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교육비평
· ISBN : 979119596470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6-12-13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PART 01 세계화, 그 거부할 수 없는 마법
세계화와 미국
‘미국의 신념과 세계 평화를 위한’ 구호로
미국의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을 배워라?
미국이 아이티에 올인했던 이유는?
미국을 움직이는 힘, 유대인에 있다?
불법 이민자의 문제, 미국에게도 난제다
「슬픔은 그대 가슴에(Imitation of Life)」
미국의 영원한 과제, 차별
한국인은 아직도 한국인인가
중국의 교육 지원, 미국 대학으로 이어지다
한국의 다문화정책, 무엇이 우선이어야 하는가?
단일민족국가 한국인의 미덕
영어 우월주의
미국에서의 한류
미국은 지금 한국어 서비스 확산 중
역사교육: 위안부 문제
중국의 동북공정 프로젝트
세계화와 한국역사, 지정학적 입장
세계화가 외면한 인간의 생명의식
PART 02 세계화와 대학
세계인의 베리타스, 하버드
미국 최고의 대학이 하버드?
하버드대생들은 하버드대에 다닌다는 말을 하지 않는다
『월든(Walden)』의 저자, H·D 소로우에게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한국인들이 하버드에 꾸뻑한 이유는 무엇일까?
인재관리를 위한 리더십, 정직과 덕이 우선이다
하버드의 브랜드 파워는 언제까지일까?
대학이란 무엇인가?
대학은 힘의 상징어가 아니다
대학은 인간적 연민이 우선이다
사회적 약자를 내 기준으로 판단하지 마라
대학, 정확한 현실과 마주하라
대학이 필요로 하는 캐릭터를 찾아라-햄릿과 돈키호테, 두보(杜甫)
복종과 순종을 구별시켜라
교수의 의무는 연구와 강의다
글쓰기와 말하기
토론과 논의의 문화
대학 내에 좋아하는 선생님이 있는가?
PART 03 신자유주의와 대학
한국 대학의 성찰
한국, 대만, 중국 대학은 무엇이 문제인가?
외국인 유학생 10만 명 시대, 수업의 질 관리는 뒷전
입학사정관제에 의한 입학생 모집
유학생, 이중구조의 영원한 이방인
대학 내의 서점은 어디로 갔나?
헬리콥터식 대학
모든 대학이 최고가 될 수는 없다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라?
대학이 사라지다
공장식 교육으로 버티기?
무용지물의 교육이 사라지다
과학, 그 참을 수 없는 혁신과 발전
대학은 모방하는 교육을 멈춰라
타천의 시대에 잃어버린 인재들-모차르트와 테슬라
대학, 사회적 분노를 외면할 것인가?
학문과 예술의 상업화, 그리고 도덕적 타락
대학의 상업화는 윤리적 위기의 상징이다
PART 04 대학에 미래를 묻는다
세계화와 대학의 미래
미래의 대학, 학문의 융합과 통찰력으로 살아남는다
대중이 전문가의 지식에 도전하고 있다
엄격한 법률망,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대학의 특성화에 주력하라
대학, 기본적 예의와 배려를 갖춰라
지식의 미래, 지적 재산권
기술혁신과 서비스혁신을 하고 있는가?
기업과 대학의 생존, 서비스 정신에 달렸다
미래의 교육과 지식인
다양한 문화변화에 따른 새로운 법률안 시급
신자유주의 구조 속의 학문, 경제문제와 분리시킬 수 없다
지식의 미래를 예측하는 자만이 지적 권위를 보장받는다
경제 위기, 인문학과 함께 풀어가다
학문, 지식인의 실천 안에서만 살아날 수 있다
실패하는 가치부터 가르쳐라
지도자의 리더십, 정직과 덕이 우선이다
나가는 말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