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7078101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20-06-29
책 소개
목차
서론
1장 매스미디어의 탄생과 8가지 신화
여론이 돈이 된다는 걸 깨닫다 : 공공성의 신화
_구텐베르크는 왜 인쇄소를 뺏겼나
_1500년대 책과 SNS 콘텐츠의 공통점
_미디어는 공적 이익만 추구해야 하는가
인쇄 미디어가 폭발시킨 종교개혁 : 가짜뉴스의 신화
_인쇄혁명의 진짜 의미
_마틴 루터, 매스미디어의 힘을 깨닫다
_16세기판 트위터, 팜플릿
_종교개혁은 가짜뉴스 전쟁이었다
_가짜뉴스의 함정에 빠진 루터
_뉴미디어가 혁신의 목소리와 만날 때
_가짜뉴스 현상에는 패턴이 있다
미디어를 제도로 통제할 수 있는가 : 미디어 정책의 신화
_검열하면 생기는 일
_검열의 시대, 초국적 언론의 출현
_뉴스의 상품 가치를 알려준 규제의 풍선 효과
신문의 출현이 인쇄보다 150년 늦은 이유 : 콘텐츠가 왕이라는 신화
_네트워크가 만든 뉴스의 탄생
_독자를 위한 구독 경제 모델
_뉴스의 확산은 곧 베끼는 것
언론은 민주주의의 원인이 아닌 결과다 : 민주주의 식량의 신화
_매일의 기록, 저널리즘
_뉴스가 정치를 다룬다는 것의 의미
_광고 플랫폼으로 진화한 신문
_민주주의, 대중지 시대를 열다
신문은 왜 과점일 수밖에 없는가 : 사상의 자유 시장 신화
_런던의 신문은 거대 비즈니스였다
_자유경쟁 시장에서의 미국 신문
_정치적 팬덤의 나팔수가 되다
_투표율과 신문 부수의 상관관계
_진입장벽 없는 뉴스의 몰락
신문은 왜 싸고 거대해졌나 : 저널리즘 객관성의 신화
_광고와 대중화로 정치적 중립을 선언하다
_객관적 저널리즘 모델이 미국에서 탄생한 이유
_페니 프레스가 불러온 규모의 경제
_뉴저널리즘의 숨은 공로자, 주목 경제의 광고 플랫폼
기술은 정보의 평등을 보장하는가 : 미디어 기술 혁신의 신화
_생중계 뉴스의 시대가 열리다
_미국 역사상 최악의 대통령 선거, 그리고 AP
_기술 혁신은 미디어 생태계에 독일까 득일까
_신기술을 대하는 자세가 미디어의 미래를 가른다
_생태계 변화가 가져온 망 중립성의 딜레마
2장 디지털 플랫폼 경제, 뉴스 비즈니스의 위기
뉴스 산업은 어떻게 생존해왔는가
_뉴스에 대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저널리즘
_우리가 믿고 있던 저널리즘의 진실
_뉴스 산업의 세 가지 생존 요건
중산층의 분열이 언론에 미친 영향
_중산층을 결합시킨 대중지의 탄생
_중산층 독자는 왜 사라졌나
_대량생산 체제의 붕괴로 불신이 만연해지다
뉴스 비즈니스를 무너뜨린 디지털 플랫폼
_플랫폼은 중립적일까?
_TV와 네이버의 플랫폼 차이
_네이버의 지배력은 어디까지 미치는가
_뉴스 기업은 디지털 플랫폼에 무엇을 빼앗겼나
뉴스가 할리우드에게 배울 수 있는 것
_문화 산업 특유의 비즈니스 모델
_에디슨에게 영화를 도둑맞은 이유
_할리우드는 어떻게 세계 영화 시장을 장악했나
문화 산업 불변의 경제학
_매몰비용의 증가가 초래한 규모의 경제
_품질 경쟁이 진입장벽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
_할리우드를 성장시킨 가치사슬 전략
_한계이윤과 유통 전략
비즈니스 모델을 잃은 뉴스 산업의 현재
_문화 산업으로서의 뉴스 비즈니스
_뉴스의 저작권을 둘러싼 이슈
_한국 뉴스 시장의 진입장벽 붕괴
_저널리즘의 보호막을 벗은 뉴스의 민낯
_신문의 경합 시장이 몰고 온 가짜뉴스 현상
_가짜뉴스의 확산과 팩트 체크의 함정
3장 뉴스 비즈니스의 미래, 그리고 변하지 않는 것
뉴스가 버려야 할 것과 지켜야 할 것
_비즈니스 모델의 출발선에서
_뉴스의 독자를 생각하다
_낡은 저널리즘에서 벗어나라
_게이트키핑을 확률화하라
21세기형 AI 윤전기를 준비하라
_아마존은 어떻게 ‘워싱턴 포스트’를 혁신했나
_뉴스 산업의 새로운 플랫폼 전쟁
_새로운 진입장벽이 될 디지털 윤전기
디지털 혁신이 가져온 효과
_복합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_스타 칼럼니스트들이 NYT에 몰려드는 이유
_서막 오른 한국 뉴스 산업의 디지털 투자
플랫폼에게서 유통 파워를 되찾는 법
_넷플릭스의 진짜 무기, 유저 데이터
_넷플릭스 플랫폼이 구글과 다른 점
_뉴스 비즈니스가 디지털 시대에 살아남는 법
_확산이 아닌 신뢰에 주목하라
콘텐츠 차별화를 위한 뉴스룸의 역할
_개방적이고 효율적인 에디터 네트워크
_콘텐츠를 차별화하는 다양성의 힘
_제작자를 넘어선 연결자가 되라
십스테드와 버즈피드가 뉴스의 미래일까?
