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91195730100
· 쪽수 : 333쪽
· 출판일 : 2016-03-15
책 소개
목차
제1부. 북한 급변 사태와 한반도 통일
문을 열며: 통일의 시대는 다가오는가?
제1장. 김정은 체제, 과연 지속 가능한가?
1. 김정은 정권의 특징과 안정성
2. 정치·외교적 측면에서의 안정성
3. 경제적 측면에서의 안정성
4. 사회적 측면의 안정성
5. 북한 핵 요인과 안정성
6. 미국 변수와 안정성
7. 중국 변수와 안정성
제2장. 북한 급변 사태 가능성
1. 활활 타오르는 북한 급변 사태론
2. 북한 급변 사태? 제동을 거는 주장들
3. 북한 급변 사태, 가능한가?
4. 북한 급변 사태가 일어난다면?
제3장. 북한 급변 사태와 한국
1. 북한 급변 사태와 작전계획 5015
2. 북한 급변 사태시, 한국의 마스터플랜
3. 대량살상무기(WMD)의 안정적 관리
4. 북한 급변 사태와 안정화
제4장. 북한 급변 사태와 국제정치
1. 북한 급변 사태와 미국
2. 북한 급변 사태와 중국
3. 북한 급변 사태와 일본
4. 북한 급변 사태와 일본
제5장. 한반도 통일 비용과 편익 추정
1. 통일 비용
2. 통일 한국이 주는 편익
3. 통일 한국이 주변국에 미치는 편익
4. 통일한국의 미래
제2부. 한반도 통일과 기독교
제1장. 독일 통일과 기독교
1. 무너진 베를린 장벽
2. 독일 통일과 독일의 기독교
제2장. 북한에서의 기독교
1. 북한, 그리고 기독교
2. 북한, 종교의 자유와 탄압
제3장. 기독교와 북한 선교
1. 남북 분단시대, 북한을 향한 교회의 선교사역
2. 통일로 가는 급변의 시대, 기독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2013년에 이어 2016년 1월에 실시된 4차 북한 핵실험은 실로 북한 핵무기를 개발 단계에서 생산·배치 단계로 격상시킨 게임 체인저(game changer)가 되었다. 이제 북한은 핵탄두와 투발 수단 모두에서 실질적으로 남한을 공격할 수 있는 무기들을 확보했고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동안 한·미군과 관련 당국들이 제2의 한반도 전쟁 시뮬레이션을 진행해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시나리오에 따라 다르지만 공통적인 것은 북한이 핵무기를 포함한 대량살상무기를 사용할 것이라는 점이며, 그 피해는 최대 사상자 1,000만 명, 재산 파괴 및 경제 활동 중단에 따른 피해 1조 달러에 이른다는 점이다.
중국은 2006년 10월의 핵실험 이후 북한을 국제사회에 대한 도전국가일 뿐 아니라 중국에 대한 도전국가로 보고 있다. 또한 미국이 북한지역을 통해 중국을 공격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가운데 ‘완충지대(buffer zone)’로서 북한의 가치는 별다른 의미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빠르면 3년 안에, 늦어도 10년 안에 김정은이 실각할 것으로 예측된다. 북한의 붕괴가 아닌 김정은 정권의 붕괴가 예상된다는 것이다. 더불어 북한의 급변은 김정은의 건강 붕괴에 의한 자연사보다는 암살 또는 실각의 형태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곧 김정은의 실각은 정치, 사회적인 문제가 원인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