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법률의 눈으로 바라본 사회와 경제

법률의 눈으로 바라본 사회와 경제

김승열 (지은이)
한송온라인리걸센터 주식회사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법률의 눈으로 바라본 사회와 경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법률의 눈으로 바라본 사회와 경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법과 생활 > 법률이야기/법조인이야기
· ISBN : 9791195295210
· 쪽수 : 355쪽
· 출판일 : 2014-07-02

책 소개

100여개의 사회현상에 대하여 이를 법률가의 시가에서 이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를 진단하고 이의 해법과 전망을 제시한다. 다양한 사회현안을 관련법률별로 나누어 독자들로 하여금 이해에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목차

제1편 회사법
1. 주가 조작 근절과 건전한 자본시장 조성ㆍ14
2. 법률로 본 철도파업ㆍ17
3. 공기업 개혁, 핵심을 제대로 짚어야ㆍ21
4. 중국과 한국 정부의 M&A 지원 현주소ㆍ22
5. 지배주주의 충실의무와 그 책임에 대해 현주소ㆍ25
6. 적대적 M&A와 인수대상기업의 이사ㆍ27
7. 경영자 보수의 적정성ㆍ29
8. 추천과정부터 지배주주 입김 작용ㆍ31
9. 기업회생 절차의 바람직한 모델ㆍ33
10. 이사책임제한 정관 제도적 보완을ㆍ37
11. 사외이사제도의 개선방향ㆍ39
12. 전자주주총회가 활성화되려면ㆍ41
13. 기관투자가 의결권행사 해야 한다ㆍ43
14. CB 및 BW의 저가발행관련 법적 책임ㆍ45
15. 국민연금 의결권행사 전제조건ㆍ47
16. 법률시장의 액체경영ㆍ49
17. 보완 필요한 집행임원제도ㆍ50
18. 기존관리인유지제도의 개선방향ㆍ52
19. 금융옴부즈만제도의 재정립 및 활성화ㆍ54
20. 연기금의 적극적 행동주의와 합리적 지배구조ㆍ56
21. 할부리스사의 지배구조개선 등ㆍ58

제2편 기업금융법

1. 지식재산 금융과 법제도적 인프라 스트럭쳐 ㆍ62
2. 국내 자동차의 해외집단소송 교훈ㆍ64
3.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근원적인 대책은?ㆍ66
4. 국민연금 주주권 행사와 경제민주화ㆍ68
5. 금융소비자보호원 신설에 기대ㆍ72
6. 불완전판매에 대한 접근방식 개선 필요ㆍ74
7. 금융소비자보호? 이번엔 제대로 하자ㆍ75
8.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해야ㆍ77
9. 금융소비자보호원출범을 기대한다ㆍ 79
10. 해외기업 M&A의 전략적 필요성ㆍ82
11. 금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ㆍ83
12. 금융소비자보호법이 담아야 할 것ㆍ85
13. 동산·채권 담보대출 활성화되려면ㆍ88
14. 자동차 사고 때 리스사의 법적책임ㆍ90
15. 금융산업에서의 간접규제 리스크ㆍ92
16. 연금사회주의와 연금민주주의ㆍ94
17. IP금융과 크라우드 펀딩ㆍ96
18. 국민검사청구와 공공행정서비스ㆍ98
19. 국세청, FIU 정보접근 안된다ㆍ100
20. 그림자금융에 대한 적정규제ㆍ103
21. 금융규제에도 필요한 의사소통ㆍ104
22. 금융산업 국제경쟁력 제고ㆍ106
23. 금융상품의 불완전판매와 소비자보호ㆍ108
24. 금융소비자보호법안에 대하여ㆍ110
25. 기술임치제도 활성화시키자ㆍ112
26. 기업구조조정과 LBOㆍ114
27. 디지털시대의 M&Aㆍ117
28. 빌려 쓰는 시대, 리스계약의 개선점ㆍ118
29. 자동차 금융과 소비자 보호ㆍ120
30. 자동차금융과 지자체 지원 인프라ㆍ123
31. 조세피난처와 역외금융정보의 투명성ㆍ125
32. 지식재산 금융 활성화하려면ㆍ127
33. 할부 리스사의 지배구조 개선ㆍ129
34. 동산담보 금융거래 활성화를ㆍ131
35. 소셜커머스와 소비자보호ㆍ 133
36. 탈세적발과 사생활보호ㆍ134
37. 국민검사청구제도 개선 필요성ㆍ137
38. 차명금융거래의 규제필요성ㆍ139
39. 클라우드 펀딩의 제도적 지원을 기대하며ㆍ141
40. 피해자 구제 못하는 국민검사청구제ㆍ144
41. 민간투자사업 재점검해보자ㆍ145
42. 금융소비자보호원, 허수아비 안돼야ㆍ147
43. 민간투자사업 계약 다시 따지자ㆍ149
44. 투자, 발상전환이 필요하다ㆍ151
45. 금소원 신설, 견제와 균형 계기로ㆍ153
46. 국내 법률시장의 7가지 스마트한 변화ㆍ155
47. 국민연금의 주주권행사의 현재와 미래ㆍ159
48. 국민연금이‘백기사’노릇을 제대로 하려면ㆍ161
49. 국세청의 FIU 금융정보 활용논의에 대하여ㆍ163
50. 국세청의 FIU 금융정보 활용에 대한 제언ㆍ166
51.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법과 제도ㆍ169
52. 자동차 금융 선진화 걸림돌‘자동차등록사업소’ㆍ172
53. 대출 주역으로 떠오른 대출모집인… ‘앉아서 편하게’앞세워 60조 실적ㆍ175
54. 벤처 아이디어‘대박’나는 지식재산금융 무엇?ㆍ176
55. 적대적 M&A와 방어 행위 기준ㆍ178
56. 지식재산금융이 활성화되려면ㆍ181
57. 지식재산금융의 법제도정비가 급하다ㆍ183
58. 크라우드 펀딩 입법 급하다ㆍ185

