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6692094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0-10-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지식재산권, 최고의 비즈니스와 투자의 기회
01 지식재산, 미래 비즈니스의 핵심
쫄지 말고 당당하게
약자의 역습을 준비하자
선자 선점 원칙과 스쿼팅
지식재산권이란 무엇인가?
내가 가진 지식재산은?
지식재산을 가진 기업에 투자하라
지식재산이 풍부한 지역에 주목하라
지식재산을 상속하라
저작권 투자의 실제
02 팬데믹 시대와 지식재산
언택트 시대의 지식재산권
온라인 수업
언택트 시대의 공연과 전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가 나온다면
코로나-19 치료제와 지식재산권
팬데믹 극복을 위한 지식 자원의 활용
의약품 법률: 시급함과 안정성의 조화
03 4차 산업혁명과 뉴 비즈니스 패러다임
지식과 기술의 새로운 전개
창작자 AI
인공지능에게 ‘인격’을 허하라!
가상현실·증강현실과 지식재산권
인터랙티브 아트
04 패션·트렌드·디자인
레트로와 키치
뉴트로 속의 기회
명품, 저가품을 베끼다
비슷한 옷이 왜 이렇게 많을까?
패스트 패션의 속사정
시각 예술을 차용한 상업 디자인의 문제
디자인이 비슷하다면…
05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엔터테인먼트는 법률이라는 자동차를 타고 달린다
변호사가 꼭 필요한 현장
‘방송 포맷’의 재산권
샘플링과 저작권 논란
유튜브 크리에이터의 성공 조건
게임 방송 비즈니스
06 모든 것이 게임으로 통한다
게임 산업 들여다보기
아이디어냐 표현이냐
월드컵 스타들의 또 다른 리그
2차 저작물로서의 게임
세계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유망주
스포츠와 비즈니스 사이
e스포츠의 쟁점들
07 아트 비즈니스의 새로운 전개
예술, 비즈니스와 법률을 만나다
미술품 소장자와 저작자의 권리
차용 예술의 딜레마
기증받은 미술품의 권리
길거리 음악가의 법률문제
음악 공연과 법률
08 스포츠, 거대 비즈니스가 되다
올림픽, 비즈니스 이벤트
올림픽 경기 지식재산권은 누구 소유인가?
올림픽의 수익 원천은?
올림픽은 공공의 소유가 아니다
올림픽의 꽃, TV
올림픽을 시청할 권리
스포츠 스폰서십
‘영미야~’의 지식재산권
09 자영업과 지식재산권
이름값을 빼앗기지 않으려면
세계로 뻗어가는 첫 단계
생김새의 지식재산권, 트레이드 드레스
레시피와 지식재산권
작품 속 공간을 재현하고 싶을 때
맛과 향기에도 지식재산권이 있을까?
10 지식재산권 실무
빈곤한 지식재산권 대응이 재앙을 불러온다
지식재산권 관리 매뉴얼이 있습니까?
지식재산권 통합 관리 시스템
내 블로그에는 훔쳐온 것들이 없는가?
종업원의 창작물, 회사 소유인가? 개인 소유인가?
인터넷의 지하 세계
저자소개
책속에서
앞으로 어떤 기업들이 떠오를까? 시대를 관통하는 지식재산권을 기반으로 대중의 마음을 관통하는 기업들일 것이라 믿는다. 이런 기업을 찾아 투자하면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부동산도 마찬가지이다. 최근 미국에서 뜨는 지역들은 지식재산권이 모이는 곳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곳에 고수익 지식인이 모여들고 상권을 형성하고 세련된 문화를 만들어낸다. 이런 지역은 앞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렇듯 지식재산권을 투자의 중요한 척도로 삼아보길 바란다. 지식재산권은 바로 우리 옆에 열린 기회로 서 있다.
보스턴과 인근의 케임브리지는 미국에서 새롭게 각광받는 지역이다. 하버드대학교,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보스턴대학교 등이 있는 이 지역은 조용한 대학 도시로 알려졌지만, 현재는 제약을 중심으로 바이오 산업 시설이 모여들면서 지식재산 중심의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신약 개발 등의 사업에는 막대한 재원이 투입되는데, 미국에서는 NIH(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ommon Fund)의 투자가 큰 몫을 담당한다. 케임브리지 바이오 클러스터는 산·학 협력 체계 아래 NIH 자금의 상당 부분을 유치하며 첨단 지식의 허브로 성장하고 있다.
뎀나 즈바살리아는 스트리트 패션을 하이 패션의 영역으로 끌어올리는 데 탁월한 역량을 발휘했다. 이케아의 파란색 쇼핑백을 그대로 본뜬 수천 달러짜리 가방은 그의 기상천외한 디자인 세계를 잘 보여준다. 그런데 이러한 발렌시아가의 패션 디자인 경향은 지식재산권 침해 시비를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 거리의 유행과 대중의 일상을 상징하는 문화적 장치들을 가져올 때 기존 제품화된 디자인을 허락 없이 빌리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