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법과 생활 > 법률이야기/법조인이야기
· ISBN : 9791195295210
· 쪽수 : 355쪽
· 출판일 : 2014-07-02
책 소개
목차
제1편 회사법
1. 주가 조작 근절과 건전한 자본시장 조성ㆍ14
2. 법률로 본 철도파업ㆍ17
3. 공기업 개혁, 핵심을 제대로 짚어야ㆍ21
4. 중국과 한국 정부의 M&A 지원 현주소ㆍ22
5. 지배주주의 충실의무와 그 책임에 대해 현주소ㆍ25
6. 적대적 M&A와 인수대상기업의 이사ㆍ27
7. 경영자 보수의 적정성ㆍ29
8. 추천과정부터 지배주주 입김 작용ㆍ31
9. 기업회생 절차의 바람직한 모델ㆍ33
10. 이사책임제한 정관 제도적 보완을ㆍ37
11. 사외이사제도의 개선방향ㆍ39
12. 전자주주총회가 활성화되려면ㆍ41
13. 기관투자가 의결권행사 해야 한다ㆍ43
14. CB 및 BW의 저가발행관련 법적 책임ㆍ45
15. 국민연금 의결권행사 전제조건ㆍ47
16. 법률시장의 액체경영ㆍ49
17. 보완 필요한 집행임원제도ㆍ50
18. 기존관리인유지제도의 개선방향ㆍ52
19. 금융옴부즈만제도의 재정립 및 활성화ㆍ54
20. 연기금의 적극적 행동주의와 합리적 지배구조ㆍ56
21. 할부리스사의 지배구조개선 등ㆍ58
제2편 기업금융법
1. 지식재산 금융과 법제도적 인프라 스트럭쳐 ㆍ62
2. 국내 자동차의 해외집단소송 교훈ㆍ64
3.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근원적인 대책은?ㆍ66
4. 국민연금 주주권 행사와 경제민주화ㆍ68
5. 금융소비자보호원 신설에 기대ㆍ72
6. 불완전판매에 대한 접근방식 개선 필요ㆍ74
7. 금융소비자보호? 이번엔 제대로 하자ㆍ75
8.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해야ㆍ77
9. 금융소비자보호원출범을 기대한다ㆍ 79
10. 해외기업 M&A의 전략적 필요성ㆍ82
11. 금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ㆍ83
12. 금융소비자보호법이 담아야 할 것ㆍ85
13. 동산·채권 담보대출 활성화되려면ㆍ88
14. 자동차 사고 때 리스사의 법적책임ㆍ90
15. 금융산업에서의 간접규제 리스크ㆍ92
16. 연금사회주의와 연금민주주의ㆍ94
17. IP금융과 크라우드 펀딩ㆍ96
18. 국민검사청구와 공공행정서비스ㆍ98
19. 국세청, FIU 정보접근 안된다ㆍ100
20. 그림자금융에 대한 적정규제ㆍ103
21. 금융규제에도 필요한 의사소통ㆍ104
22. 금융산업 국제경쟁력 제고ㆍ106
23. 금융상품의 불완전판매와 소비자보호ㆍ108
24. 금융소비자보호법안에 대하여ㆍ110
25. 기술임치제도 활성화시키자ㆍ112
26. 기업구조조정과 LBOㆍ114
27. 디지털시대의 M&Aㆍ117
28. 빌려 쓰는 시대, 리스계약의 개선점ㆍ118
29. 자동차 금융과 소비자 보호ㆍ120
30. 자동차금융과 지자체 지원 인프라ㆍ123
31. 조세피난처와 역외금융정보의 투명성ㆍ125
32. 지식재산 금융 활성화하려면ㆍ127
33. 할부 리스사의 지배구조 개선ㆍ129
34. 동산담보 금융거래 활성화를ㆍ131
35. 소셜커머스와 소비자보호ㆍ 133
36. 탈세적발과 사생활보호ㆍ134
37. 국민검사청구제도 개선 필요성ㆍ137
38. 차명금융거래의 규제필요성ㆍ139
39. 클라우드 펀딩의 제도적 지원을 기대하며ㆍ141
40. 피해자 구제 못하는 국민검사청구제ㆍ144
41. 민간투자사업 재점검해보자ㆍ145
42. 금융소비자보호원, 허수아비 안돼야ㆍ147
43. 민간투자사업 계약 다시 따지자ㆍ149
44. 투자, 발상전환이 필요하다ㆍ151
45. 금소원 신설, 견제와 균형 계기로ㆍ153
46. 국내 법률시장의 7가지 스마트한 변화ㆍ155
47. 국민연금의 주주권행사의 현재와 미래ㆍ159
48. 국민연금이‘백기사’노릇을 제대로 하려면ㆍ161
49. 국세청의 FIU 금융정보 활용논의에 대하여ㆍ163
50. 국세청의 FIU 금융정보 활용에 대한 제언ㆍ166
51.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법과 제도ㆍ169
52. 자동차 금융 선진화 걸림돌‘자동차등록사업소’ㆍ172
53. 대출 주역으로 떠오른 대출모집인… ‘앉아서 편하게’앞세워 60조 실적ㆍ175
54. 벤처 아이디어‘대박’나는 지식재산금융 무엇?ㆍ176
55. 적대적 M&A와 방어 행위 기준ㆍ178
56. 지식재산금융이 활성화되려면ㆍ181
