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전주·완주](/img_thumb2/9791193810019.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93810019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4-04-20
책 소개
목차
서문
전주·완주 인문 지도
제1부 / 전주
역사 속으로
1 후백제 도읍지가 개성 만점 문화관광도시로
2 견훤이 꿈꾼 백제 왕조의 부활
3 국내 유일 후백제 유적지, 동고산성과 남고산성
4 세계 최초의 공화주의자, 정여립과 기축옥사
5 민중 승리 역사를 쓴, 동학농민혁명 전주성 싸움
6 건지산은 왜 전주 진산이 되었을까?
7 전주에서 가장 오래된 길, 보광재
공간 속으로
1 전주의 얼굴 이성계의 얼굴, 한옥마을과 경기전
2 이성계의 자취가 남아 있는, 오목대
3 전주천변의 아름다운 정자, 한벽당
4 보여주고픈 가을 풍경, 전주향교
5 순교자의 믿음 위에 세워진, 전동성당
6 천년고도의 상징물, 풍남문
7 추억 속 전주객사, 풍패지관
8 70년 만에 복원된 전라감영
9 연꽃 향기에 물드는 호수, 덕진공원
문화 속으로
1 판소리 명창의 산실, 전주대사습놀이
2 숙련된 장인의 손에서 만들어지는, 한지와 부채
3 비사벌초사에 산 목가시인, 신석정
4 ≪혼불≫의 정신을 남기고 떠난, 최명희
5 쌍벽을 이루었던 현대 서예가, 송성용과 황욱
6 비빔밥, 콩나물국밥, 가맥집…, 전주의 맛
제2부 / 완주
역사 속으로
1 둘이면서 하나인, 전주와 완주
2 호남평야의 젖줄, 만경강 발원지
3 전주성 점령을 포기하게 만든, 웅치전투
4 임진왜란 4대 대첩으로 꼽히는, 이치대첩
5 교통 요지 삼례에서 열린 농민 봉기, 동학농민혁명 삼례기포
6 문화유산이 뿔뿔이 흩어져 버린, 봉림사지
자연 속으로
1 위대한 어머니의 산, 모악산
2 불꽃 같은 바위와 금강계단, 대둔산과 안심사
3 위봉사와 위봉폭포를 품고 있는, 위봉산성
4 바위벼랑 위의 공중누각, 화암사
5 마음을 비워주는 역사산책, 봉서사와 송광사
6 불심으로 다시 세운, 원등사
7 어슬렁거리며 행복을 맛보는, 오성 한옥마을
문화 속으로
1 인걸은 간곳없고, 고산면에 남은 자취
2 한국 천주교 첫 순교자가 안치된, 초남이 성지
3 흐르는 물처럼 유려한 글씨, 창암 이삼만
4 ‘판소리 설렁제’를 창안한, 명창 권삼득
5 모악산 대원사에서 깨달음을 얻은, 증산 강일순
6 만경강철교에서 감상하는 비비낙안, 비비정예술열차
7 생강, 곶감, 대추…, 완주의 특산물
부록
‘걸어서 전주·완주 인문여행’ 추천 코스
전주#1 아름다운 도심 속 숲, 건지산길
전주#2 전주를 조망하는, 남고산성길
전주#3 전주 여행의 진수, 한옥마을
완주#1 서방산을 오르는 사람들
완주#2 모악산을 오르는 사람들
완주#3 송광사부터 위봉사까지, 역사와의 대화
찾아보기_키워드로 읽는 전주·완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전주에 도읍을 정한 견훤은 나라 이름을 당당하게 백제의 맥을 잇는다는 뜻으로 ‘백제’라고 선포했다. 후백제는 후세에 역사가들이 전 백제와 구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일 뿐이다. 그리고 그 자신을 대왕이라 칭하면서 정개(正開)라는 연호를 반포했다. 김춘추와 김유신이 고구려와 백제를 멸망시키기 위해 외세인 당나라를 끌어들인 후 당나라 연호를 사용했던 것과 달리 자주적인 연호를 쓴 것이다. | <백제 왕조의 부활>
‘천하공물설’과 ‘대동사상’은 꽃을 피우기도 전에 실패로 돌아갔으나 그의 사상은 허균의 변혁사상인 호민론으로 이어졌고, 다시 정조 때의 실학자 다산 정약용의 탕무혁명론으로 이어졌다. 기축옥사 이후 호 남 지역은 서북 지역처럼 차별받을 수밖에 없었고, 그러한 현상은 수많은 민란으로 이어져 마침내 근현대사의 출발점인 1894년의 동학농민혁명으로 분출되었다. | <정여립과 기축옥사>
전라도 땅 고부에서 탐학한 관리 조병갑으로부터 비롯된 동학농민혁명은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출발점으로 평가받고 있고, 전주는 동학의 역사에서 기념비적인 도시이다. 슬픈 역사를 지켜본 곳이기도 하다. | <동학농민혁명 전주성싸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