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예술, 경제와 통하다

예술, 경제와 통하다

최병서 (지은이)
홍문각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예술, 경제와 통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예술, 경제와 통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95505876
· 쪽수 : 367쪽
· 출판일 : 2017-06-02

책 소개

이 책은 경제학자의 눈으로 예술의 발전과정과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탄생과 소멸 예술교육, 예술가를 지원한 시스템(메세나등), 예술가와 경제발전, 예술가와 예술시장 등을 폭넓게 다루고 있다.

목차

이 책을 쓰면서/ 4

1부 문화예술과 시장

1 문화와 예술 그리고 생산력•12

2 전통경제학에서 문화예술 경제학으로•17

3 문화경제적 균형(러스킨적 균형상태)•22

4 예술에 대한 취향의 중요성•26

사례_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연주회•29

참고_ 문화예술에 대한 선호체계로서의 무차별곡선•31

5 예술과 시간집약적 소비 •33

6 예술에 대한 평균적 취향과 대중예술의 통속성•37

7 순수예술에서 대중예술로•41

8 순수예술에 대한 대중의 저주와 순수예술의 고사 위기•50

9 예술의 대체 가설•57

10 경제발전과 문화예술: 예술가의 패러독스•68

2부 미술과 시장

1 화가와 미술시장•78

2 예술과 창의성•90

3 근대 예술시장의 발전•97

4 위작(僞作)과 모작(模作)•108

5 예술 작품으로서의 미술관•119

6 미술관 수장고의 경제학•128

7 경제모형과 예술가의 눈(眼)•137

8 가치의 선택과 개념미술•144

9 경제불황과 전업작가: 고갱이 타히티로 간 까닭은?•154

10 낙서에서 예술로•162

에피소드 1_ 아델레 블로흐바우어 부인의 귀환•169

에피소드 2_ 현대예술의 현주소•175

3부 공연예술시장 분석

1 공연예술 수요•184

읽어보기_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시간 배분•192

2 공연예술 생산과 공급•195

3 공연예술 산업에서의 최적 공급량•206

4 공연단체의 의사결정모형•212

5 공연가격차별과 수입극대화•220

6 뮤지컬 흥행과 공연티켓 가격•227

7 공연예술의 흥행방정식•233

8 동료재(同僚財)와 디드로(Diderot)효과•240

에피소드 1_ 실패한 독립 음악가 모차르트•249

에피소드 2_ 음악사에서 지울 수 없는 일화들•257

4부 공연예술부문의 생산성 딜레마

1 보우몰의 비용 질병(Cost Disease)•266

2 공연예술산업 딜레마의 탈출구는 없는가?•276

참고_ 보우몰의 비용 질병 모형•285

5부 예술에 대한 지원과 예술가

1 예술 부문에 대한 지원 근거•292

2 예술 산업의 외부 효과•297

3 예술 지원방식•304

4 케인즈와 문화예술 지원•314

5 직업으로서의 예술가•318

6 예술가의 길과 예술가 노동시장의 구조•325

7 예술지원 기업과 메세나•332

에피소드_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와 미국의 자존심•341

6부 영화산업

1 영화의 경제적 특성•344

2 영화제작과 투자비용•349

3 스타의 경제학과 흥행•354

4 영화는 사치재인가?•358

5 우리나라 영화산업의 흥망성쇠•361

이 책을 마무리 하면서/ 366

저자소개

최병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제학자. 인문학과 예술을 경제학에 접목시키며 이에 관한 흥미로운 경제적 분석을 통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독일 문학을 전공하며 인문학과 사회과학 전반에 관한 호기심으로 가득 찬 대학 시절을 보냈다. 미국으로 건너가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경제학 석사, 그리고 뉴욕의 컬럼비아 대학에서 인적자본이론에 대한 실증적 분석으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동덕여대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사회대학장, 대학원장을 역임했고, 현재 성균관대 대학원 초빙교수로 있다. 또한 한국문화경제학회 회장, 예술경영지원센터 이사를 역임했고 ‘현우 문화경제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한국일보의 <명화를 보다, 경제를 읽다> 연재 칼럼을 비롯해 여러 신문, 잡지에 고정 칼럼을 기고하였으며, 홍콩아트페어, 국립현대미술관, 메세나협회, 전경련 등 여러 단체와 민간 기업에서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로빈슨 크루소 경제원리>, <영화로 읽는 경제학>, <경제학자의 미술관>, <예술, 경제와 통하다> 등이 있으며 <파리 느리게 걷기>, <런던 느리게 걷기>, <음악으로 찍은 비엔나> 같은 경제학 이외의 문화예술 관련 저술에도 정열을 쏟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저자 서문>

이 책을 쓰면서...

