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의학
· ISBN : 979119754832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2-05-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부 어떻게 지금에 이르렀을까
1장 현대 의학은 남성 중심 의학이다
2장 겉으로 드러난 차이는 전부가 아니다
2부 오늘날 여성의 건강에 관한 6대 이슈
3장 여성의 심장(과 뇌)은 다르게 아프다
4장 다른 몸을 위한 약 _약학의 여성적 측면
5장 “여보, 그건 그냥 당신의 상상이야” _여성의 직관 vs. 여성의 상상력
6장 깊은 감수성 _여성과 통증의 관계
7장 호르몬 너머 _여성의 생화학적 특징과 호르몬 치료
8장 새로운 인식 _젠더, 문화, 정체성 의학
3부 우리가 향하는 곳과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9장 바뀌는 대화 _성차의학 연구의 미래
10장 우리 목소리, 우리 의학 _의료인과 유용한 대화를 나누는 법
나가는 말
감사의 말
부록 A _개인 의료기록|부록 B _병원 갈 때 챙겨야 할 질문들
내용 출처|참고 자료|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심장질환을 앓는 여성은 진단에 필요한 적절한 검사를 받지 못한다. 여성이 심장질환을 앓을 때의 증상들이 우리의 표준 절차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평범한 약일지라도 여성에게 투여량이 적절하게 처방되지 않는 것은, 처음 임상시험을 실시할 때 여성의 신진대사와 호르몬 사이클이 남성과 다르다는 점이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들이 연령과 생활수준을 막론하고 모든 여성의 치료 결과와 사망률에 영향을 미친다.
내게 줄리의 사례가 의미심장한 것은 남성적인 유형의 심장병을 앓고 있었는데도 뚜렷이 나타난 증상은 여성적이었기 때문이다. 여성의 증상은 남성의 증상과 아주 다르다. 남성들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증상과 통증을 겪지 않는 여성도 있다. 여성들의 증상은 대개 ‘여성적’이라고 간주되는 다른 질병의 증상과 비슷하다. 줄리를 진료했던 의사들이 공황발작을 언급한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심장병을 앓는 여성들, 특히 젊은 여성들이 줄리처럼 올바른 진단을 받지 못해 애를 먹는 경우가 너무나 흔하다는 사실이 안타깝다.
―「1장 현대 의학은 남성 중심 의학이다」 중에서
연구에 실험 대상으로 참가하는 사람들을 보호하는 법은 1974년에야 만들어졌다. 연구법(National Research Act)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의학 및 행동 연구의 인간 대상자 보호를 위한 전국위원회’는 인간이 참가하는 의학 연구의 지침을 개발하는 일과 인간을 대상으로 한 의학 실험을 규제하는 일을 맡았다. 이 위원회의 지침에 따라 임신부와 가임기 여성은 ‘보호가 필요한’ 대상으로 간주되었으므로, 많은 연구자들은 복잡한 승인 과정을 거쳐 이들을 안전하게 연구에 포함시키느니 차라리 아예 실험에서 배제하는 쪽을 선택했다(탈리도마이드의 사례를 생각할 때 그리 놀랄 일은 아니다).
또한 의학 연구가 점점 발달하고 규제도 강화되면서, 연구자들은 여성이 매달 겪는 호르몬 변화로 인해 시험 중에 설명할 수 없는 변수들이 생겨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시험 단계마다 여성 참여자들이 각각 월경주기 중 어느 시점에 있는지 파악하려면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 터였다. 따라서 많은 학자들이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시험뿐만 아니라 연구 초기의 동물실험 단계에서도 아예 여성을 모두 배제해 버리는 쪽을 선택했다.
―「2장 겉으로 드러난 차이는 전부가 아니다」 중에서
여성 심장마비 환자는 무맥성 전기 활동(pulseless electrical activity, PEA) 또는 심장무수축 상태로 실려 올 때가 많다. 심장이 아예 박동을 멈춰서 심전도에 평평한 선만 나타나는 경우다. 그리고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묘사되는 것과 달리, 이 증상은 전기충격으로 바로잡을 수 없다. 심장이 자발적으로 다시 뛰지 않는 이상(가끔 실제로 이런 일이 일어난다),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도구는 에피네프린과 구식 심폐소생술뿐이다.
이것은 남성 중심적인 시각 덕분에 남성 환자의 치료에는 혁신적인 방법들이 생겨나지만 여성은 그 혜택을 잘 누리지 못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수많은 사례 중 하나에 불과하다.
―「3장 여성의 심장(과 뇌)은 다르게 아프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