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4172024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4-07-30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1부 문제 제기
1장 오래된 규칙 그리고 새로운 현실
누구를 어떻게 연구했는가?|21세기의 일을 다시 상상하기
2장 과부하
노동 사슬 위아래의 과부하|새로운 현실로서의 과부하|과부하를 일으키는 노동 강도의 네 가지 차원(긴 노동 시간의 무 게·상시 근무 가능성·멀티태스킹과 분산된 집중력·대면 시간에 대한 의례적인 기대)|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과부하의 함의(과부하, 건강에 해를 끼치는 행동, 만성적 조건, 그리고 위험 징후·과부하와 수면)|과부하가 가족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그 함의|젠더와 관련된 이야기는 있는가?
3장 우리는 왜 이런 상황에 처했는가? 그리고 그건 왜 중요한가?
(사라진) 정책적 맥락|과부하의 원인: 세 가지 관점|TOMO의 IT 전문가와 관리자의 사례(비현실적인 스케줄과 품질에 대한 함의·다운사이징과 협업의 함의·노동 전략으로서의 해외 업무 위탁과 그것의 실제적 정서적 함의)|반대 의견을 제한하는 불안정성|과부하가 회사에 가져온 결과|다른 좋은 직군과 과부하
2부 잠재적 해결책
4장 이중 의제 업무 재설계
TOMO에서 실시된 STAR 이해하기|우리는 STAR로 무엇을, 왜, 변화시키려 하는가?|STAR vs 협상을 통한 유연성|제도적 작업과 변화로서의 STAR|STAR는 무엇인가: 제도적 작업 묘사하기|어떻게 변화를 이끌어 낼까?: 변화에 대한 필요 또는 열망 만들기(탈제도화: 현재 관행과 가정에 대한 비판 제기하기·새로운 업무 방식 제안하기: 새로운 노동 방식과 조직 그리고 관리자의 이해관계를 어떻게 일치시킬까?·어떻게 초기 저항을 무마시킬까?: 우려를 들어주면서 실험 참여 독려하기)|STAR는 어떤 것일까?: 나타난 우려 사항들(이러한 변화를 추진하는 게 정말로 현명한가?·이 변화들이 우리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가?·이 변화는 지속할 수 있을까?·이러한 우려에 성별 차이가 존재하는가?)
5장 업무 재설계가 기업에 미친 영향
셔윈의 전환점|광범위한 질문들에 답하기|번아웃, 과부하, 그리고 직무 만족도의 변화|이직률과 이직 의향의 변화|근본적으로 무엇이 변하는가?(업무 시간과 장소 변경하기·변화 하는 역할과 결정권·회의 방식 및 협업 관행 바꾸기·상시 근무 가능성과 가정된 위급 상황 변화시키기·참여, 협력, 그리고 성찰에서의 변화)|무엇이 바뀌었고 무엇은 바뀌지 않았을까?(시간·생산성과 성과 측정)
6장 건강, 삶의 질, 그리고 개인적 삶에 대한 업무 재설계의 혜택
주관적 삶의 질과 정신 건강|자신을 잘 돌보기|개인 시간 그리고 일과 삶의 충돌|아이들을 위한 시간과 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혜택들|가족 구성원들을 위한 시간
3부 앞날 내다보기
7장 2보 전진, 1보 후퇴
합병, 그리고 STAR의 공식적 종료|STAR 종료에 대한 대안적 설명과 정당화(남용에 대한 일화·협업에 대한 불안)|모호함을 이용하기, 가능한 한 오랫동안|큰 그림: 왜 새로운 조치는 유지되기 어려울까?
8장 정상적이고 지속 가능한 일자리 만들기
고용주가 만들 수 있는 변화|개별 관리자와 직원이 만들 수 있는 변화|정책적 맥락 바꾸기|더 나은 미래 설계하기
〈부록 1〉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및 직무 개요
〈부록 2〉 연구 방법론과 기업 현장 연구에 대한 성찰
‘일, 가족, 건강 네트워크’|기업과 함께, 그리고 기업 내부에서 연구하기(서로를 알아 가기·누가 참여했고 누가 나갔는가?·기업 내부에서 팀 기반 민족지학 수행하기·관계의 진화)
〈부록 3〉 행동을 위한 아이디어
관리자와 팀 리더를 위한 아이디어|개인을 위한 아이디어
옮긴이 후기
미주
참고 문헌
책속에서
직원들은 고위 경영진과 관리자가 보내는 메시지, ‘이상적인 근로자나 승진을 원하는 직원은 가족을 돌보는 의무 때문에 실제로 휴가 정책을 활용하거나 근무 시간을 줄이지는 않는다’라는 것에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그 결과 공식적인 정책과 직원들이 내리는 결정 사이에 격차, 즉 ‘디커플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책을 추진하는 사람들이 구상하는 변화는 좌절되거나 최소한 축소됩니다. 이러한 딜레마는 한국의 학자와 분석가들이 수십 년 동안 인지해 온 익숙한 문제입니다.
재택근무로 인해 집과 직장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많은 노동자들이 더 많은 시간을 업무에 투입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출근 준비, 출퇴근, 현장 근무, 퇴근이라는 루틴이 사라지면서 이른 아침이나 늦은 밤에도 노트북을 열고 일하기가 쉬워져 업무 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