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93638675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5-06-16
책 소개
목차
서문. 상상으로 그린 세계지도_5대양 6대주의 진실을 찾아서
1부. 현실에 근거하지 않은 현실
1장. 대륙_몇 개의 대륙이 존재하는가?
2장. 경계_장벽은 왜 무용지물인가?
2부. 허구 위에 쌓인 허구
3장. 국가_국가란 무엇인가?
4장. 주권_실체를 알 수 없는 모호한 주장
5장. GDP_부, 건강, 아니면 행복?
3부. 신화는 여전히 계속된다
6장. 러시아_푸틴은 어떻게 레반시즘에 사로잡혔나?
7장. 중국_신실크로드, 모든 길이 중국으로 통하지만은 않는 이유
8장. 아프리카_영화로운 제국의 사라진 역사
맺음말. 신화를 넘어_새로운 세계지리
리뷰
책속에서
대륙의 거대한 메타 공간이 어떻게 구성되든 상관없이 대륙의 지도가 언제나 영토보다 선행한다. 어 떤 것이든 간에 대륙 구도는 어쩔 수 없이 인간과 자연계의 풍부함과 다양성을 4~7개의 자의적이고 인위적인 공간의 덩어리로 축소한 후 그것의 윤곽과 내용을 채워 넣는다. 현재로서는 이 책에서 다 루는 다른 신화와 마찬가지로 대륙은 드러내는 것보다는 감추는 것이 훨씬 더 많다. 눈에서 대륙이 라는 비늘을 떨쳐내야만 비로소 우리는 세상과 다른 인간을 새롭게 볼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그 런 일이 일어날 때까지 우리의 세계를 정의하는 수많은 연결과 만남, 상호관계는 대륙에 가려 보이 지 않을 것이다.
_'1장. 대륙_몇 개의 대륙이 존재하는가?' 중에서
이 장벽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인류는 그 대가로 무엇을 내놓아야 할 까? 우리는 단 하나의 해결책, 즉 경계선 확충이라는 해결책만 유일하게 존재하는 세계관에 갇혀 있 는 것처럼 보인다. 국경이 해결책이라는 개념에 너무 사로잡힌 나머지 장벽에 대한 현대적 해석을 과거의 만리장성에까지 투영한다. 그러나 국경이 언제나 보이는 그대로인 것은 아니다. 오늘날에는 국경이 보호와 안보를 위한 것이라는 개념이 점점 신화로 자리 잡는 것 같다. 국경 장벽을 무장할 경우, 일상적인 폭력이 심화되고 권위주의적 통제 수단이 공고해지며 지역사회 전반에 불안이 고조 된다. 그 결과 가장 취약한 사람들이 더욱 소외된다. 국경 장벽이 더 많이 세워질수록 세계가 덜 안 전하다고 느끼게 되고 장벽이 높을수록 공포를 더 조장한다면 국경 장벽을 더 많이 건설하고 확장 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_‘2장. 경계_장벽은 왜 무용지물인가?’ 중에서
불과 수십 년 전만 해도 제국이라는 개념이, 세계가 항상 질서정연하게 유지되는 방식에 관해 널리 받아들여진 이해의 틀이었다는 점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영국은 불과 얼마 전만 해도 ‘해가 지 지 않는’ 제국이라고 주장했으나 제국은 결국 사라졌다. 식민지 ‘원주민’에게 자치 능력이 있다는 생 각은 ‘상상할 수 없는 일에서 평범한 일로’ 바뀌었다. 세계를 바라보는 ‘제국’의 렌즈가 눈 깜짝할 사이에 금이 가고 산산이 부서져 ‘국가’의 렌즈로 대체되었다.
_‘3장. 국가_국가란 무엇인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