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역
· ISBN : 9791195315253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7-06-1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이순신의 승리비결–지혜를 주는 삶의 지침
· 임진왜란과 《주역》, 그리고 이순신
·《주역》이론과 풀이 방법
이순신의 고사와 《주역》풀이
[지혜] 1장 혜안으로 미래를 예견하다
형세에 맞는 거북선을 만들다 創智造船 - 창조
전쟁을 적기 위해 붓을 들다 意於筆硯 - 성찰
포구의 백성을 길잡이로 삼다 日聚浦氓 - 견문
왜선의 진입로를 봉쇄하다 遮遏海路 - 대책
부채로 전쟁지원을 요청하다 鳩工造扇 - 화합
나라의 인재 개발에 힘쓰다 匡國柱石 - 양성
[극기] 2장 불굴의 의지로 일어서다 –
아픈 상처를 잊고 나아가다 灰水浴洗 - 인내
온갖 노력으로 자급자족하다 積穀巨萬 - 자생
억울한 상황에도 초연하다 死生有命 - 운명
영전에 하직하고 출정하다 哭辭靈前 - 도리
최악의 상황에도 살아나다 心死形存 - 회생
끝까지 맡은 임무를 다하다 自行焚燒 - 최선
[응변] 3장 뛰어난 전략으로 승리하다
옥포에서 협력하여 첫 승리를 거두다 樂赴之志 - 기동
한산대해로 유인하여 일망타진하다 腥血赤海 - 기만
명량에서 사투하여 수군을 재건하다 必死則生 - 역전
진린에게 절이도의 전공을 양보하다 悉納首級 - 의리
장도에서 원수를 살려 보내지 말라 不可縱遣 - 설욕
노량에서 나의 죽음을 말하지 말라 勿言我死 - 희생
부록
1. 정유재란의 발생
2. 백의종군의 여정
3. 명량해전의 승리
4. 노량해전의 전사
5. 체괘와 용괘란 무엇인가
6. 체용을 총론한 요결體用總訣
7. 관물의 현묘함을 노래한 요결觀物玄妙歌訣
8. 64괘의 반대되는 성정性情
참고문헌
이순신 연보
저자소개
책속에서
무술년 11월 19일 자정 이후 왜선 5백여 척이 사천 남쪽 수로인 광주光洲에서 서쪽의 노량을 통과하고 있었다. 이에 조명 연합군이 진격함으로써 전쟁이 시작됐다. 이때 이순신이 명하기를 “왜적의 머리를 베는 자가 있으면 군령을 행할 것이다.”라며 개인의 전공보다는 왜적 추격전에 집중하도록 독려했다.
_〈물언아사勿言我死〉고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