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97078255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24-03-02
책 소개
목차
1. 연구 소개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3) 연구의 목표
4) 연구의 범위 및 단계
5) 연구 방법
6) 연구 문제
7) 연구의 예술적 효과
8) 연구의 사회적 효과
9) 연구 결과의 공유 및 활용
2. 자료 조사
1) 걷는사람
2) 문학과지성사
3) 문학동네
4) 민음사
5) 아침달
6) 창비
7) 함께하는 출판그룹 파란
8) 현대문학
결과 분석
3. 인식 조사
1) 응답자 일반 특성
2) 응답자 중 문학 창작자의 일반 특성 및 낭독 경험
3) 응답자의 낭독 행사 관객 참여 경험
4) 시 낭독의 예술적 가치 평가
5) 낭독 행사의 구성 요소
6) 낭독 콘텐츠 이용 및 제작 요건
4. 전문가 자문
5. 창작자 면접 조사
6. 기획자 면접 조사
7. 시범 공연 결과
8.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책속에서
낭독은 과거 문학의 예술적 가치와 의의를 완성하는 요소 중 하나였다. 인쇄 혁명 이후 문해력을 갖춘 독자가 절대다수를 이루게 되면서 청각적 요소를 배제하는 묵독의 시대가 도래하였으나, 현시대 독자가 문학작품을 향유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다시금 낭독의 음성적 심미성과 편리성 등 그 가치에 주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최근 시인의 주요한 대외활동 중 하나로 출간 행사의 내용에 낭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낭독 활동은 시와 소설 등 문학작품을 창작하고 발표하는 활동 외에 부가적으로 잇따르는 일회성 행사의 콘텐츠로서만 인식되고 있 으며, 공식적인 예술 활동으로는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시인의 낭독이 비평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고 단순히 문학 행사에 수반되는 행위로서만 인식되고 있다. 이처럼 변화하는 문학의 흐름에 필요한 관련 담론이 부재하기에 담론을 생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의 필요성」 중에서
본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제시한 예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 낭독의 예술적 가치 발견과 인식의 제고이다. 문학 독자에게 시 낭독이 지닌 예술성과 심미성 등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시각적 수용으로 제한되었던 시 문학의 기존 향유 방식을 확장하여 낭독 음성의 청각적 수용이 활성화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둘째, 문학 작가의 낭독 행사에 대한 예술 활동 인정 가능성이다. 즉, 본 연구를 통해 시인의 낭독 행사 참여가 공식적인 예술 활동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지 타당성과 가능성 등을 연구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될 경우, 문학 작가의 낭독형 공연 행사 참여가 단순히 홍보와 마케팅을 넘어서서 문학 작가로서의 예술 활동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만약 본 프로젝트의 쇼케이스 발표를 통해 낭독형 공연이 예술 활동으로서 유의미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면, 향후 시인을 비롯해 전 분야의 문 학 작가가 공연 등으로 예술 활동을 지속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예술적 효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