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91196064181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9-11-28
책 소개
목차
서문
1. 여론전쟁의 서막: 1987년 대통령선거
2. YS와 DJ, 숙명의 대결: 1992년 국회의원선거와 대통령선거
3. 3김 지역패권 전쟁의 시작: 1995년 지방선거
4. ‘여론조사 공천’ 바람: 1996년 국회의원선거
5. 뒤바뀐 대권 판도: 1997년 대통령선거
6. 동서로 나누어진 선거판: 1998년 지방선거
7. 사상 최대 초박빙 선거: 2000년 국회의원선거
8. 반전을 거듭한 대선드라마: 2002년 지방선거와 대통령선거
9. 탄핵 역풍이 불다: 2004년 국회의원선거
10. 참여정부 심판, 진보의 몰락: 2006년 지방선거
11. 신자유주의, 보수의 부흥: 2007년 대통령선거
12. 보수 분열의 시작: 2008년 국회의원선거
13. 노무현의 부활: 2010년 지방선거
14. 보수와 진보의 한판 승부: 2012년 국회의원선거와 대통령선거
15. 세월호 참사에 숨죽인 정치: 2014년 지방선거
16. 막장 공천의 최후: 2016년 국회의원선거
17. 대통령 탄핵 여론전쟁: 2017년 대통령선거
18. 보수의 몰락, 진보의 새 시대: 2018년 지방선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여론전쟁 시대에 살고 있다. 여론전쟁은 여론을 자기편으로 만들기 위한 싸움이다. 여론에 밀리면 권력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정치권에서의 여론전쟁은 한 치의 양보도 허용하지 않는다.
2016년 10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곤두박질쳤다. 대통령 지지율이 5%까지 떨어졌다. 국민 80% 이상이 대통령 탄핵에 찬성했다. 여론조사가 대통령에 대한 탄핵의 명분을 제공하고 그 결과도 정당화해 주었다. 여론조사가 없었다면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 과연 이루어졌을까?
여야는 여론조사라는 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전략과 대책을 강구했다. 대통령선거뿐만 아니라 총선에서도 여론전쟁이 벌어진 것이다. 여론조사는 선거 전반에 걸친 판세분석은 물론 개별 후보들의 선거전략을 짜는데도 중요한 나침반 역할을 했다.42) 중앙당의 유세지원 일정까지도 여론조사 결과에 따라 조정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