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7023606
· 쪽수 : 353쪽
· 출판일 : 2020-07-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고전 읽기의 희망, 고전 속에 숨겨진 사고력을 찾아라•9
1장 세계를 향하여, 삶을 열정적으로 사는 지혜
돈키호테는 왜 풍차를 향해 돌진했을까?•24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불태워진 책, 돈키호테가 미친 이유는 무엇인가?•25 | 읽는 자는 새로운 세계를 얻는다•28 | 평범함을 거부한 ‘슬픈 얼굴의 기사’•32 | 거인 풍차와의 대결•34 | 나도 돈키호테야•41
모모, 그가 알려주는 비밀은 무엇인가?•47
미하엘 엔데의 〈모모〉
모모의 결정적 능력은 무엇인가?•47 | 모모가 곧 시간이다•48 | 듣기는 시간과 공간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50 | 시간 도둑들은 왜 하필 회색을 좋아할까?•52 | 시간의 정체에 대한 수수께끼•54 | 시간은 과연 저축할 수 있을까?•55 | 시간의 전체 모습을 본 사람이 아무도 없다•56 | 모모의 시간•57 | 시간의 형제들 중 ‘느림이 우정을 발명했다.’•58 | 시간은 색깔을 가지고 있을까, 시간은 어떤 모양일까?•60 | 지구의 모든 불행의 책임은 시간이 져야 한다•61 | 시간이 발휘하는 결정적인 능력은 계속하는 것이다•62 | 시간은 기회이다, 회색의 시간 도둑은 기회를 빼앗는 것이다•63 | 과거는 기억 속에 저장된다, 기억이 곧 시간이다•63 | 만약 과거가 사라진다면? 기억이 인간을 구원한다.•64 | 기억하는 능력은 곧 부활시키는 능력이며, 시간의 재생이다•65 | 시간의 재생, 기억은 미래를 보게 한다•66 | 시간의 정지가 곧 ‘순간’이다•68 | 왜 시간의 신은 두 명일까, 크로노스와 카이로스•69
삶을 변화시키고자 한다면 언어를 변화시켜라•73
페터 빅셀의 <책상은 책상이다>
삶의 변화를 간절히 원했던 한 남자의 이야기•73 | 언어가 바뀌면 인생이 변화한다•76 | 이름은 인간 세계에 들어가는 신분증이다•77 | 언어는 인간의 발명품이다•78 | 언어의 마술, 모든 것의 무게를 사라지게 한다•78 | 언어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머릿속에 저장한다•80 | 언어의 마법, 힘을 발휘하여 상대방을 움직이게 한다•80 | 언어는 쓰면 쓸수록 늘어나는 신기한 존재이다•81 | 언어는 곧 지식이다 •81 | 명사만이 이름이 아니라 모든 낱말이 이름이다•82 | 가장 슬픈 존재는 이름을 갖지 못한 것들이다 •84 | 우리는 몇 개의 이름을 가졌는가?•86 | 언어는, 낱말들은 비밀스러운 과거를 가지고 있다•87 | 언어의 신성함을 제거한 사람이 나타났다•88 | 늙은 남자는 시니피앙만 보았지 시니피에를 보지 못했다 •90 | 늙은 남자는 왜 자신만의 이름을 붙였을까, 이름에는 어떤 열망이 있다•91 | 책 읽기의 어려움, 책은 시니피앙(기표)으로 가득하다 •92 | 페터 빅셀의 늙은 남자는 언어와 대결에서 패배했다 •98
햄릿의 운명을 바꾼 유령의 정체는 무엇인가?•100
셰익스피어의 〈햄릿〉
햄릿의 운명은 무엇 때문에 바뀌었을까?•100 | 유령의 정체는 무엇인가?•101 |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이다 •107
신들과 싸움에서 이기는 법은 무엇인가?•120
호머의 〈오디세이아(Odysseia)〉
인간을 대표하는 오디세우스, 그는 어떻게 신들의 저주 속에 살아남았는가?•120 | 오디세우스는 어떻게 영웅이 되었나?•136 | 외눈박이 키클롭스의 세계는 어떻게 생겼을까?•138
프라이데이는 왜 하필 금요일에 만났을까?•142
다니엘 디포우의 〈로빈슨 크루소〉
몸은 자아가 사는 집이다•146 | 자아의 두 번째 영토는 바로 사유의 영토이다•148 | 나의 휴대전화에는 몇 명의 사람들이 저장되어 있는가?•149 | 자아는 언어를 통해 세상 밖으로 외출한다•151 | 몸이 딛고 서 있는 땅이 바로 나의 영토이다•152 | 오직 나만을 위해 봉사하는 존재들이 있다•152 | 나만의 독특한 스타일, 내가 좋아하는 것들의 세계•153 | 로빈슨 크루소는 왜 그렇게 열심히 일했던 것일까?•154 | 왜 왕, 귀족, 지배층은 노동하지 않았을까?•155 | 어떻게 노동은 신성한 것으로 뒤집혔을까?•158 | 로빈슨 크루소는 왜 하필 금요날 프라이데이를 만났을까?•163
우리는 과연 몇 개의 세계에 살고 있는가?•169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
눈으로 볼 수 없지만 존재하는 것은 무엇인가? •169 | 걸리버 여행기는 왜 금서가 되었을까?•170 | 작은 사람들의 세계, 육체와 마음(생각) 중 무엇이 작은 것일까?•170 | 망원경으로만 볼 수 있는 세계, 거대한 것들의 자랑은 무엇인가?•174 | 인간보다 현명하고 똑똑한 동물이 왜 하필 말일까? •178
