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7441660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21-05-15
목차
책을 펴내며 ·········5
머리말 ·········15
1장. 불통이면 무물(無物), 무인(無人)
1. 만나야 산다 ·········23
나뉠 수 없다 / 또 만나고 더 만나야 / 만남과 떠남은 서로를 전제
2. 만나면 소통한다 ·········34
탁구공도 탁구선수도 / 막힘없는 흐름 / 소통의 두 의미 / 함께 나누기
3. 삶은 소통이다 ·········44
한숨 아닌 ‘큰 숨’ / 밥 길, 말길 / ‘다 사람’, ‘다 입’ / ‘더 만남’, ‘덜 만남’의 공존 / 애인(愛人), 애기(愛己)
2장. 피하는 만남, 만나는 피함
1. 나의 입만이 먹고 말하는 입 ·········65
당신만 힘들어? / 너는 아니다 / 자꾸 원위치 / 너무 달라서, 너무 같아서 / ‘맞’-남과 ‘만’-남
2. 위의 입만이 먹고 말하는 입 ·········82
어른을 가르치려 하느냐 / 반만 나-서라 / 10 ~ 20kg / 위아래로 나누어야 / 누르지 않고 눌리지 않는 위아래
3. 죽어 살아라 ·········102
‘이중 여자’, ‘이중 아래’ / 각자 제자리로 / 경계(境界)선 그어 경계(警戒)서기 / 움직임 없는 움직임
4. 따라다니는 따돌림 왕따 ·········117
무시하고 때리고 따돌리고 / ‘무전(無全)유죄’ / 누가 더 장애인?
5. 자신의 뜻이 국민의 뜻 ·········127
고의 아닌 것처럼 / ‘민객’(民客)일수록 ‘민주’(民主)라네 / 자꾸 사정하여 채용했더니
6. 과도하게 내다보는 시선 ·········141
‘다시다시’(多視多示) 문화 / 다른 사람들이 나라고? / 우리 요새 신혼이잖아 / 나는 크게 보이고 남은 작게 보고 / 없는 ‘속’도 있는 ‘겉’-처럼
7. 얼렁뚱땅의 미학 ·········156
슬그머니 그러나 재빨리 / ‘공주 밤’만 있네 / 또 이름표 / 친구 형인데 / 더 세속이려고 세속 부정 / 보이는 감춤, 감추는 보임 / ‘공주 밤’들은 부지기수 / 중의법의 힘
3장. 너무 나뉘어 못 나누는 세상
1. 수직주의적 예문화 전통 ·········171
만남과 소통의 ‘바른’ 법, 예(禮) / 빼고 더하고 강조하고 비트는 힘 / 다른 옷의 같은 수직분리 / ‘쿨투어’(Kultur)가 ‘나투어’(Natur)로
2. 물질크기로 쫓고 쫓기는 외로운 길 ·········187
지쳐도 있고 의심도 가고 / 미래 같은 과거 / 전체화 속의 파편화 / 모두가 적
3. 대신 생각해주는 전달교육 ·········204
‘Ctrl-C, Ctrl-V’ / 같은 생각하기 / 졸업 후에도
4. 우리에 갇힌 우리들 ·········214
아슬아슬한 하나 / 수상한 강조 / 나눔이 나눔 방해
5. 다수와 같아져라 ·········227
‘일제’히 ‘제일’만 / ‘안’(in)-일 수 없는 ‘안’(not)-인 사람들 / ‘작은 다름’만 배제
6. 반도, 섬보다 더 섬 ·········241
우물 밖의 우물 안 개구리 / 반도의 반(半)도 하나의 우물
4장. 수평 소통으로 더 사람, 더 세상
1. 배제의 ‘배’(排)에서 배려의 ‘배’(配)로 ·········253
‘따로함께’ / ‘다 나’이고 ‘다 너’인데 / 밀어-내기, 끌어-들이기 / ‘유물유인 무물무인’(有物有人 無物無人)
2. ‘역지행지’(易地行之)와 ‘다름 만남’ 여행 ·········278
갑순이가 아니라, / 떠날 때 만날 수 / ‘역지행지’(易地行之)로 / ‘다름 만남’ 여행
3. 같음과 다름 사이, 있음과 없음 사이 ·········297
다를 수 있는 같음, 같을 수 있는 다름 / ‘약 너’ 없는 ‘갑질’, ‘약 나’ 없는 ‘을질’ / 둥근 나란히 ‘병질’(竝-) / 수직적, 수평적 같음과 다름 / 안에서 밖이기, 밖에서 안이기
4. ‘이통치통’(以通治通)의 소통 공간 열음 운동 ·········330
‘더 소통’으로 ‘더 사람’, ‘더 세상’ / 같이 생각하기 / 생각 열음, 생각 나눔, 생각 키움의 장 / 실천
맺는말 ·········357
저자소개
책속에서
겉만 보면 안 보인다. 그러나 조금만 들여다보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