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91196995249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3-01-15
목차
저자의 말
머리말
■ 시간과 공간_21
■ 자연경관과 문화경관_23
■ 환경과 역사_25
■ 관련 문헌 소개_27
■ 표기법 및 통계_32
제1장 역사지리:시간과 공간의 만남제1장 만남
제1절 중국 이해의 균형 찾기
1. 중국이라는 나라_37
■ 복잡계의 적용 무대
■ 의구한 역사, 노쇠한 자연
2. 업데이트가 필요한 인식의 틀_41
■ 낡은 거울의 굴절 효과
■ ‘어떻게’ 대신 ‘왜’를
3. 오해와 이해 사이에서_45
■ 껄끄러운 대국의식
■ 정치권력과 행정편제의 그물망
■ 고객 존중에 무심한 주인
제2절 역사지리학의 문제의식과 과제
1. 역사학의 반성과 생태학_53
■ 반성과 성찰
■ 환경사의 대두
■ 촘촘하고 넓은 그물망
2. 배후 조정자, 기후_56
■ 숨은 조정자
■ 취약한 고리, 결정적인 방아쇠
■ 신의 메시지, 기후 변화
3. 불변과 가변 사이에서_59
■ ‘기후불변론’의 오류
■ 위험한 진실, ‘기후결정론’
■ 온난화와 기후에 대한 새로운 인식
■ 감춰진 보물
제3절 역사지리학의 학문적 성격과 영역
1. 역사지리학의 학문적 성격_64
■ 역사지리학에 대한 정의
■ 보조학문으로서의 역사지리학
■ 독립적 교차학문으로서의 역사지리학
2. 중국 역사지리학의 출범과 성취_67
■ 도입과 출발
■ 창시자와 3대가
■ 주요 학자와 성취
■ 학문의 영역과 분류
제2장 지명과 지명학, 지도제2장 지도
제1절 지명과 지역명의 유래
1. 지명과의 만남에 앞서_75
■ 지방과 지역
■ 대륙과 아대륙
■ 한인과 한족, 소수민족
2. 지명과 지역명의 유래_80
■ 중원과 중국
■ 화하와 중화
■ 지명과 피휘
3. 행정명의 유래_84
■ 지명의 개념과 수명
■ 지명 책정의 방식
■ 길상과 번영의 기원
■ 지명학 연구와 저작
제2절 중국의 고지도와 지도학
1. 명대 이전의 지도_91
■ 고대의 지도
■ 서진 배수의 지도
■ 송대의 지도
■ 원·명대의 지도
2. 청대의 지도와 지리지_94
■ 강희제의 ‘황여전람도’
■ ‘건륭내부여도’
■ ‘대청회전여도’
■ ‘해국도지’
제3장 행정지리:행정편제의 변화와 현황제3장 현황
제1절 역대 지방 행정편제
1. 진~남북조의 지방 행정편제_99
■ 진·한의 행정편제
■ 삼국과 위진남북조의 행정편제
2. 수~청의 지방 행정편제_100
■ 수·당대의 행정편제
■ 송대 이후의 행정편제
제2절 지방 행정편제와 행정단위
1. 성급 행정단위_104
■ 성급 행정단위와 지역 구분
■ 시제의 도입과 4대 직할시
■ 23개 성
■ 5개 자치구
■ 2개 특별행정구
2. 성 관할 행정단위_113
■ 독자경제도시
■ 부성급 도시
■ 지급시
■ 자치주와 맹
■ 지구
제3절 지급시 행정편제와 관할 단위
1. 지급시 관할 현급 행정단위_126
■ 지급시 구청
■ 현급시
■ 현과 자치현
■ 기와 자치기
■ 구
2. 지급시 관할 향급 행정단위_129
■ 가도
■ 현 직할구
■ 진·향 및 민족향
■ 쑤무와 민족쑤무
제4장 구역지리:중국의 지역구분제4장 지역구분
제1절 지역구분의 개념과 구분법
1. 천하와 만리장성_136
■ 천하 개념과 ‘우공9주’
■ 중원과 사이
■ 남방과 북방
2. 청조의 변지 통치_141
■ 청조의 영역 확대와 제국적 성격
■ 청조 이래의 변지정책
제2절 8대 지역 구분과 기타 구분
1. 8대 지역구분과 화북·화중·화남_147
■ 8대 지역 구분
■ 정치경제적 구분의 특성
2. 화동·중남·동남_149
■ 화동·서북·서남
■ 중남·동남과 5대 지역
3. 기타 지역 구분_153
■ 자연지리적 구분법
■ 경제지리적 구분법
■ 군 관할지역 구분법
제5장 자연지리제5장 자연지리Ⅰ:지형과 기후, 수자원:수자원
제1절 지형의 형성과 기본 구조
1. 위도와 경도, 기온_169
■ 중국의 위치와 기온
■ 티베트고원과 계절풍기후
2. 계단식 대지형 복합체_173
■ 3개의 대지형 복합체
■ 1급 대지형의 특성
■ 2급 대지형의 특성
■ 3급 대지형의 특성
제2절 기후의 변천사
1. 제1차 온난기와 한랭기_178
■ 제1차 온난기(전3000~전1000)
■ 제1차 한냉기(전1000~전770)
2. 제2차 온난기와 한랭기_183
■ 제2차 온난기(전770~전30)
■ 제2차 한냉기(전30~600)
