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96824631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0-07-15
책 소개
목차
009 / 송명화 Song Myeong-hwa 여보세요 Hello?
015 / 강전섭 Kang Jeon-seob 홍시 Ripe Persimmon
022 / 권남희 Kweon Nam-heui 꽃춤 A Flower Dance
028 / 권정순 Kweon Jeong-soon 해를 머금은 사찰 A Temple Filled Sun
033 / 김소예 Kim So-ye 동굴생활과 조정실 213호
Cave Life and Coordination Room 213
039 / 김옥희 Kim Ok-heui 천리향 Daphne Odora
045 / 김인숙 Kim In-sook 하얀 고무신 White Rubber Shoes
053 / 김자인 Kim Ja-in 내가 웃는다 I Smile
꿈꾸는 작은 새 A Dreaming Little Bird
072 / 김종희 Kim Jong-heui 나는 날마다 신화를 꿈꾼다
I Dream of a Myth Every Day
078 / 김지형 Kim Ji-hyeong 한 번도 가지 않은 길
A Road that Has Never Been Taken
084 / 박소현 Park So-hyeon 내성행상불망비
The Stele of Iron of Remembering the Merchants in the Naeseong Traditional Market
093 / 박영선 Park Yeong-seon 연골 The Cartilage
100 / 박인애 Park In-ae 틀을 깨다 Escape the Daily Routine
106 / 박태병 Park Tae-byeong 모자철학 On the Philosophy of Hats그 소녀 The Girl
120 / 배명란 Bae Myeong-ran 서래섬의 실루엣 Seorae Island's Silhouette
129 / 서미숙 Seo Mi-sook 맑은 향기 A Clear Scent
137 / 송성련 Song Seong-ryeon 낙관 Signature
143 / 유병숙 Yu Byeong-sook 그분이라면 생각해 볼게요 I'll Consider It If It's Him
149 / 이길순 Lee Gill-soon 이불 Cotton Conforters
157 / 이마리나 Lee Marina 내 안에 네가 있다 You're in Me
166 / 이명순 Lee Meong-soon 까마귀 울음 Crowing
170 / 이운순 Lee Un-soon 가시 Thorn
178 / 이종건 Lee Jong-geon 틈 Crack
186 / 정경란 Jeong Gyeong-ran 시댁 가는 길 The Way to My In-laws'
192 / 정여송 Jeong Yeo-song 쉼표 Comma
198 / 조경숙 Jo Gyeong-sook 성인식 Coming of Age Ceremony
204 / 조영희 Jo Yeong-heui 느티나무 Neptidia Tree
213 / 지향숙 Ji Hyang-sook 소록도 Sorok Island
224 / 최복희 Choe Bok-heui 겨울숲 Winter Forest
촌닭의 변신 Transformation of a Hillbilly
237 / 최옥연 Choe Ok-yeon 노도 가는 길 The Road to the Nodo
246 / 최원현 Choe Weon-hyeon 햇빛 마시기 Basking in the Sun
254 / 최재선 Choe Jae-seon 못 A Nail
260 / 권대근 Kweon Dae-geun 골목을 걷다 Walk down the Alley
저자소개
책속에서
‘여보세요’라는 간단한 낱말에 절절한 소망을 담아 부르는 목소리는 가늘고 높다. 누군가 대답하지 않으면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져 삶을 포기해버릴 듯 위태로운 목소리, 그 부름에 기꺼이 대답하는 일은 젊은이들에게는 의무라 하는 것이 옳지 싶다.
팔순의 어머니는 시골에 혼자 계신다. 내가 세상에 신고식을 할 때 어머니는 내 손을 잡아 주셨고 내가 아이를 낳을 때도 내 손을 잡아주셨다. 직장일 하는데 방해될까 봐 자식들 집에도 잘 다니지 않으시는 어머니. 안부전화 드린 날이 언제였더라. 안경이 흐려질 것만 같다. 어머니도 마음속에 ‘여보세요.’를 첩첩이 쌓아놓고 사실까.“여보세요?”계면쩍은 내 목소리가 점차 윤기를 띤다.(송명화의 수필 〈여보세요〉 중)
The simple word "Hello" has a thin, high tone of a voice with an ardent desire. It would be fair to say that it is a duty for young people to answer for the call with a precarious voice that would fall into despair and give up their lives.
My mother in eighties lives alone in the country. My mother held my hand for me first when I was starting out, crying as a baby. She is hesitant about visiting her children's home for fear she interferes with their work. "When was the last time I called to say hello to Mom?", I think to myself. My glasses are going to get blurry with my eyes wet. It suddenly dawns on me that my mother, too, has been piling up in layers 'Hello' in her hearts, left unsaid.
"Hello?"
My abashed voice is becoming brighter and shinier.
문화란 거창하고 아름다운 것만은 아니지 않은가. 한동안 골목 문화에 매료된 여행가나 문화사가들이 한양의 뒷골목, 어디어디 주점 골목 등을 글의 테마로 삼아 눈길을 끈 적이 있었다. 골목이란 향수가 어린 곳이다. 하지만 태극도 마을의 골목은 골목이라 하기에는 뭔가 부족하다. 담과 담으로 싸인 곳, 담과 집의 벽으로 싸인 곳이 아닌 곳이 대부분이기에 하는 말이다. 방이 바로 길을 보고 있고 길에서 바로 방에 들어가는 형태의 길이 이어져 있다. 어느 집에서나 도란도란 말소리 새어나오고, 문만 열면 오가는 이와 소통이 가능하다. 방문을 열고 소리치면 앞집, 옆집 모두 대답할 수 있는 거리여서 동네 사람들은 말 그대로 이웃사촌이 되지 싶다. (권대근의 수필 「골목을 걷다」 중에서)
Culture is not just grand and beautiful, is it? Travelers and cultural historians, who were fascinated by the culture of the alley for a while, used Hanyang's back alleys and some whatsit pup alleys as themes for their writtings. An alley is a place where nostalgia is buried. By the way, Taegeuk-do is not a village alley. There is something missing to be called an alley. This is because most places are not walled, nor surrounded by walls and houses. The room is looking straight toward the road, and there is a straight path from the road to the room. Anyone passing by can eavesdrop on the conversation from inside the house. One can communicate with people who come and go whenever he or she opens the door. If they open a door and shout, they can answer all the people in front and next door, so they can call one another a neighbor liter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