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옥상과 창문 : 눈으로 보는 건축 시간으로 보는 도시

옥상과 창문 : 눈으로 보는 건축 시간으로 보는 도시

(2020 세종도서 교양부문)

이주타, 최호진 (지은이), 임보람 (엮은이)
플랜비북스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440원
15,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옥상과 창문 : 눈으로 보는 건축 시간으로 보는 도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옥상과 창문 : 눈으로 보는 건축 시간으로 보는 도시 (2020 세종도서 교양부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6782009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9-09-03

책 소개

저자 이주타와 최호진이 지난 십여 년간 수집해 온 이 도시의 건축 자산과 동네의 변화를 이야기로 풀어낸 책이다. 지음 건축도시연구소 최호진 소장의 이야기로, 옥상에 올라 한 지역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면서 지붕들이 연결된 모습, 도로에 의해 형성된 동네의 구획을 관찰하여 이 도시의 변화상을 읽는다.

목차

엮은이의 글 6

-1부-

들어가는 글 14
옥상에서 보는 도시

1. 근대 생활 건축과 현대 도시의 경관이 공존하는 곳
문래동 영단주택단지 20
청량리 부흥주택 24

2. 지역 정체성과 도시 생태계
성북동 32
이태원 보광동 36
창신동과 숭인동 40
명동 44
낙산 서울 성곽 50
북촌 54
용산의 다양성과 현재 60
서울역 일대 64

3. 도시 변화와 한옥 군락
정릉 76
권농동 한옥 80
주거지 한옥 군락 84

4. 도시 개발의 이면
서대문 92
종로, 세운상가 94
아현동 98
용산역과 용산기지 주변의 개발 100


- 2부 -

들어가는 글 110
건축가의 사진 - 건축물을 본다는 것

1. 오래된 건물을 보다
남가좌동 1965년집 120
후암동 유신기술단 128
용두동 벽돌 창고 건물 135
청계천 삼일 아파트와 황학동 일대 노후 건축물 141
은산교회 골목길 146

2. 건축자산 들여다보기
딜쿠샤 154
마곡 효성금속과 염창동 노후 건축물 162
세마창고 170
체부동 교회 178
숙명여대 인근 롯데기공 183

3. 거리에서 마주치는 건축가들
김중업의 벽돌 188
대학로 건축가들의 건축물 194
성산동 김헌 건축물 200
용산 김석재 건축물,
알파와 오메가 건축연구소 204
마포 전쟁과여성인권 박물관 208

4. 길에서 보는 맨홀 이야기 215

저자소개

최호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를 나와 문화유산을 보전하는 내셔널트러스트 운동의 활동가로 13년을 보냈다. 건축과도시,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 및 활동공동체를 꿈꾸며 종로 북촌, 성북동의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고, 건축자산과 지역자원조사를 통한 근대건축물의 보전 방안을 찾는 비영리 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펼치기
이주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어반트리건축사사무소를 이끌고 있다. (사)행복공장 홍천수련원 감옥체험시설(2013), 위례의 도토리하우스(2018), 오류동의 정비구역해제지역 공동주택(2019)을 설계하고 감리하였다. 2016년 이후부터 근대건축물활용과 건축자산 관련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펼치기
임보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각예술을 위한 큐레토리얼 프로젝트 중심으로 문학, 영화, 건축 등 타 장르와의 협업을 모색하며 전시 기획, 출판, 영상 제작 등의 활동을 하면서 독립 예술공간 플랜비 프로젝트 스페이스를 운영하고 있다. 인간의 삶에서 발현되는 다양한 철학적 주제에 대한 공간적 해석과 장소성 탐구에 심취해 있다. 최근 기획한 프로젝트로는 《애프터랜드》(2024, 문래예술공장 갤러리M30), 《Between Futures》(2022, 경기상상캠퍼스 디자인1978》, 《내가 잠시 떠 있는 동안에》(2021, 통의동 보안여관), 《망령들의 왕국》(2020, 플랜비 프로젝트 스페이스), 《고스트 씨티》(2019, 플레이스막 연희, 스페이스55), 제5회 아마도 전시기획상 《슬프고도 아름다운 불안의 서(書)》(2018, 아마도예술공간) 등이 있고, 도시 인문학 교양서 『옥상과 창문: 눈으로 보는 건축 시간으로 보는 도시』(2019, 이주타 최호진 지음, 임보람 엮음, 플랜비북스 펴냄, 2020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 창작희곡집 『지극히 평범한 하루』(저자 박승원, 플랜비북스 펴냄)를 기획하여 발간하였다. 다큐멘터리 <일과 날>(2024, 박민수, 안건형 연출)에 프로듀서로 참여하였다.
펼치기
임보람의 다른 책 >

책속에서

... 이제는 땅의 역사나 흔적을 가지고 우리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생각해봐야 한다. 과거의 모습은 물론이요 우리와 가까운 시기의 모습들도 우리가 기억하고 남겨야 될 유산이며, 그것이 현재의 땅 위에 다시 자리매김해야 미래의 모습도 계획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1부 중 발췌)


건축물은 ‘단품 생산’이라는 특징을 가진다는 말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하나의 대지에 두 건축물이 동시에 자리 잡을 수 없다는 것을 설명해주는 말이었는데, 사람의 기억에는 한 장소에 두 가지 건축물이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 하나의 건축물만을 담을 수 있는 대지의 물리적인 한계를 사람들의 기억은 넘어서지요. 기억이 가지는 의미가 건축물에 반영이 되거나 기억의 흔적이 건축물에 보전된다면 좋겠습니다.

(2부 중 발췌)


문래동 영단주택단지는 일제강점기 말 1940년대부터 현재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