제3편 외국판결과 공정거래법

1. 미국의 전자책담합판결 : 독점에 맞섰나 몹쓸 담합인가 9000억 배상 위기 애플 전자책 ㆍ188
2. 유럽사법재판소의 판결 온라인상의 프라이버시권 : 잊혀질 권리ㆍ191
3. 카르텔 분야 소비자 구제제도의 실효성 제고ㆍ193
4. 동의의결제도와 실효성 있는 소비자 구제ㆍ196
5. 과징금의 오해와 진실ㆍ200
6. 공정위에 소액 피해자 대표소송권 부여할까ㆍ202
8.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확대ㆍ204
6.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확대해야ㆍ206

제4편 지식재산권법

1. E-Discovery와 디지털 포렌식ㆍ210
2. 미국 법원도‘빅브라더’에 겁먹었나? 저작권 관련 소송에서 구글 손 들어줘… 도서관 책 스캔해 검색 서비스 가능ㆍ212
3. 스트리밍 음원‘Gee’, 매장에 튼 백화점, 저작권은?ㆍ215
4. IP금융 위한 지식재산 자본관리 시스템ㆍ217
5. 지식재산과 지적자본 관리를 위한 제언ㆍ219
6. 지식재산과 창조금융ㆍ223
7. 글로법 저작권 고속도로를 달리자ㆍ225
8. 지적 자본의 효율적 관리 필요하다ㆍ227
9. 문화수출지원 인프라 구축필요ㆍ229
10. 빅데이터 시대, 사생활정보와 저작권을 보호하려면ㆍ231

제5편 방송통신법, 보건복지법 및 중재/ADR

1. 기업 영업비밀의 범위ㆍ236
2. 빅데이터 전략과 개인정보보호ㆍ238
3. 사전의료 지시서와 혼인 전 계약ㆍ239
4. 저작권 등 지식재산분쟁해결에서의 ODR의 활성화ㆍ241
5. 디지털 시대의 국제 중재 방안ㆍ243
6. 디지털시대의 중재제도ㆍ246
7. ISD분쟁 대상 범위 명확하게ㆍ249
8. 발등의 불 된 국제중재인 양성ㆍ251
9. 다가온 온라인 분쟁해결 시대ㆍ253

제6편 세법, 에너지법 및 이민법

1. 역외조세회피에 대한 규제패러다임의 변화ㆍ256
2. 일감 몰아주기와 지배주주의 충실의무ㆍ258
3. 역외조세회피 제대로 막으려면ㆍ262
4. 글로벌시대의 역외탈세 방지법ㆍ264
5. ‘역외탈세와의 전쟁’승리하려면ㆍ268
6. 역외탈세 방지, 금융정보 투명화가 첫걸음ㆍ270
7. 新재생에너지산업 도약하려면ㆍ272
8. 외국인정책 총괄할 이민청 세우자ㆍ274

제7편 소비자법률과 환경법

1. 집단소송제도의 오해와 진실ㆍ278
2. 개인정보 유출 정신적 손해 배상해야ㆍ280
3. 디지털 시대엔 규제개혁도 수요자 중심으로ㆍ282
4. 연비부실 해외는 집단소송 우리는 청구기각ㆍ284
5.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법과 제도ㆍ286
6. 실효성 없는‘정보 유출’피해구제ㆍ290
7. 우리도‘소비자차별금지법’이 필요하다ㆍ292
8. 관치 금융 대 자치금융ㆍ293
9.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을 위한 제언ㆍ296
10. 부러진 화살의 교훈ㆍ299
11. 리우 20+회의와 녹색경제 재조명ㆍ302

