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동소학

대동소학

(사람다움을 위한 책)

김형재 (엮은이), 정영길, 조운찬 (옮긴이)
빈빈책방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동소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동소학 (사람다움을 위한 책)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91196278076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8-12-28

책 소개

중국 『소학』에서 벗어나 우리나라 선조들의 훌륭한 언행과 역사를 기록한 게 특징이다. 『대동소학』은 독창적인 저서가 아니다.

목차

머리말_ 일청 김형재, 넓고 깊은 학문을 품은 실천적 지식인
해제_ 『대동소학』 - 동아시아 최후의 교양수신서

대동소학 권1
입교 제1
1. 국립 교육기관의 가르침
2. 사립 교육기관의 가르침
3. 가정의 가르침

대동소학 권2
명륜 제2
1. 부자의 윤리를 밝힘
2. 부부간의 분별을 밝힘
3. 장유의 질서를 밝힘
4. 벗과의 사귐을 밝힘
5. 통론

대동소학 권3
경신 제3
1. 마음 씀의 요체를 밝힘
2. 위엄 있는 몸가짐의 법칙을 밝힘
3. 의복의 제도를 밝힘
4. 음식의 절도를 밝힘

대동소학 권4
계고 제4
1. 입교
2. 명륜
3. 경신

대동소학 권5
가언 제5
1. 입교의 뜻을 넓힘
2. 명륜의 뜻을 넓힘
3. 경신의 뜻을 넓힘

대동소학 권6
선행 제6
1. 입교의 내용을 채움
2. 명륜의 내용을 채움
3. 경신의 내용을 채움

발문
발문
대동소학 원문 - 大東小學
인물 색인

저자소개

김형재 (엮은이)    정보 더보기
유학자. 본관은 김해(金海). 전남 나주 출신. 호는 일청(一靑), 일찍이 우리나라 6대 성리학자의 한 사람인 노사 기정진(奇正鎭)의 학맥을 이은 율계정기(鄭琦)의 문하에서 공부했다. 전국의 명망 있는 유학자들과 교유하면서 조선유교회 중앙선교사로 피선되어 유교를 통한 민족운동을 전개했다. 홍명희, 변영만, 정인보 등 당대의 대학자들을 사귀면서 전고(典故)의 지식을 넓혔고 여운형, 송기식, 성순영 등 민족지도자들과 깊은 인연을 맺었다. 1970년대에 전북 익산시로 집을 옮겨 동산서원을 짓고 후학들을 길러냈다. 저서로 『대동소학』 이외에 『중국단편사(中國短篇史)』, 『전고문헌(典故文獻)』 등이 있으며, 구례 매천사당의 묘정비 비문 등을 썼다.
펼치기
정영길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학과 대학원에서 국문학(문학박사)을 공부했다. 1982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겨울산행」, 198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중편소설 부문에 「무화과나무의 꽃」이 입상하였다. 한글세계화운동 추진위원과 한국문예창작학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세계특허(IP)허브국가추진위원회 운영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원광대학교 문예창작학과에 재직하면서 고전을 통한 문학치료및 스토리텔링에 관심을 두고 있고, 쓴 글로는 「선비정신과 전통시학」, 「지방문학과 문화콘텐츠」, 「효사상과 한국문학의 상관성」 등이 있다.
펼치기
조운찬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는 한국사를, 대학원에서는 한문학을 전공했다. 한문 공부를 위해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을 다녔으며, 한때 이곳에서 번역 원고의 교정을 보았다. 직장 생활의 대부분은 경향신문사에서 기자로 보냈다. 여러 부서 가운데 문화부에서 가장 오래 일했으며 베이징 특파원, 문화부장, 논설위원을 역임했다. 기자 시절 신문과 잡지 등 여러 매체에 고전을 쉽게 소개하는 글을 썼으며, 지금도 시대를 관통하는 삶의 지혜를 찾으려 옛글을 뒤적이고, 역사 현장을 찾고, 글을 쓴다. 지은 책으로 《문집탐독》, 《옛글의 풍경에 취하다》가, 함께 옮긴 책으로 《대동소학》, 《중화유기》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단군이 나라를 세워 조선이라고 불렀다. 우리나라가 동쪽에 있어 ‘아침 해가 선명하다’는 뜻의 조선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다. 처음에는 남녀, 부자, 군신의 도리와 의복, 음식의 예절, 머리를 땋고 모자를 쓰는 등의 제도를 펼쳤으며 신도(神道)를 세워 백성들을 교화시켰다.


충무공 이순신은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대장부가 세상에 태어나 등용되면 목숨을 바치고 등용되지 않으면 농사를 지으면 된다. 권력 있고 부귀한 자들에게 달라붙어 아첨하여 한때의 영화를 훔치는 일은 매우 부끄러운 일이다.”


율곡 이이가 말하였다. “오늘날 배우는 사람들은 겉으로는 위엄이 있는 듯하지만 내면에는 독실함이 부족하다. 부부 사이의 경우 잠자리에서는 대부분 정욕에 이끌려 위엄을 잃곤 한다. 이런 까닭에 부부가 서로 함부로 대하지 않고 공경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런 경우 자신을 수양하고 가정을 바르게 이끌기 어렵지 않겠는가. 남편은 화목을 도모하며 옳은 도리로 가정을 이끌고, 아내는 순종하면서 바른 도리로 남편의 뜻을 받들어 부부가 공경과 예절을 잃지 않아야 집안이 다스려질 수 있다. 부부가 내내 서로 함부로 대하다가 어느 날 아침 갑자기 서로를 공경할 수 있겠는가. 서로 깨우쳐 주면서 이전의 나쁜 습관을 없애고 점차로 예의바른 생활로 들어가야 한다. 남편의 말과 처신이 한결같이 옳은데서 나온 것을 알게 된다면 아내는 조금씩 그를 믿고 따를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