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작가론
· ISBN : 9791193933008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4-05-24
책 소개
목차
머리말_ 소유와 권력에 저항하다
제1장 톨킨과 루이스의 성장기
J.R.R. 톨킨과 C.S. 루이스, 그들은 누구인가 / 톨킨과 루이스의 출생과 성장 / 아일랜드를 사랑한 루이스 / 호빗은 톨킨의 은유이다 / 샤이어는 어디일까 / 톨킨은 어떤 책을 즐겨 읽었나 / 톨킨의 초기 교육 / 독서 천재 루이스의 어린 시절 / 루이스의 학창 시절은 힘겨웠다 / 톨킨의 대학 시절 / 톨킨,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다 / 루이스의 대학 시절과 제1차 세계대전 / 『다이머』
제2장 우정의 본질은 자유다
톨킨의 초기 교수 생활 / 루이스의 초기 교수 시절 / 톨킨과 루이스, 처음으로 만나다 / 루이스와 바필드의 만남 / 루이스의 개종 / 찰스 윌리엄스 / 낭독과 비평 모임 ‘잉클링스’ / 제2차 세계대전과 전후의 명성 / 루이스의 결혼, 그리고 사별 / 톨킨과 루이스의 고요한 말년 / 『네 가지 사랑』 / 애착, 에로스, 자비 / 루이스의 우정론
제3장 《우주 3부작》
『사랑의 알레고리: 중세 전통의 연구』 / 루이스는 왜 역사를 기계 이전과 이후로 구분했을까 / 루이스의 종교관 / 《우주 3부작》 / 『침묵의 행성 밖에서』 / 『페렐란드라』 / 『그 가공할 힘』 / 『스크루테이프의 편지』 / 톨킨과 루이스의 정치관 / 「복지 국가의 노예가 되려는 의지」
제4장 『나니아 연대기』
루이스의 아동 문학론 / 『나니아 연대기』의 주제는 “선악의 싸움”이다 / 아슬란은 누구인가 / 『사자와 마녀와 옷장』 / 『캐스피언 왕자』 / 『새벽 출정호의 항해』 / 『은의자』 / 『말과 소년』 / 『마술사의 조카』 / 『마지막 전투』 / 『나니아 연대기』에 대한 비판 / 루이스는 보수주의자인가
제5장 『호빗』
인간 베렌과 요정 루시엔 / 『실마릴리온』 / 톨킨의 위계질서는 어떤 개념일까 / 악의 종족 / 분열과 중독, 비극적 운명을 상징하는 골룸 / 『호빗』 / 간달프, 회색의 마법사에서 백색의 마법사로 소생하다 / 좋은 마술과 나쁜 마술 / 야심과 악의의 본진 아이센가드
제6장 『반지의 제왕』
『반지의 제왕』 / 선악이라는 주제 / 『반지의 제왕』과 『파리대왕』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 샘은 가장 중요한 우정 캐릭터이다 / 호빗의 인생관 / 반지우정연대, 지옥의 여정을 함께하다 / 샘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 샘의 문화적 전통 / 정의로운 전쟁은 가능한가 / 자연과 문명 / 가운데땅은 중세적 세계이다 / 신분제와 군주제 / 톨킨의 작품에 나타나는 여성관 / 『반지의 제왕』이 보여주는 평화 회복의 아나키즘
맺음말_ 자유와 평등의 연대를 염원하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나는 이 책에서 그들의 관계를 우정의 관계, 즉 자유롭고 평등한 자율적 관계로 설명하겠다. 내가 이 책을 쓰는 이유는 그런 우정이 이 시대, 이 땅에서도 많아지기를 바라서다. 나이나 지위, 출신이나 빈부와 관계없이 오로지 하나의 같은 목적에 의해 친구가 되는 세상이 오기를 바라서다. 그 목적이란 무소유와 무권력을 추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 내가 쓰는 이 책은 두 사람을 평생 무소유와 무권력이라고 하는 공동의 사상을 추구한 아나키스트 친구들로 보고, 그들의 작품들을 아나키즘으로 보는 특이한 입장에 선다. 루이스는 자신이 어려서부터 학교와 군대에 반항한 점에서 “기질적으로 극단적 아나키스트”라고 말했다.