제8편 법률문화(사법소비자/법률행정)

1.‘황제노역’판결 어떻게 볼 것인가ㆍ306
2. The Judge is the best Job?ㆍ308
3. 국민참여재판제도에 대한 오해와 진실ㆍ310
4. 사이버 법제 정비 서두르자ㆍ313
5.‘배심원 무죄..재판부 유죄’국민참여재판 성공하려면ㆍ315
6. 헌재·대법원 사법 불일치 혼란 제한적 도입 고려할 시점 재판소원 도입ㆍ318
7. 금융소비자 보호기구의 역할ㆍ322
8. 법원의 재판도 헌법소원의 대상인가ㆍ324
9. 사법의 갑을문화도 바꾸자ㆍ325
10. 한국인의 고소·고발 심리ㆍ327
11. 인간의 본성을 테스트하는 문제점이 있어ㆍ329
12. 새 정부와 공직자 자세ㆍ331
13. 법률개방시대, 법조계도 변해야ㆍ333
14. 국민을 판결대상으로만 보지 말자ㆍ335
15. 대법관‘사법소비자 권리인식’도 검증해야ㆍ337
16. 기대높아진 헌법재판관이 제역할을 하여금ㆍ339
17. 금융 전문 법률 서비스ㆍ341
18. 사법분야에도 민주화가 필요하다ㆍ344
19. 로스쿨제도 이렇게 보완하자ㆍ346
20. 디지털시대에 맞게 사법개혁해야ㆍ348

제9편 기타

1. 조용필 열풍과 50대의 반란ㆍ352
2. 학생운동경력이 멍에인가 명예인가?ㆍ354

저자소개

김승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 School of Law(LL.M.with honours) 미국 UC, Berkeley School of Law Visiting Scholar 미국 Boston University School of Law (LL.M. in Banking Law)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JSD Candidate [경력] 제24회 사법시험합격(사법연수원 제14기), 미국 뉴욕주 변호사 미국 뉴욕 소재 로펌 Paul, Weiss, Rifkind, Warton & Garrison 변호사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단 중재인, 국제 중재인 재무부 금융산업발전심의회 OECD전문위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대외경제전문가 풀 의 전문위원 통상산업부 통상무역정책자문위원회 위원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시립대, 홍익대의 각 강사, 숙명여자대학교 법과대학 겸임교수 경남은행, 스타리스㈜, 푸른2상호저축은행의 각 사외이사 학교법인 단국대학교 정이사 대학구조조정정책 Project 연구위원(교과부) OECD보험위원회 국가대표참석(공정거래위원회) 통신위원회 법령ㆍ약관심사위원회위원 공무원 급여심의위원회위원 금융감독위원회 자체규제 심사위원 기획재정부 공기업 경영평가위원, 공공기관장 경영계획서 이행실적평가위원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폐지실질심사위원회의 위원장 대법원 산하 사법연수원 외래교수(민사변호사실무) 환경부, 교육과학기술부, 방송통신위원회, 보건복지부 각 고문변호사 지식경제부 에너지정책전문위원회 위원 법무부 국제거래법 문제유형 연구위원, 사법시험 제3차시험면접위원, 이민정책자문위원, 사법시험관리위원 한국금융연수원에서 “지식재산금융과 법제도”강의(2014) 대한변호사협회 이사 KAIST 지식재산대학원 겸직교수 FORTUNE KOREA, 서울신문, 머니투데이, 신동아, 서울경제, 이코노미 조선 등 객원칼럼니스트 감사원 행정심판위원 금융위FIU 자금세탁방지 정책위원회 위원 대통령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 한국예탹결제원 청렴 옴부즈만 대통령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지식재산활용전문위원회의 위원장 법무부 사법시험 관리위원회 위원 대한변호사협회 부협회장 경향신문사 사외이사 [저서 & 논문] 주가수준미달에 의한 상장폐지에 대한 소고, 성균법학(2007) 김현종& 김승열, 무역형태가 한국기업들이 합병, 인수에 미친 영향, 국제법률경영(1993, 가을) 미국의 투자회사법 제36조에 의한 사적제소, 국제법률경영(1994, 가을) 은행산업의 경쟁력제고방안(공정거래위원회) 코스닥시장에서의 상장폐지에 관한 연구, 국민법학(2010) [표창] 지식경제부 장관표창(대한 상사중재원: 중재활동) [도서] 한국의 논점 2014 김승열 외 공저 동아일보사 법률의 눈으로 바라본 사회와 경제 김승열 온라인리걸센터 출판부 지식재산금융과 법제도 김승열 한송 온라인리걸센터 주식회사 기업법률분쟁과 조정.분쟁 김승열 한송 온라인리걸센터 주식회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