2장 자기세계의 발견, 사회와 역사를 향한 치열한 사유
내 몸안에 누군가 살고 있다, 그의 이름은?•192
스티븐슨의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
한 사람의 몸 안에 두 개의 존재가 살고 있다는 충격적인 이야기•192 | 내 몸속에 누군가 살고 있다, 그의 이름은 무엇인가?•194 | 생각하는 나의 이름은 ‘자아(自我)’이다•199 | 나는 두 번 태어난다•199 | 10대의 비밀, 자아는 어떤 힘과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 •200 | 내 안에 지킬과 하이드가 함께 있을까?•202
무엇이 나를 거듭나게 하는가?•209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성장이란 무엇인가?•209 | 싱클레어가 만난 세계는 어떤 세계인가? •212 | 빛, 아버지라는 세계•212 | 크로머, 최초의 균열•216 | 데미안, 나의 그림자를 알아보는 이•221 | 투쟁, 나를 만나기 위한 날갯짓•227 | 싱클레어들이 사는 세상 • 230
숨겨진 진실을 드러나게 하는 변신, 왜 하필 벌레로 변했는가?•232
카프카의 〈변신〉
충격적인 변신, 왜 하필 벌레로 변한단 말인가?•232 | 벌레, 디스토피아적 변화, 갑충으로의 변신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233 | 문턱, 그 뒤편의 숨겨진 진실은 무엇인가, 변신으로 드러난 진실•236 | 그레고르는 스스로 변신한 것이 아니라 변신당했다! 소외, 처절한 성찰•240 | 실존, 기만적 관계를 바로잡아야 한다•246
샤일록의 비밀, 진짜 상인은 과연 누구인가?•252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
어느 유대인의 ‘베니스의 상인’ 관람기•252 | 셰익스피어가 선택한 베니스, 그는 무대를 왜 베니스로 정했을까?•257 | 베니스는 어떻게, 왜 상인의 도시가 되었을까? •258 | 베니스의 상인에서 주인공은 누구일까?•260 | 안토니오는 왜 그렇게 샤일록을 경멸했을까?•260 | 샤일록은 왜 안토니오의 살 1파운드를 원했을까?•264 | 베니스의 법정, 이대로 좋은가? •266 | 포샤의 판결은 정당했을까?•266
프로메테우스의 불, 그는 왜 인간에게 불을 주었을까?•270
그리스신화의 〈프로메테우스〉
인간에게 최고의 신은 누구인가?•270 | 프로메테우스는 왜 불을 인간에게 주었을까?•272 | 인류에게 불은 무엇인가?•274 | 불이 가져온 혁명•274 | 최초의 요리사가 탄생하다, 불이 만들어 낸 기쁨과 행복들•278 | ‘프로메테우스의 불’이란 무엇일까?•279 | 인간 중에 누가 프로메테우스인가?•281 | 에필로그에 남아있는 에피메테우스, 그는 왜 판도라와 결혼했을까?•284
벤자민은 왜 웃지 않을까?•288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
우화의 힘•288 | 멋쟁이 동물•292 | 무비판, 무의지, 무사유가 불러일으킨 파장•295 | 언어도단•301 | 누구를 위한 자유와 평등인가?•306
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 왜 하필 도둑은 40명일까?•311
〈아라비안나이트〉, 알라딘과 요술 램프의 비밀을 찾아서
알라딘은 어떤 인물인가, 그의 희망은 무엇인가?•312 | 요술 램프란 무엇일까?•313 | 지니는 누구일까?•314 | 그런데 왜 하필 지니는 요술 램프 속에서 사는 것일까?•315 | 알라딘의 도우미는 요술 램프•316 | 신밧드의 모험, 아라비아 상인 신밧드들•318 | 상인에게 필요한 능력은 무엇일까?•321 | 신밧드가 상인으로서 항해를 떠날 때 꼭 가지고 가야만 했던 것은 무엇일까? •322 | 알리바바와 40인의 도둑, ‘열려라 참깨’의 의미는?•327 | 알리바바와 40인의 도둑 이야기에서 도둑이란 누구일까?•328 | 왜 하필 40인의 도둑일까?•329 |
매혹적인 아라비아 여성들•330
웃음의 비밀, 아리스토텔레스의 희극론은 왜 불태워졌을까?•332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
7명을 죽음으로 유혹한 것은 무엇인가?•332 | 진짜 장미는 어디로 사라졌는가?•334 | 수도사들은 왜 웃지 않고 근엄한 것일까?•336 | 현대의 악마는 울음을 몰고 다닌다•340 | 신발은 언제 웃는가?•342 | 중세의 사탄, 악마는 웃음이었다•342 | 성취, 완성, 행운의 숫자 7일의 비밀•346
미주•350
리뷰
책속에서
돈키호테, 햄릿, 로빈슨 크루소, 홍길동, 파우스트, 심청, 신데렐라.....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