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97523908
· 쪽수 : 277쪽
· 출판일 : 2021-07-01
목차
안중근 家 여성록
서언 ∘ 19
[1부] 안중근 家 여성의 독립운동 ∎ 심옥주
1. 학술적 시각에서 본 안중근 家 여성 ∘ 27
1) 연구접근시각 ∘ 28
2) 안중근 가계와 여성 ∘ 31
(1) 안중근 가계의 민족의식 ∘ 31
(2) 안중근 가계의 여성의기 ∘ 36
2. 안중근 家 여성(I)-조마리아·안성녀·오항선 ∘ 43
1) 조마리아(1862-1927) ∘ 44
(1) 국채보상운동: 삼화항 패물폐지부인회 ∘ 46
(2) 안중근 옥바라지와 편지 화답 ∘ 49
(3) 안중근 사후의 독립활동 ∘ 51
2) 안성녀(1881-1954) ∘ 55
(1) 독립군 군복제작 및 지원활동 ∘ 59
(2) 독립자금 및 문서전달·은신처 제공 ∘ 61
(3) 안중근의 가족 감시와 고문·생활고 ∘ 63
3) 오항선(1910-2006) ∘ 67
(1) 만주 길림성 활동: 1919-1927 ∘ 69
(2) 북로군 군정서 활동: 1927-1932 ∘ 74
(3) 하얼빈과 삼성 활동: 1933-1945 ∘ 79
3. 안중근 家 여성(II)-김아려·안미생·조순옥 ∘ 82
1) 김아려(1878-1946) ∘ 83
(1) 안중근 뒷바라지와 국채보상운동 참여 ∘ 83
(2) 안중근 의거와 남겨진 가족들 ∘ 86
(3) 안중근 사후 도피생활 ∘ 88
(4) 안중근 일가 소식과 조국광복 ∘ 92
2) 안미생(1914-2007) ∘ 95
(1) 안미생의 외교관 성장기 ∘ 95
(2) 안미생의 결혼·출산·그리고 남편 죽음 ∘ 97
(3) 해방과 귀국, 경교장 생활 ∘ 100
3) 조순옥(1923-1973) ∘ 103
(1) 임시정부와 한국혁명여성동맹 ∘ 104
(2)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여성광복군 ∘ 107
4. 안중근 家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미 ∘ 109
1) 안중근 家 여성독립운동의 성격 ∘ 110
2) 안중근 家 여성독립운동의 의미 ∘ 113
[2부] 안중근 家 여성과 대연동 광복촌 ∎ 권순일
1. 구술기록의 안중근 家 여성(I) 안성녀 ∘ 127
1) 안중근의 여동생 ‘안성녀’ ∘ 130
(1) 1881-1932년 ∘ 130
(2) 1932-1946년 ∘ 134
(3) 1946-1954년 ∘ 136
2) 안성녀의 존재를 찾기까지: 1954년 이후 ∘ 143
(1) 영도 신선동의 장례와 동삼동의 묘 조성 ∘ 143
(2) 용호동 천주교 묘지 이장 ∘ 146
(3) 용호동 이장 후 알려지기까지 ∘ 147
(4) 남구청의 안성녀 묘지 재정비 ∘ 154
2. 구술기록의 안중근 家 여성(II) 오항선 ∘ 157
1) 나의 할머니, 오항선 애국지사 ∘ 158
2) 안성녀의 며느리 ‘오항선’ ∘ 159
(1) 1910-1928년 ∘ 159
(2) 1928-1931년 ∘ 161
(3) 1933-1954년 ∘ 165
(4) 1954-2006년 ∘ 166
3. 부산 대연동 광복촌과 오항선 할머니 ∘ 177
1) 대연동 광복촌을 아십니까 ∘ 178
2) 대연동 광복촌의 오항선 할머니 ∘ 180
3) 대연동 광복촌의 독립운동가 공동체 ∘ 181
4. 부산 대연동 광복촌의 독립운동가들 ∘ 185
* 대연동 광복촌 거주한 독립운동가들 ∘ 186
부록
∎ 여성독립운동가의 기록: 사진·신문·자료 ∘ 202
∎ 여성독립운동가의 기록: 인터뷰 자료 ∘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