책 한 권의 집필을 끝낸다는 것은, 그것이 아무리 다른 사람들의 눈 에는 별 볼 일 없는 책으로 보일지라도, 쓰는 이에게는 대단한 시간과 노력과 끈기가 요구된다. 표절이 아니라면 말이다. 이 책을 쓰기로 마 음먹은 것은 한 10년 전쯤이다. 당시에 경제학과 학생들을 위해서 선 택과목으로 ‘문화예술경제’를 개설하고부터다. 그 무렵은 경제에서도 문화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었으며, 우리나라도 문화예술과 경제학 의 접목이 필요한 시점에 와있었다. 강의 준비를 하면서 이 분야에 대 한 관심을 넓히고 관련 서적과 논문을 접하였다.
처음 이 책을 쓸 때는 문화예술경제에 대한 입문서로 시작을 하였으 나 교재용으로 초점을 맞추려다 보니 내용이 점점 어려워지고 딱딱하 게 되었다. 경제학을 전공한 학생 이외의 비전공자들과 일반인들도 접 할 수 있는 교양도서의 성격과 멀어지게 되면 그것도 문제라고 생각했 다. 그렇기 때문에 경제학 입문 교재로서의 성격과 일반 교양도서로서 의 성격, 이 두 가지의 적절한 균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이 책은 그러한 두 측면의 균형을 생각하면서 문화예술경제 입문서 로서 갖춰야 될 이론적 내용과 일반인을 위한 교양도서로서 가독성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하였다. 그동안 학생들에게 강의한 내 용을 주축으로 하고, 또 문화예술과 경제에 관한 각종 강연과 기고 및 정기 칼럼 등을 쓰면서 축적한 내용을 다시 추리고 가다듬어 한 권으 로 쓴 것이다.
이 책은 크게 세 개의 주제를 다룬다. 첫째, 문화예술경제에 관한 개관, 역사적 조망, 문화예술경제의 이슈와 이론을 다룬다. 둘째, 미술시 장의 경제적 특성을 검토한다. 셋째, 문화경제학의 핵심인 공연예술의 경제이론을 전개한다. 아울러 예술과 예술가에 대한 경제적 지원, 마 지막으로 순수예술과는 그 성격이 판이하게 다른 종합예술로서의 특 성을 지닌 영화와 영화산업을 다룬다. 그러면서 중간 중간에 예술경 제에서 흥미로운 이슈, 또는 영화로 다룬 예술가들의 삶과 예술세계를 에피소드로 담았다. 4부에서 다루는 공연예술계가 당면한 생산성 격 차에 대한 불균형성장이론의 모형은 책의 구성에서 제외할까도 생각했지만, 문화경제이론의 중요한 핵심이어서 경제학 전공자들도 이해해야 할 부분이기 때문에 뺄 수 없었다. 그러나 경제이론에 익숙하지 않다면 건너뛰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수록된 사진들은 대부분 여행 중에 틈틈이 찍은 사진 중에서 엄선한 것들이다.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특히 지난 2년 동안에는 원고의 진전이 없으면 쉴 때도 머릿속 한 구석에서 항상 원고 생각이 맴돌았다. 또한 다른 일을 할 때도 뒤에서 머리를 잡아당기는 것 같아 마음 편한 적이 없었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원고를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준 홍문각에 고마움을 전한다.


모차르트에게 처음으로 귀족이나 왕족 혹은 교회로부터 받은 돈이 아닌 순수 공연으로 수입이 발생한 것은 그가 죽기 직전에 초연한오페라 <마술피리>가 대중적 인기를 얻어 흥행에 성공하고부터이다.작품도 궁정극장이 아닌 일반 대중을 위한 민중극장에서 공연되었다. <마술피리>의 흥행으로 돈이 좀 들어오게 되었지만 그때는 이미늦었다. 그는 의뢰받은 진혼곡을 다 못 끝낸 채 짧은 생을 마감했다.아마도 그가 좀 더 오래 살았더라면 더욱 주옥같은 음악작품을 남기며 그동안의 어려웠던 삶을 청산하고 경제적으로도 좀 더 부유하게 지냈을지도 모르겠다.
돌이켜 생각하면 모차르트는 엄청난 경제적 가치를 창출했지만 그는 자신의 빚도 못 갚고 죽었다. 모차르트의 연주회에 두어 명밖에 관객이 없었을 정도로 당시 비엔나 사람들은 그의 음악의 위대함을 깨닫지 못했다. 예술가들의 경제적 궁핍이
혹시 그들의 예술세계를 이해 못하고 외면해 온 우리 자신들 때문은 아닌지 자문해 볼 일이다.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죽는다는 것은 더 이상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을 수 없게 된다는 의미다.”
< “3부/공연예술시장분석 에피소드1/실패한 독립음악가 모차르트“에서 p254~p256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