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인도사
· ISBN : 9791194273189
· 쪽수 : 498쪽
· 출판일 : 2025-04-25
책 소개
목차
한국 독자를 위한 저자 서문
감수의 글
연대표
일러두기
들어가며_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화한 무굴 제국
제1부 무굴 제국의 기원과 창건(1526~1540, 1555~1556년)
제1장 인도 북부 정복 이전의 바부르
무굴 제국의 기원이 된 칭기스 왕조와 티무르 왕조│경쟁자 사이에서 보낸 바부르의 청년기│바부르의 카불 시절│1526년, 바부르의 첫 번째 정복
제2장 바부르 황제의 무굴 제국 만들기
낯선 남아시아의 환경│남아시아 문화와 공동체의 상호 작용│농경·목축·삼림에 기반한 남아시아 경제│남아시아의 정치 세계│무굴 제국 창건
제3장 후마윤 황제와 인도인
후마윤의 황제 계승│후마윤이 거둔 초기의 군사적 성공│후마윤의 무굴 제국 상실│무굴 제국 재건을 위한 후마윤의 원정
제2부 악바르 황제 재위와 무굴 제국의 확립(1556~1605년)
제4장 무굴 제국의 중심이 된 악바르 황제
악바르의 급작스러운 즉위와 경쟁자들│섭정의 그늘에서 벗어난 악바르│결혼 동맹으로 지지자를 확대한 악바르
제5장 악바르 황제와 무굴 제국의 제도
자민다르가 지배한 농촌 경제│지방 엘리트에 의존한 무굴 제국의 지방 행정│무굴 제국의 만사브 제도
제6장 수도에 따른 악바르 황제 재위기의 변화
아그라 시기, 1556~1571년│파테푸르시크리 시기, 1571~1585년│라호르 시기, 1586~1598년│데칸의 전장과 아그라에서 보낸 말년
제3부 무굴 제국의 전성기(1605~1707년)
제7장 자항기르 황제와 무굴 궁정의 개화
경쟁자와 반란을 물리치고 황제가 된 자항기르│화려한 예술과 혁신의 궁정│누르 자한과 샤 자한의 계승 분쟁
제8장 샤 자한 황제와 무굴 제국의 발돋움
되풀이되는 반란과 데칸에서의 전쟁│중앙아시아를 향한 원대한 야망│샤 자한의 투옥으로 끝난 계승 분쟁
제9장 무굴 제국의 정점이자 쇠퇴의 시작, 알람기르 황제
알람기르의 즉위와 통치 면모│데칸 원정과 어두운 미래│확대되는 전쟁과 무굴 제국의 퇴보
제4부 무굴 제국의 해체와 기억(1707년부터 현재까지)
제10장 무굴 제국의 소멸
바하두르 샤와 어지러운 계승│섭정의 지배를 받는 살라틴과 황제들│최후의 무굴 황제들
제11장 무굴 제국의 의미에 대한 논쟁들
17세기의 무굴 제국에 관한 다양한 시선│18세기 이후의 무굴 제국 역사 서술과 중요성│영국 식민 통치 시대, 1857~1947년│독립 이후 무굴 제국 역사의 의미 모색
그림·지도·계보도 목록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무굴 제국의 황제들과 그 가계:1526년에서 1857년까지
무굴 제국을 이해하는 핵심 개념들
책속에서
점점 커지고 있는 무굴 제국의 역사를 향한 관심은 가히 세계적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독자 여러분은 무굴 제국의 역사를 동시대 조선의 역사와 비교하고 또 대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두 국가 모두 안팎의 도전을 이겨 내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그러나 모든 왕조는 각자만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며 독특한 정치 복합체를 이루기 마련이었다. 이후로도 더 많은 사람이 무굴 제국의 역사를 중요하게 여기리라는 이야기다. - <한국 독자를 위한 저자 서문> 중에서
무굴 제국의 역사는 우리에게 한 나라의 과거에 대한 지식 이상의 통찰력을 준다. 여기에는 1947년 이후 인도와 헤어진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의 후손은 물론, 더 나은 삶과 기회를 찾아 무굴 제국으로 이주한 다양한 층위의 중앙아시아인과 서아시아인의 문화와 역사가 날실 씨줄로 얽혀 있기 때문이다. - <감수의 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