3. 제3차 온난기와 한랭기_186
■ 제3차 온난기(600~985)
■ 제3차 한냉기(985~1192)
4. 제4차 온난기와 한랭기_188
■ 제4차 온난기(1192~1277)
■ 제4차 한냉기(1325~1880)
제3절 식생과 생태환경의 변화
1. 인간의 오랜 간섭과 환경의 변화_193
■ 중국의 토지 이용과 문제점
■ 천연식생이 사라진 대륙
2. 사막과 황사_201
■ 중국의 사막
■ 중국의 사지
■ 사막화 현상과 그 원인
■ 황사의 종류와 발생의 증가
3. 수자원과 남수북조 공정_211
■ 강과 문명의 탄생
■ 남수북조 공정
제6장 자연지리제6장 자연지리ⅡⅡ:황토와 황하, 그 도전과 응전:응전
제1절 황토와 황토고원의 특성
1. 황토와 황토고원_221
■ 황토의 조성 물질과 특성
■ 황토고원의 형성과 특성
■ 황토고원의 지리적 구분
2. 황하의 형성과 발전_231
■ 황하 개관과 하단河段 구분
■ 황하 형성에 대한 지질학적 검토
제2절
황하의 물길과 유수량·수사량
1. 물길과 지류의 특성_237
■ 황하의 물길
■ 황하의 지류
2. 니사와 수사량_242
■ 니사의 크기
■ 하단별 함사량과 수사량
■ 수사량의 변화
3. 유수량과 수자원_246
■ 유수량 개관
■ 유수량의 변화
■ 수자원 개발과 이용
제3절 황하의 홍수와 생태환경의 변화
1. 토양 유실과 홍수_250
■ 황하 유역의 토양 유실과 문제점
■ 고함사 홍수
■ 하상 침식과 하천부지
2. 홍수와 물길의 변천_256
■ 역대 홍수 기록과 그 원인
■ 물길 변천 요인과 특성
■ 역대 물길의 변천 상황
3. 황하 유역 생태환경의 변화_268
■ 황하 유역 원생태계 논란
■ 주요 학자들의 견해
■ 황하 유역 생태환경의 문제점
제7장 자연지리제7장 자연지리ⅢⅢ:장강 만리의 물결과 숨결:숨결
제1절 장강 수계의 특성과 변천
1. 장강의 형성과 발전_279
2. 운몽택의 소멸과 홍호의 성장_282
3. 형강 수계의 역사적 변천_284
■ 상형강 하상의 변천
■ 하형강 하상의 변천
4. 동정호의 수축과 팽창_287
5. 팽려택의 소멸과 파양호의 출현_289
6. 태호평야 수계의 변천_292
제2절 해하·회하·한강의 역사적 변천
1. 해하 수계의 형성_294
■ 해하 수계의 인위적 형성
■ 해하 수계 주요 하류의 변천
2. 회하의 특성과 역사적 변천_298
■ 회하의 하단과 특색
■ 회하와 황하
3. 황회해평야 호소의 변천_301
■ 황회해평야
■ 고대 황회해평야의 호소 분포
■ 송대 이후 황회해평야 호소의 변천
4. 한강의 특성과 역사적 변천_306
■ 한강의 하단과 변화
■ 한강의 항행과 지정학적 중요성
제3절 해안선의 역사적 변천
1. 요동만 해안_309
2. 발해만 해안_310
3. 소북해안_313
4. 장강 하구 해안_315
5. 항주만 해안_318
제8장 인구지리:인산인해, 넘치는 인구제8장 인구
제1절 역대 인구 현황과 변화 추이
1. 중국의 인구 추이_323
2. 제국 초기의 인구_328
■ 선진先秦시대
■ 진대
■ 1한대
3.이민족의 유입과 이주_337
■ 삼국시대
■ 남북조시대
■ 수당시대
4.1억 인구 시대의 개막_345
■ 총인구 1억 돌파
■ 남북 인구 비율의 역전
■ 사회적·공간적 유동성의 증대
■ 남북송 교체와 제2차 인구 대이동
■ 원대의 인구 추이
5. 인구 통제와 대류현상_353
■ 명의 이주정책과 인구 이동
■ 이갑제와 인구의 대류현상
■ 산간으로의 이주
제2절
내부 프론티어의 종식과 본격적 이산
1. 청의 인구증가와 생태계와의 부조화_359
■ 지구온난화와 인구증가
■ 인구증가와 환경 악화
■ 내부 갈등의 증폭과 혼란
2. 변방과 교계지로의 침투_363
■ 대만으로의 이주
■ 만주로의 이주
■ 내부 식민지로의 이주
3. 객가와 화교_369
■ 객가의 형성과 그 특성
■ 해외 이주의 활성화
■ 화교사회의 형성
제3절 과도한 인구압과 ‘계획생육’
1. 잘못된 판단과 다산정책_378
■중국의 인구관
■모택동의 ‘계급투쟁만능론’과 마인초의 비극
■다산정책 추진의 후유증과 인구 전망
2. 강압적 산아제한정책과 통제_382
■전면적인 산아제한 전쟁의 추진
■강력한 초과 출산 통제와 인구 조사
3. ‘가족주의’ 사회의 가족해체_384
■최근 인구 상황
■급격한 출산율 저하 요인
■최근의 조정정책
도표 및 사진 목록
지도목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