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상고사
· ISBN : 9791195666539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8-04-30
책 소개
목차
머리글 / 5
1장. 구석기의 생명형상 • 9
1. 구석기의 인물상 • 10
(1) 홈으로 눈과 입을 표시 • 10
(2) 선으로 눈과 윤곽선을 표시 • 16
(3) 입이 뚜렷한 형상 • 20
(4) 부조의 형상 • 24
(5) 색감을 이용한 형상 • 39
2. 구석기의 제작 기법 • 43
3. 구석기의 실체 • 55
2장. 고인돌의 생명형상 • 57
1. 고인돌 바위와 풍화 • 58
2. 강화 고인돌 • 61
(1) 부근리 고인돌 • 61
(2) 부근리 점골 고인돌 • 83
(3) 신삼리 고인돌 • 91
3. 연천 고인돌 • 96
4. 언양 고인돌 • 108
3장. 고인돌의 조성 시기 • 149
1. 화순의 청동기 유물 • 150
2. 구석기의 제작기법으로 새겨진 고인돌의 인물상 • 152
3. 뗀석기의 출토 • 156
4장. 고인돌의 축조 방법 • 163
5장. 암각화의 생명형상 • 175
1. 포항 칠포리 암각화 • 176
2. 경주 석장동 암각화 • 190
3. 문양의 의미 • 203
4. 암각화와 문자 • 214
6장. 공룡발자국 화석과 돌개구멍의 의미 • 233
1. 순창 공룡발자국 화석지 • 236
2. 돌개구멍과 순창 요강바위 • 267
3. 암각화와 공룡발자국 화석 • 294
7장. 고대 초고도 문명의 증거 • 327
1. 바위를 자른 증거 • 329
2. 착암기의 사용 • 346
8장. 생명형상의 모든 유형 • 377
1. 하천 암반의 형상과 물의 눈 • 378
2. 바위의 색감 • 398
3. 옮겨진 바위 • 415
4. 암반의 형상 • 433
5. 다듬어진 산하 • 457
맺는 글 / 476
저자소개
책속에서
생명형상의 존재를 알리려 할 때, 기성세대 뿐 아니라, 젊은 사람들이 진취적 사고를 하지 못하고, 기존 이론의 틀을 맹종하는 것으로 느껴졌다.
현대문명의 사조를 그대로 수용하며 추종하는 것이다.
주입식 입시 교육으로 다양한 경험이 적고, 명상의 시간을 갖지 못한다면, 주체적 사고 능력이 길러지지 않을 것이다.
‘왜 생명형상을 새겼을까?’에 대한 답은 자명해 보인다.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기 때문에 행하였다는 것이다.
아름다운 경치를 창조하듯이 꾸밀 수 있는 능력과 시간적, 경제적, 사회적 여건이 갖추어져 있다면 그렇게 하는 것이 인지상정일 것이다.
초고도의 문명이 선한 의지를 발현하여 아름다운 지구의 경치를 창조하였다는 결론이다.
그 문명이 준비가 된 현대인이 알아 볼 수 있도록 여러 흔적을 남겨 놓으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