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91195666546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0-06-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5
1부. 고인돌의 사람형상
1장. 바위구멍의 형상
1. 서울 자곡동고인돌 … 15
2. 함안 예곡리고인돌 … 17
3. 옥천 오대리고인돌 … 19
4. 양평 앙덕리고인돌 … 22
5. 진주 남강댐 수몰지구고인돌 … 24
6. 보성 죽산리고인돌 … 26
7. 주암댐 수몰지구고인돌 … 27
8. 청주 문의 문화재단지의 고인돌 … 29
9. 연천 고인돌 … 33
10. 이천 지석리고인돌 … 51
11. 제천 방흥리고인돌 … 53
12. 대전 비래동고인돌 … 55
13. 용인 맹리고인돌 … 65
14. 북한의 고인돌 … 76
15. 바위구멍암각화 … 78
2장. 선이 그린 형상
1. 밀양 남전리고인돌 … 93
2. 춘천 천전리고인돌 … 97
3. 대구 상인리고인돌 … 105
4. 간단한 선으로 눈을 표시한 고인돌 … 108
5. 순천 곡천고인돌 … 110
6. 제천 방흥리고인돌 … 111
7. 양구선사박물관의 고인돌 … 113
8. 대구 천내리고인돌 … 115
9. 제천 황석리선돌 … 116
10. 청원 문의고인돌 … 118
11. 주암댐 수몰지구고인돌 … 130
12. 김해 율하유적의 고인돌 … 135
13. 고창고인돌공원의 고인돌 … 137
14. 포천 수입리고인돌 … 143
15. 옥천 안터공원의 고인돌 … 145
16. 순천고인돌공원 … 159
17. 고창 상금리고인돌 … 166
3장. 다양한 형태의 바위구멍
1. 화순 연월리고인돌 … 172
2. 영광 덕림마을고인돌 … 173
3. 장성댐 수몰지구고인돌 … 180
4. 순천 덕산리고인돌 … 184
4장. 고인돌에 나타난 쐐기홈의 의미
1. 연천 학담리2호고인돌 … 188
2. 영광 덕림마을고인돌 … 190
3. 순천고인돌공원의 고인돌 … 191
4. 순천 낙안읍성고인돌 … 195
5. 제천 방흥리고인돌 … 197
6. 고창 상금리고인돌 … 203
7. 부여 산직리고인돌 … 207
8. 결언 … 232
5장. 고인돌 표면의 변화
1. 윗면과 밑면이 상이한 고인돌 … 236
2. 무명비 … 241
3. 옥천 지역의 선돌 … 259
4. 고창고인돌의 돌출된 선 … 276
5. 고창고인돌 바위의 원석 … 291
6장. 바위구멍과 쐐기홈의 조성 시기
1. 바위구멍의 조성 시기 … 308
2. 쐐기홈의 조성 시기 … 319
7장. 표면이 변한 고인돌의 생명형상
1. 연천 통현리2호고인돌 … 322
2. 고창 아산면고인돌 … 326
3. 경북대학교 박물관의 고인돌 … 330
4. 고창고인돌공원의 고인돌 … 346
5. 순천고인돌공원의 고인돌 … 370
8장. 상석 밑면의 형상
1. 포천 금현리고인돌 … 374
2. 고창 상금리고인돌 … 387
3. 용인 왕산리고인돌 … 390
9장. 고인돌의 특이물질
1. 순천 우산리 내우고인돌 … 396
2. 보성 죽산리 하죽고인돌 … 405
10장. 고인돌 표면에 입혀진 물질
1. 옥천 지역의 선돌에 입혀진 물질 … 417
2. 화순고인돌 표면의 변화 … 424
3. 고인돌에 입혀진 물질 … 439
4. 물질이 입혀진 방식 … 448
5. 고인돌의 색감 … 474
6. 바위구멍의 조성 시기 … 486
7. 결언 … 514
1부 글을 마치며 … 515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금까지의 고인돌 연구는 무덤의 관점에서 매장 유물의 발굴과 분석·보존에 치중해 왔다. 바위 자체에 대한 연구는 크기와 무게를 추정하고, 암석의 성분을 분석하는 외에 별다른 연구가 없었다. 다수의 고인돌이 축조에 알맞게 밑면이 반듯하게 깎이거나 형태를 다듬었으므로, 바위를 어떻게 다듬었는지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따라야 할 것인데,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시피하다. 쇠가 없는 시대로 정의되므로 어떻게 다듬었는지 현재로선 설명이 불가능하기 때문일 것이다. 고인돌의 바위 표면이 자연 바위의 표면처럼 거칠고 자연스러우며, 자연 바위와 구분조차 어려워 더욱 접근이 불가하다.
(머리말쪽)
바위를 어떻게 다듬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지만,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이 하나의 원칙하에 다듬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필자는 전작에서 고인돌이 생명을 표현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즉 생명형상이 새겨져 있다는 것이다. 이후 답사가 진행되며, 생명형상 중에서도 사람형상이 뚜렷하게 새겨진 고인돌을 다수 발견하였다. 이 책에서는 뚜렷하게 사람형상이 새겨진 이들 고인돌을 분석하여 고인돌이 생명을 표현하고 있음을 입증하고자 한다.
(머리말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