57. 지식재산금융의 법제도정비가 급하다ㆍ183
58. 크라우드 펀딩 입법 급하다ㆍ185
제3편 외국판결과 공정거래법
1. 미국의 전자책담합판결 : 독점에 맞섰나 몹쓸 담합인가 9000억 배상 위기 애플 전자책 ㆍ188
2. 유럽사법재판소의 판결 온라인상의 프라이버시권 : 잊혀질 권리ㆍ191
3. 카르텔 분야 소비자 구제제도의 실효성 제고ㆍ193
4. 동의의결제도와 실효성 있는 소비자 구제ㆍ196
5. 과징금의 오해와 진실ㆍ200
6. 공정위에 소액 피해자 대표소송권 부여할까ㆍ202
8.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확대ㆍ204
6.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확대해야ㆍ206
제4편 지식재산권법
1. E-Discovery와 디지털 포렌식ㆍ210
2. 미국 법원도‘빅브라더’에 겁먹었나? 저작권 관련 소송에서 구글 손 들어줘… 도서관 책 스캔해 검색 서비스 가능ㆍ212
3. 스트리밍 음원‘Gee’, 매장에 튼 백화점, 저작권은?ㆍ215
4. IP금융 위한 지식재산 자본관리 시스템ㆍ217
5. 지식재산과 지적자본 관리를 위한 제언ㆍ219
6. 지식재산과 창조금융ㆍ223
7. 글로법 저작권 고속도로를 달리자ㆍ225
8. 지적 자본의 효율적 관리 필요하다ㆍ227
9. 문화수출지원 인프라 구축필요ㆍ229
10. 빅데이터 시대, 사생활정보와 저작권을 보호하려면ㆍ231
제5편 방송통신법, 보건복지법 및 중재/ADR
1. 기업 영업비밀의 범위ㆍ236
2. 빅데이터 전략과 개인정보보호ㆍ238
3. 사전의료 지시서와 혼인 전 계약ㆍ239
4. 저작권 등 지식재산분쟁해결에서의 ODR의 활성화ㆍ241
5. 디지털 시대의 국제 중재 방안ㆍ243
6. 디지털시대의 중재제도ㆍ246
7. ISD분쟁 대상 범위 명확하게ㆍ249
8. 발등의 불 된 국제중재인 양성ㆍ251
9. 다가온 온라인 분쟁해결 시대ㆍ253
제6편 세법, 에너지법 및 이민법
1. 역외조세회피에 대한 규제패러다임의 변화ㆍ256
2. 일감 몰아주기와 지배주주의 충실의무ㆍ258
3. 역외조세회피 제대로 막으려면ㆍ262
4. 글로벌시대의 역외탈세 방지법ㆍ264
5. ‘역외탈세와의 전쟁’승리하려면ㆍ268
6. 역외탈세 방지, 금융정보 투명화가 첫걸음ㆍ270
7. 新재생에너지산업 도약하려면ㆍ272
8. 외국인정책 총괄할 이민청 세우자ㆍ274
제7편 소비자법률과 환경법
1. 집단소송제도의 오해와 진실ㆍ278
2. 개인정보 유출 정신적 손해 배상해야ㆍ280
3. 디지털 시대엔 규제개혁도 수요자 중심으로ㆍ282
4. 연비부실 해외는 집단소송 우리는 청구기각ㆍ284
5.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법과 제도ㆍ286
6. 실효성 없는‘정보 유출’피해구제ㆍ290
7. 우리도‘소비자차별금지법’이 필요하다ㆍ292
8. 관치 금융 대 자치금융ㆍ293
9.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을 위한 제언ㆍ296
10. 부러진 화살의 교훈ㆍ299
11. 리우 20+회의와 녹색경제 재조명ㆍ302
제8편 법률문화(사법소비자/법률행정)
1.‘황제노역’판결 어떻게 볼 것인가ㆍ306
2. The Judge is the best Job?ㆍ308
3. 국민참여재판제도에 대한 오해와 진실ㆍ310
4. 사이버 법제 정비 서두르자ㆍ313
5.‘배심원 무죄..재판부 유죄’국민참여재판 성공하려면ㆍ315
6. 헌재·대법원 사법 불일치 혼란 제한적 도입 고려할 시점 재판소원 도입ㆍ318
7. 금융소비자 보호기구의 역할ㆍ322
8. 법원의 재판도 헌법소원의 대상인가ㆍ324
9. 사법의 갑을문화도 바꾸자ㆍ325
10. 한국인의 고소·고발 심리ㆍ327
11. 인간의 본성을 테스트하는 문제점이 있어ㆍ329
12. 새 정부와 공직자 자세ㆍ331
13. 법률개방시대, 법조계도 변해야ㆍ333
14. 국민을 판결대상으로만 보지 말자ㆍ335
15. 대법관‘사법소비자 권리인식’도 검증해야ㆍ337
16. 기대높아진 헌법재판관이 제역할을 하여금ㆍ339
17. 금융 전문 법률 서비스ㆍ341
18. 사법분야에도 민주화가 필요하다ㆍ344
19. 로스쿨제도 이렇게 보완하자ㆍ346
20. 디지털시대에 맞게 사법개혁해야ㆍ348
제9편 기타
1. 조용필 열풍과 50대의 반란ㆍ352
2. 학생운동경력이 멍에인가 명예인가?ㆍ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