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상고사
· ISBN : 9791195666577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22-10-30
책 소개
목차
1장 경주 고분은 무덤이 아니다
1. 무덤이 아닌 이유
1) 적석목곽분의 모순
2) 가지런한 목걸이의 출토 상태
3) 유물 배치의 의문점
2. 유적, 유물의 사람형상
1) 황남대총, 천마총의 목걸이
2) 황남동 120-2호분 돌무더기의 배치
3. 무덤이 아닌 목곽분
4. 무덤이 아닌 직접적 증거, 경주 쪽샘 44호분 팔찌의 출토 상태
1) 가지런한 목걸이의 출토
2) 돌무더기 배치의 사람형상
3) 무덤이 아닌 직접적 증거, 팔찌의 출토 상태
5. 결언
2장 무덤이 아닌 고분
1. 공주 수촌리 고분
1) 가지런한 구슬의 배치
2) 뼈가 들어 있는 금동신발
3) 유물의 사람형상
2. 익산 입점리고분
1) 무덤이 아닌 이유
2) 유물의 사람형상
3. 주구무덤
4. 함평 신덕 장고분
3장 공주 무령왕릉
1. 숨겨진 고분
2. 무덤으로 볼 수 없는 이유
1) 무덤이 아닌 이유
2) 유물의 증언
3) 유물 배치의 사람형상
3. 묘지석
1) 관례에 어긋난 왕의 지석
2) 바위 표면에 다른 물질을 입힌 증거
4. 석수
5. 유물의 사람형상
6. 회화 인물상
7. 문자를 활용한 형상
8. 삼국시대의 자기
9. 무령왕릉과 왕릉원의 의미
4장 고분과 인골
1. 고분 인골의 의문점
2. 함께 출토되는 다른 뼈의 의미
1) 동물·새·어류의 뼈
2) 순장 유골
3. 유골의 사람형상
1) 치아의 사람형상
2) 두개골의 사람형상
3) 경주 월성의 유골
4. 고분 이전 시대 인골의 사람형상
1) 구석기시대
2) 신석기시대
3) 청동기시대
5. 결언
5장 창원 다호리고분
1. 무덤이 아닌 이유
2. 유물의 사람형상
1) 목관
2) 청동제품
3) 철기
6장 창녕 고분 바위의 인위적 현상
1. 뚜껑돌의 증언
2. 고분에 놓인 바위의 바위구멍
3. 바위의 쐐기홈
4. 착암기의 사용
7장 서울 석촌동고분
1. 잘린 바위의 의미
2. 연접분
3. 유물의 생명형상
8장 기획하에 조성된 조개더미유적
1. 의도적인 조성의 증거
2. 유물의 생명형상
3. 울산 약사동 제방의 조개껍질
9장 산성유적지
1. 함안 성산산성
2. 하남 이성산성
3. 고령 주산성의 목곽고와 산성유적 의미의 확장
2부 기획하에 조성된 고대유적과 유물
10장 고대 석재유물의 사람형상
1. 표면이 입혀진 석재유물
1) 돌검
2) 돌화살촉
3) 돌창
4) 돌도끼
5) 반월형돌칼
6) 가락바퀴
7) 숫돌
8) 기타
9) 흑요석 석기
2.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된 사람형상
1) 돌검
2) 돌화살촉
3) 돌창
4) 돌도끼
5) 반월형돌칼
6) 가락바퀴
7) 숫돌
8) 갈판과 갈돌
9) 발화석
10) 다양한 석기
11장 금동제품의 사람형상
1. 금동관
2. 금동신발
3. 장신구
4. 다양한 유물
5. 청동거울
12장 다양한 유물의 사람형상
1. 유리
2. 곡물
3. 무덤 덮개돌, 막음돌
4. 비석
5. 철기류
13장 동물뼈의 사람형상
1. 구석기시대
2. 신석기시대
3. 철기시대
14장 유적지가 나타내는 형상
1. 고분 유적지
2. 주거지 유적지
참고 박물관 도록 및 도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뒷면이 전돌바닥에 말착해 있었는데, 이 때문에 색상이 변한 것일까. 그러나 전돌바닥에 맞닿은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난다 해서 돌의 색상이 변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이는 왕의 지석 앞면과 왕비 지석 앞면에도 약하게 유사한 색상이 나타나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고분에 위치한 고인돌처럼 옮겨 놓은 듯한 바위에 나타난 착암기 구멍이 인물상을 표현하는 기능을 하므로 현대의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현대에 고분에 놓인 바위에 착암기로 구멍을 뚫을 이유가 없다.
유사한 형식의 석암리 고분에서 유골이 발견되지 않은 이유가 더 의문이다. 석암리 205호분 주곽에서 목제 도장이 발견되었다 한다. 목곽과 주곽의 목제 도장이 부식돼 없어지지 않고 남아 있는데, 같은 환경에서 유골이 발견되지 않는 것은 석암리 고분이 무덤이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