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나의 독립

나의 독립

(독립운동가의 시와 말씀을 글씨로 보다)

강병인 (지은이)
글꽃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620원
14,5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6,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나의 독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의 독립 (독립운동가의 시와 말씀을 글씨로 보다)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예술에세이 > 미술에세이
· ISBN : 9791195903016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1-04-30

책 소개

독립운동가의 시와 말씀 서른네 점을 글씨예술가 강병인이 작품으로 옮기고 설명한 책이다. 글씨의 힘은 무엇일까. 이 책에 소개된 서른네 점의 작품은 저마다 글이 가진 의미를 보이게 하여, 마치 독립운동가의 육성을 직접 듣는 듯 생생하다.

목차

여는 글_ 독립된 존재로 살 것인가, 남의 삶을 살 것인가
추천의 글_ 우리시대의 장인 또는 혁신가

[독립운동가의 시와 말씀]
김가진(1846~1922) 한양성의 봄
강우규(1855~1920) 봄바람
이준(1859~1907) 살아도 살지 아니함이 있고
최재형(1860~1920) 한마음
손병희(1861~1922) 만세
민영환(1861~1905) 자유독립
이승훈(1864~1930) 씨앗
이회영(1867~1932) 자유평등
김혁(1875~1939) 온 산하가
김구(1876~1949) 문화의 힘
안창호(1878~1938) 얼렁뚱땅
안중근(1879~1910) 스스로 잘난척 하는 것보다
한용운(1879~1944) 님의 침묵
신채호(1880~1936)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김마리아(1892~1944) 독립
이상화(1901~1943)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유관순(1902~1920) 내 손톱이 빠져 나가고
이육사(1904~1944) 광야
윤봉길(1908~1932) 나라사랑
안병무(1912~1986) 자유
윤동주(1917~1945) 서시

[우리말글 독립운동가]
호머 헐버트(1863~1949) 《사민필지》 서문
주시경(1876~1914) 한, 말, 글
이윤재(1888~1943) 손잡고
이극로(1893~1978) 한글 사랑
최현배(1894~1970) 한글이 목숨

[부록] 문자 독립의 상징, 한글
《훈민정음》 해례본에 나타난 뜻문자 한글의 표의성과 예술성

저자소개

강병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경남 합천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한글 서예를 시작하고,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을 졸업했다. 90년대 말부터 서예와 디자인을 접목한 멋글씨, 캘리그래피를 개척하여 융합과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한글글꼴의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알리고 있다. 한글의 창제원리를 작품 철학으로 삼아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우리네 삶과 소리를 담아낸 글씨를 선보이며, 소리 문자를 넘어선 뜻 문자와 한글의 가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주스페인한국문화원 초대 전시 <한글꽃이 피었습니다> 등 18회의 개인전을 개최하고, 국립현대미술관 〈미술관에 書 : 한국 근현대 서예전〉 등 130여 회의 그룹전에 참가했다. 저서로 『글씨 하나 피었네』, 어린이 그림책 『한글꽃이 피었습니다』 외 다수의 공저가 있다. 한글의 디자인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를 확장해온 노력을 인정받아 2009년 한국출판인회의 선정 올해의 출판디자이너상을 수상하고, 2012년 대한민국디자인대상 은탑산업훈장을 수훈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글씨는 일필휘지一筆揮之로 써야 하지만 그보다 먼저 의재필선意在筆先이라 하여 붓보다 뜻을 앞에 두어야 한다. 앞서 살펴본 선생의 삶을 통해 글씨의 방향을 잡아 본다. 선생의 별명은 ‘페치카’이다. 단단한 무쇠 속에 따뜻한 불꽃을 품은 사람이라는 뜻이다. 단단함에 많은 이들이 기댈 수 있었고 온화함에 언 손을 녹일 수 있었다. 무쇠의 묵직함과 단단함을 드러내고자 글꼴의 방향은 판본체를 바탕에 두었다. 판본체는 무게중심이 가운데 있고 네모난 형태여서 힘이 있다. 스스로 세운 신념을 쉽게 꺾지 않고 길을 가는 고집스러움이 드러나는 서체이니 어쩌면 선생의 삶과 맞닿아 있다 하겠다.


모든 독립운동가의 말씀은 살아있다. 말로 끝난 것이 아니라 행동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실천적 삶을 산 철학자이기도 하다. 정의를 실현하고자 고난의 길을 스스로 선택하고 그런 삶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마지막까지 당당했다. 김혁 장군처럼.


글씨의 힘은 무엇일까. 글이 가진 뜻을 보이고 들리게 하는 것, 이것이 글씨의 힘이라 나는 믿는다. 글을 읽었을 때 느껴지는 슬픔, 분노, 사랑, 기쁨, 간절함 등은 가슴에서 머리로 올라가 팔로 내려온다. 팔에서 다시 손으로 내려온 생각들은 서예에서는 궁극적으로 붓이라는 도구를 통해 밖으로 드러난다. 하지만 붓을 다루는 손이 서툴다면 좋은 획이 나올 수 없고, 웃고 울고 춤추고 노래하는 다채로운 감정을 제대로 그려낼 수 없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