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6088842
· 쪽수 : 191쪽
· 출판일 : 2017-07-20
책 소개
목차
첫 번째 강연 1924년 8월 12일
오늘날 교육 상황의 특징. 사람에 관한 진정한 이해의 긴요성 _ 육화과정. 유전과 개별성에 대한 실제적 고찰. 이갈이 이전 영유아의 본성. 이갈이 시기의 급격한 변화. 다양한 발달 단계에 따른 교육의 과제들
두 번째 강연 1924년 8월 13일
몸 전체가 감각기관인 영아. 모방의 본질과 의미. 유아현장. 유아기놀이. 교육자의 판타지를 촉진하는 생활 관찰 _ 이갈이. 상과 판타지를 이용하는 수업. 쓰기 수업의 도입. 교사의 자유재량에 따른 수업 구성. 만 9세 무렵인 아이의 본성. 위기. 동화 들려주기에 관하여. 교육에서 만나는 헤아리기 힘든 요소들
세 번째 강연 1924년 8월 14일
만 9세 이후의 아동. 식물수업 _ 동물 수업. 식물학과 동물학 수업의 교육효과 _ 동화 및 신화 들려주기에 관하여. 상으로 전개하는 역사 수업. 인과관계의 도입은 만 12세 이후에. 훈육에 관하여. 교육자의 자기연마
네 번째 강연 1924년 8월 15일
교육자의 자기 연마. 초기에 겪는 불완전함을 극복하는 용기. 교사와 아이들의 운명적 만남. 상을 자극하는 이야기의 예시. 설명을 위한 교수방법론. 교육자가 지녀야 할 명상적 영혼 상태. 아동의 기질을 활용하는 교수법 _ 대칭의 형태 그리기와 내적 형태 감각. 사고의 발달로 이어지는 신체의 유연성 훈련. 그림 그리기. 에포크 수업
다섯 번째 강연 1924년 8월 16일
셈하기. 상을 이용한 숫자 개념 학습. 리듬을 이용한 숫자 세기. 의지 작업인 숫자세기. 관찰자일 뿐인 머리 _ 사칙연산. 교육의 결과물인 물질주의. 수업 중에 필요한 교사의 유머 _ 기하학 수업. 피타고라스 정리의 생생한 증명
여섯 번째 강연 1924년 8월 18일
인간 본성의 구성체와 연관된 아동 발달의 단계별 특징. 내장기관을 조형하고 형성하는 에테르체의 활동. 조형과 그림 그리기를 향한 아동의 활동 욕구. 사춘기. 아스트랄체가 신체조직에 침투하는 과정. 음악 수업의 의미 _ 언어 수업. 만 9세 무렵의 문법. 번역 없이 진행하는 외국어 수업. 소리의 느낌으로 만나는 외국어의 다양성 _ 오이리트미 과목. 체육과 체조의 본질. 내면의 발현인 오이리트미. 체육을 통한 공간 적응
일곱 번째 강연 1924년 8월 19일
만 12세 아이들을 위한 무생물 수업(광물학 수업). 전체에서 시작하기. 생활과 결부된 물리 수업. 판타지에 호소하기. 학생이 수업에서 얻는 피로감. 리듬의 본질. 글쓰기 수업 _ 수업과 교육은 생활에 연결되고 생활에서 나와야한다. 현실과 동떨어진 사고. 학교 조직의 영혼인 교사회의. 학급의 남녀 비율에 따른 차이점들. 학습 능력이 부족한 아동을 위한 학급 _ 모든 수업은 아동에게 세계 안에서 차지하는 사람의 위치를 가르쳐야 한다. 기술 수업을 통한 생활 이해. 수공예 수업에 관하여. 성적표. 아동의 이해를 돕는 학부모 접촉
질의응답 1924년 8월 20일
곱셈과 나눗셈의 차이. 양의 측정과 나누기.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이어지는 연산 수업. 미술 수업에 관하여. 라틴어와 희랍어 수업. 스포츠 종목에 관한 질문. 종교 수업. 외국어의 선택에 관하여. 이갈이 시기 이전의 언어수업 _ 맺는 말
책속에서
루돌프 슈타이너
“마지막 교육 강연” 주요 내용
정신적 존재로서 어린 아이를 이해하기
유년기/청소년기의 외적 내적 발달의 특징
아동발달에서 젖니갈이의 교육적 의미
발도르프교육의 목표인 사고/감정/의지
상상력을 키우는 저학년 수업구성
감성과 의지력을 키우는 교육 내용
명료한 사고력의 계발
아동/청소년을 위한 현명한 훈육 방법
이동/청소년이 원하는 교사상
교사의 자질 향상을 위한 자기 연마
교사와 학생의 운명적 만남
수학 교수법의 새로운 접근 : 1+1은 2가 아닌 이유는?
피타고라스 정리의 생동하는 증명법
오이리트미와 형태 그리기 : 발도르프학교의 특별 과목
동물학/식물학 : 감성을 일깨우는 과목
신체 발달과 내적 균형을 위한 음악 수업
미술 교육의 새로운 관점, 체육 과목의 역할
외국어 교육의 시기와 교수법
교사는 진실을 알아야 합니다. 교사는 무한한 경외심을 가지고 아이 앞에 서야 합니다. 그리고 자기 앞에 있는 아이가 지상으로 내려온 신적이며 정신적인 존재임을 알아야 합니다. 그런 사실을 알고 가슴 깊이 새기는 것을 바탕으로 교육자가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