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91194263173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4-12-14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역사교육의 성격
1. 역사교육론인가, 역사교육학인가? - 담론과 학문의 사이
2. ‘역사’를 공부하는가, 역사를 ‘공부’하는가? -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논쟁
3. 역사교육은 과거 일어난 일을 공부하는 것인가? - 역사적 사실과 역사해석
4. 역사 연구방법을 가르칠 수 있을까? - 역사 자료의 성격과 역사 연구
5. 역사교육 연구는 이론인가, 실천인가? - 역사교육 연구의 목적과 실천
2장 역사인식과 역사적 사고
1. 역사를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 역사인식의 의미와 역사학습
2. 역사적 설명은 역사교육에 유용한가? - 과학과 역사의 설명
3. 추체험과 감정이입은 역사 이해의 본질인가? - 역사 이해와 역사교육
4. 내러티브는 인식인가, 표현인가? - 내러티브적 역사 탐구와 서술
3장 역사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1. 내용 구성은 왜 역사교육과정에서 가장 큰 관심 대상일까? - 교육과정과 교육 내용의 의미
2. 역사적 사실인가, 개념인가? - 조직개념과 실재적 개념
3. 어떤 역사적 사실이 의미 있는가? -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
4. 주제 중심의 내용 구성은 대안인가? - 통사와 주제학습
5. 생활사는 쉽고, 사회경제사는 어려운가? - 한국사의 계열화
4장 역사수업과 교사 지식
1. 수업인가, 배움인가? - 수업 인식의 전환
2. 교사는 어떻게 수업내용을 만드는가? - 교과내용과 교사 지식
3. 초·중·고등학생도 역사가처럼 탐구할 수 있는가? - 역사 탐구와 역사하기
4. 다양한 관점은 역사인식의 본질인가? - 역사의 논쟁적 성격과 쟁점 학습
5. 역사 탐구는 질문에서 시작하는가? - 역사발문의 성격과 유형
5장 역사의 사회적 기억과 역사 읽기
1. 새로운 역사인가, 탈역사인가? - 역사 연구의 동향과 역사교육
2. 역사교육은 집단기억을 전하는 것인가? - 기억으로서의 역사적 정체성
3. 부끄러운 역사를 기억해야 하는가? - 다크투어리즘의 역사교육
4. 역사교육은 일상적 삶을 다루어야 하는가? - 일상생활사의 양면성
5. 공공역사는 학교 역사를 대체할 것인가? - 역사대중화와 공공역사
6장 역사교육의 변화와 학교 역사교육
1. 역사교육은 유교 교육인가? - 경사일체와 교훈의 전근대 역사교육
2. 역사는 ‘국민’이라는 정체성을 갖게 하는가? - 근대 국민국가 건설 도구로서의 역사교육
3. 동화인가, 차별인가? - 일제의 조선교육령과 역사교육
4. 역사교육은 정치적 이념의 산물인가? - 해방 이후 역사교육의 변화
5. 민족인가, 계급인가? - 북한 역사교육의 양면성
7장 역사교육의 과제와 전망
1. 역사교육은 시민교육인가? - 시민교육으로서 역사교육의 딜레마
2. 역사 갈등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 역사인식의 다양성을 위한 역사교육
3. 역사교육은 실천적 인간을 육성하는가? - 비판적 사고와 역사교육의 사회적 실천성
4. 지역의 관점과 국가의 관점은 달라야 하는가? - 지역의 눈으로 보는 역사
5. 역사교육의 주체는 누구인가? - 국가, 교사, 학생의 행위주체성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