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근현대한국문화
· ISBN : 9791195282852
· 쪽수 : 351쪽
· 출판일 : 2015-08-25
책 소개
목차
1부: 한국학과 현대문화의 특징
제1장 현대문화의 주요 개념과 특징
1. 문화의 뜻과 용례
1) 동양권에서 문명·문화의 개념과 그 용례
2) 서양권에서 문명·문화 개념과 그 용례
2. 문화의 4가지 분류 형식
1) 뛰어난 문화
2) 우승열패(優勝劣敗)의 문화
3) 예술 및 정신적 산물
4) 상징체계 혹은 생활양식
3. 문화의 유형과 특징
1) 현대문화 형성의 토대와 이념적 경향
2) 현대문화의 특징: 문화혼종성
4. 문화 분석 연습: 「나시르마 사람들」의 문화 읽기
제2장 한국 현대문화의 주요 국면과 특징
1. 문명 개념의 수용과 이질적인 박래품(舶來品)의 등장
1) 서구 문명 개념의 수용 양상과 태도
2) 이질적인 박래품의 수용 양상과 조선 민중의 반응
2. 세대문화로 읽는 한국 현대문화의 압축적 변화상
1) 세대 담론의 의미와 기준
2) 세대론의 유형과 문화적 특징
3. 근대적 시간의 배치와 문화의 자본화
4. 문화 분석 연습: 「4·19세대의 회고와 반성」 읽기
2부: 한국학과 현대문화의 관점
제3장 ‘오늘의 한국’을 찾기 위한 모색
1. 문제 제기
2. 새로운 시도
1) 통시(通時)에서 공시(共時)로
2) 본질에서 실존으로
3) 단일에서 다양으로
4) 설명(說明)에서 기술(記述)로
제4장 미디어와 스펙터클의 시대: 영상 문화의 시대
1. 미디어와 영상의 개념
1) 미디어란 무엇인가
2) 영상 미디어와 영상 문화
3) 이미지의 시대에서 스펙터클의 시대로
4) 스펙터클의 시대에서 가상의 시대로
5) 글로컬 시대의 영상
2. 영상 장르의 이해
1) 영상 저널리즘과 뉴스
2) 다큐멘터리
3) 극영화
4) 텔레비전 드라마
5) 게임과 디지털 영상
6) 영상을 넘어선 영상
3. 영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1) 영상 재현과 본다는 것의 의미
2) 영상과 정치적 실천
3) 영상과 소비문화
제5장 기억과 역사의 경합
1. 역사에 대한 성찰과 기억의 대두
1)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
2)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
3) 담론으로서의 역사
4) 내러티브로서의 역사
5) 기억의 부상
2. 기억에 관한 개념들
1) 집단 기억
2) 문화적 기억
3) 기억의 터
4) 대중 기억
3. 과거와 정체성의 문제
1) ‘정체성들’
2) 역사와 기억 그리고 민족주의
3) ‘과거 바로 세우기’의 모습
4) 기념 기억
4. 역사와 기억의 문화적 재현
1) 영상 기억
2) 디지털 기억
3) 다크 투어리즘
4) 향수와 복고
3부: 한국학과 현대문화의 주요 쟁점
제6장 언어 제국주의와 한국어
1. 들머리
2. 영어 공용화의 논리
1) 한국의 영어 공용화론: 복거일의 저술을 중심으로
2) 일본의 영어 공용화론
3. 민족주의 그리고 언어 제국주의
1) 한국에서 민족주의는 버려야 할 이데올로기인가?
2) 언어 제국주의
3) 다문화 시대와 한국어
4. 맺음말
제7장 현대 정보화 사회와 한글
1. 들머리
2. 한글의 기원
1) 해례본의 상실과 ‘자방고전(字倣古篆)’
2) 양반 기득권 세력의 반대와 ‘자방고전’
3. 한글 창제의 진실
1) 훈민정음 창제의 이유
2) 절대음감의 음악 천재 세종
3) 한글의 창제 원리: 자음
4) 한글 창제의 원리: 모음
4. 성운학과 한글
1) 한글의 특성과 기계화·전산화의 난점
2) 「동국정운」과 성운학
3) 한글의 체계에 미친 성운학의 영향
4) 독창적 3분법
5. 현대 사회와 한글
1) 한글 전용과 국한자 혼용의 문제
2) 중국의 문자 개혁
3) 쉬운 말과 글
제8장 현대문화와 한문학
1. 현대란 무엇인가?
1) 한문학은 현대문화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
2) 현대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3) 타자와 회전하는 기호들
2. 문화란 무엇인가?
3. 현대문화와 한문학적 상상력
1) 한문학과 생태비평
2) 현대문화와 한문학의 대중화
3) 한문학과 문화콘텐츠
4. 현대문화와 한문학의 새로운 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