 |중국 정부가 실시한 불공평한 정책 100 | 중화사상에서 유래한 폭력 102 |민족지정학과 문명의 충돌 105
4장 언어의 민족문제 109
민족문제의 국제성 109 | 사회주의가 창출한 민족문제 111 | 사회주의 체제 아래의 언어문제 114 | 몽골어를 금지하는 중국의 목적 119 | 투르크계 민족을 갈라놓았던 소련화의 멍에 122
5장 민족의 국제문제 127
칭기스 칸 제전祭殿 앞의 정치극 128 | 유괴된 민족의 시조 130 | 외국의 ‘칭기스 칸 전시’에 간섭하는 중국 134 | 몽골과 유럽의 곤란한 교류 137 |용과 코끼리의 틈새에서 141 | 달라이 라마 법왕과 유라시아의 티베트 불교권 145 | 코로나의 재앙에 직면했을 때의 중앙유라시아 148
6장 중앙유라시아 민족지정학의 현재 153
이슬람권의 공자학원孔子學院 153 | 조치 칸의 자손들로부터의 역습 158 |‘소련형 엘리트’의 퇴조와 후계자가 부재한 중앙아시아 161 | 민족지정학에서 현대 몽골의 곤란함 165
7장 일본의 환상 169
위화감투성이 ‘스호의 하얀 말’ 170 | 계급투쟁론에 근거한 개찬改竄 176 |일본의 식민지였던 내몽골 178 | 황당무계한 산물 182 | 독단과 편견을 버려야 할 때 185 | ‘민족’과 ‘사람’ 사이-일본도 의식개혁을 186
에필로그 189
정치 집회 쿠릴타이와 일본을 향한 메시지 190 | 속박을 풀 때 194 | 현대의 분단은 대일전후처리에서부터 197 | 얄타의 망령 199 | 종주국으로서 관여하라 201
감사의 말 203
역자 후기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