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어카운터블

어카운터블

(우리는 어떻게 일하고 어떻게 살 것인가)

마이클 오리어리, 워런 발드매니스 (지은이), 이은주 (옮긴이)
도레미엔터테인먼트
1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820원 -10% 0원
990원
16,8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어카운터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어카운터블 (우리는 어떻게 일하고 어떻게 살 것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91196417888
· 쪽수 : 500쪽
· 출판일 : 2022-05-11

책 소개

자본주의를 그 자체로부터 구하기 위한 투쟁 속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저자들은 자본주의를 구하기 위해 다른 대체재는 필요하지 않다고 말하며 경영자로서, 투자자로서, 소비자로서 우리가 각각 가지고 있는 책무(Accountable) 의식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목차

추천의 글 - 10

서문: 자본주의 구하기 - 14
1. 선한 사람들을 기억하라 - 33
2. 떼돈을 버는 기업들 - 79
3. 좋은 소식, 나쁜 소식 - 123
4.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해 싸우다 - 163
5. 나쁜 것은 듣지도, 보지도 말라 - 203
6. 더 큰 배가 필요하다 - 243
7. 우리 자신의 분열 - 287
8. 23조 달러짜리 해법 - 335
9. 시민 자본주의 - 377
에필로그: 자본주의 개혁 - 406

감사의 말 - 422
지지의 글 - 426
참고 자료 및 출처 - 432

저자소개

마이클 오리어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인 캐피털의 소셜 임팩트 펀드 창설 팀에 몸담았다. 그전에는 베인 캐피털의 프라이빗 이쿼티 펀드를 통해 소비재 회사, 자본재 생산 회사, 전자 기반 기술 회사에 투자했다. 미국 상원 의회와 두 번의 대통령 선거에서 경제 정책 고문으로 활동한 바 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한 후 스탠퍼드 경영 대학원에서 MBA를 취득했다. 현재 뉴욕에 거주한다.
펼치기
워런 발드매니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노동력에 투자하는 소셜 임팩트 펀드를 이끌고 있다. 이전에는 베인 캐피털의 소셜 임팩트 펀드 매니징 디렉터였으며, 그보다 먼저 10년 이상 베인 캐피털의 프라이빗 이쿼티 팀에서 투자 업무를 담당했다. 캐나다에서 성장기를 보냈으며 호주, 칠레, 프랑스, 홍콩, 일본, 남아프리카 공화국, 미국에서 생활하고 일한 경험이 있다. 다트머스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였으며 하버드 경영 대학원에서 MBA를 취득했다. 메인주의 포틀랜드에서 아내 크리스틴, 그리고 네 자녀와 함께 살고 있다.
펼치기
이은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수학과 영어교육학을 전공했다. 옮긴 책으로 『연기하지 않는 연기』, 『넷플릭스 시대의 글쓰기』, 『중년의 발견』, 『죽음학 수업』, 『외로워지는 사람들』, 『어카운터블』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유니레버가 비록 B콥은 아니지만, 폴먼은 마치 그런 것처럼 이야기한다. 그는 2014년 《맥킨지 쿼털리》에 기고한 글에서 “비즈니스는 사회에 봉사하기 위해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이런 질문을 덧붙였다. “이 세계의 시민들이 목적이라고는 몇몇 사람 배 불리는 것뿐인 회사들을 왜 두고 봐야만 하는가?”


카네기는 언뜻 도덕적으로 보이는 2단계 이론을 세웠다. 첫째, 무슨 수를 써서든 가능한 한 많은 돈을 번다. 둘째, 인류를 위해 그 돈을 다 나눠 준다. (……) 그의 활동상은 서로 충돌하는 한 쌍의 이미지를 보여 준다. 재계 거물의 이미지와 박애주의자의 이미지. 1880년대에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사망 사고는 피츠버그에서만 해도 남성 전체 사망자 수의 20퍼센트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했는데, 업계 거물인 카네기는 안전 기준을 개선하는 일에 U.S. 스틸 소유주로서 가진 힘을 거의 하나도 쓰지 않았다. 그러면서도 바로 그 노동자들이 벌어다 준 돈을 부상자 후원 명목으로 기부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