_뉴스 비즈니스의 세 가지 대안 모델
_‘뉴욕 타임스’의 구독 모델
_십스테드의 디지털 사업 다각화 모델
_버즈피드의 디지털 네이티브 모델
_사업 다각화의 다섯 가지 모델
뉴스 비즈니스의 미래
_문화 산업의 이중 시장 구조를 벤치마킹하라
_네이버나 유튜브가 언론을 대체할 수 없는 이유
_AI 알고리즘 기반의 디지털 퍼블리싱
_콘텐츠의 핵심은 게이트키핑
결론
주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가 갖고 있는 ‘저널리즘’에 대한 선입견부터 벗겨볼 것이다. 저널리즘의 껍질을 거둬낸 뉴스는 시장에서 어떻게 굴러가는지 그 메커니즘을 처음부터 다시 분석해보려고 한다. 저널리즘에서 벗어나면 뉴스는 콘텐츠다. 콘텐츠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영화, 드라마, 노래, 책도 콘텐츠다. 문화 산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 맥락에서 이 책은 문화 산업 경제학이라는 틀에서 뉴스를 보고, 지금은 고장 난 비즈니스의 수리 방법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_‘서론’ 중에서
이 책의 목적은 가짜뉴스의 정의를 논하고 그 해결책을 찾는 데 있지 않다. 지금 우리가 뭉뚱그려 ‘SNS 현상’이라고 일컫는 것들이 진짜 디지털 시대에 새롭게 나타난 현상인지 판단하고 그 토대 위에 앞으로의 미디어 지형을 가늠해보려는 것이 이 책의 취지다. SNS 현상으로 가장 먼저 지적되는 문제가 가짜뉴스다. 따라서 역사적으로 가짜뉴스 전쟁이 어느 시기에 가장 격렬하게 발생했는지 살펴보고 그 발생 패턴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종교개혁에서의 가짜뉴스 전쟁은 가짜뉴스가 순수한 디지털 현상이라는 선입견을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보다는 뉴미디어가 사회 제도적 변혁 압력과 만나 제도의 정당성 논쟁으로 불붙었을 때 생겨나는 파편이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종교개혁은 매스미디어를 매개로 한 최초의 시민운동이었다.
_‘1장 매스미디어의 탄생과 8가지 신화’ 중에서
가짜뉴스는 뉴스 산업의 잘못된 관행 탓만으로 생겨나지 않는다. 네트워크 신기술이 혼자 만들어내는 것도 아니다. 기존 제도의 정당성이 흔들리고 사회의 변화 압력이 고조됐을 때 공론장의 패턴을 변화시키는 신기술 네트워크가 등장하면 두 가지가 부딪치면서 분출되는 파편이다. 따라서 가짜뉴스라는 결과적 파편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는 것만으로는 정확한 진단도, 해결 방안도 나오기 힘들다. 팩트 체크는 바람직한 저널리즘을 위해 필요한 기본 시스템이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뉴스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가져다준 세 가지 기본 요소가 20세기에는 어떻게 작동해왔고, 왜 이제는 그 작동이 어려워졌는지 메커니즘을 하나씩 들여다보자. 그리고 가짜뉴스 현상을 만들어내는 두 가지 요인, 즉 제도적 압력과 새로운 네트워크 신기술의 출현이 현재 어떻게 맞물리면서 작동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그 다음 공공재인 뉴스가 가진 DNA, 즉 경제적 속성을 더 자세히 분석함으로써 영미식 저널리즘 해체 이후의 미래는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고민해보고자 한다.
_‘2장 디지털 플랫폼 경제, 뉴스 비즈니스의 위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