(듀리에즈2 130) 어려서부터 마찬가지였던 톨킨은 1943년 아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이 ‘모든 통제의 폐지’를 뜻하는 아나키즘에 더욱 기울어지고 있다고 고백했다. 그리고 『반지의 제왕』은 타자의 자유의지를 지배하려는 의도나 행위가 가장 나쁘다는 것을 말하는 작품이라고 했다. 루이스는 그의 대표작인 『순전한 기독교Mere Christianity』에서 “기독교 사회는 우리가 지금 좌파라고 부르는 사회가 될 것”이라고 직설적으로 말한다. 그러나 그 좌파란 마르크스주의가 아니라 아나키즘이다._<머리말> 중에서
톨킨은 킹 에드워드 학교 시절 그리스어에 매력을 느꼈다. 반면 셰익스피어는 싫어했다. 가령 『맥베스』에서 주인공 맥베스가 말한 “거대한 버넘숲이 던시네인 언덕을 움직여 오는 것 같은”이라는 대목은 좋아했으나 잉글랜드군이 나뭇가지로 위장하여 공격한 탓에 죽는 장면을 읽고서는 자신은 이와 달리 나무들이 실제로 전쟁을 치르는 이야기를 만들겠다고 마음먹었다. 이는 『반지의 제왕』에서 나무 거인 엔트들이 인간과 오르크를 상대로 전투하는 장면으로 구현되었다. 십 대 초반, 톨킨은 사촌인 매리 인클던(Mary Incledon)과 매조리 인클던(Majorie Incledon) 자매의 발명품인 동물언어(Animalic)를 처음으로 접한다. 그는 당시 라틴어와 앵글로색슨어를 공부하고 있었다. 동물언어에 대한 관심은 곧 희미해졌지만, 매리와 톨킨 등은 네브보시(Nevbosh)라는 새롭고 복잡한 언어를 개발했다. 또한 톨킨은 그 뒤로 새로운 언어인 나파린(Naffarin)을 만들었다. 톨킨은 1909년 이전에 에스페란토어를 공부했고, 1909년 무렵에는 열여섯 페이지짜리 「폭스룩의 책The Book of the Foxrook」이라는 글을 에스페란토어로 썼다. 거기에 톨킨이 만든 초기 언어가 등장한다. 1911년 킹 에드워드 학교에서 톨킨은 세 명의 친구와 함께 비밀 단체를 결성하여 함께 시를 썼다. 스위스에서는 여름휴가를 보내면서 하이킹도 했는데, 당시의 경험은 뒷날 그의 작품에 반영되었다._<톨킨의 초기 교육> 중에서
잉클링스 모임은 자유로웠다. 어떤 격식도 차리지 않았고 의제도 회의록도 없었다. 빠지지 않고 참석할 의무도 없고 불참하는 경우에도 미리 연락할 필요가 없었다. 목요일 밤 모들린 칼리지의 루이스 방에서 아홉 시가 지나 모이면 차를 끓이고 담뱃불을 붙인 뒤 루이스가 “자, 누가 읽어주실까요?”라고 소리치면 누군가가 원고를 큰 소리로 낭독하고, 낭독이 끝나면 모두가 날카로운 비평을 했다. 모임은 늦은 시간에 끝났다. 1930년대 어느 날, 시중에 읽을거리가 없다고 한탄하면서 루이스는 공간 여행에 대해서, 톨킨은 시간 여행에 대해서 각각 쓰기로 하고 「잃어버린 길」과 『침묵의 행성 밖에서』를 집필하기 시작한다. 그것은 뒤에 『반지의 제왕』과 《우주 3부작》으로 우정의 열매를 맺는다. 그러나 1939년에 찰스 윌리엄스가 잉클링스에 가입하면서 톨킨과 루이스의 우정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윌리엄스는 톨킨의 『반지의 제왕』을 좋아했지만, 톨킨은 윌리엄스의 작품이나 그가 좋아하는 책들을 싫어했다. 이에 대해 카펜터는 루이스가 윌리엄스를 좋아한 점에 “확실히 톨킨은 은근한 질시를 느낀 듯싶다.”라고 말했다.(카펜터 270) 루이스가 기독교 옹호자로 유명해진 점도 그 상황에 작용했을지 모른다. 가톨릭인 톨킨은 성공회를 싫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톨킨은 루이스가 언젠가는 가톨릭으로 개종할 것으로 생각하고 그에게 끝없는 애정을 보였다._<낭독과 비평 모임 ‘잉클링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