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91197694677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2-02-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_로컬 브랜드는 어떻게 글로벌 브랜드가 되나?
FOOD
PART 1 글로벌 로컬브랜드 리뷰
[Local to Local]
사러가쇼핑센터┃성심당┃징거맨 델리카트슨
[Local to Multi-Local]
솔트 앤 스트로┃홀푸드마켓
[Local to National]
벤 앤 제리스┃스타벅스┃테라로사
[Multi-Local to Multi-Local]
보마켓┃폭스트롯 딜리버리 마켓
PART 2 뉴 로컬브랜드 리뷰
한국의 새로운 푸드 로컬 브랜드 56
Part 3 로컬브랜드 리뷰 에세이
로컬 푸드 없는 로컬 시대 없다┃플랫폼의 로컬 식품 브랜드 큐레이션 사업 현황
LIVING
Part 4 글로벌 로컬브랜드 리뷰
[Local to Local]
콘텐츠그룹 재주상회┃코코리제주┃파웰스 북스
[Local to Multi-Local]
에이스 호텔┃포틀랜드 메이드
[Local to National]
반스┃스노우피크┃한복남
[Multi-Local to Multi-Local]
디앤디파트먼트┃어반플레이
Part 5 뉴 로컬브랜드 리뷰
한국의 새로운 리빙 로컬 브랜드 56
Part 6 로컬브랜드 리뷰 에세이
전환기의 지역 기업 생태계┃로컬 크리에이터 교육은 어떻게 해야 하나┃온라인 로컬 경제, 하이퍼로컬┃NAVER Agenda Research┃감사의 말
리뷰
책속에서
로컬 크리에이터와 일반 소상공인은 어떻게 다를까?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줄기를 뻗는 로컬 브랜드와 지역 경계를 넘나드는 소상공인 기업은 분명 다르다. 대기업이 발굴하려는 소상공인 브랜드는 경쟁 기업과 차별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영 기법, 즉 브랜딩을 통해 전국적으로 유명해진 작은 기업이다. 로컬 브랜드는 로컬 차별화를 브랜딩 방식으로 선택해 전국적인 평판을 얻은 지역 기반 기업이다. 로컬 브랜드는 다음 기준을 만족하는지에 따라 평가한다.
1. 지역성과 창의성을 지닌 로컬 브랜드 기업을 차별화된 기업으로 정의한다면, 기업 스스로 로컬 브랜드 기업으로 인식할 수 있는가?
2. 사업에 활용하는 지역 자원은 무엇인가? 자연환경, 특산물, 유휴 공간·건물, 지역 문화, 이야기 소재 등
3. 기업 경영의 어느 부분에 ‘지역성’을 반영하는가? 브랜드·브랜드 스토리, 상품 개발, 마케팅, 건축·인테리어 등
--- 「들어가며」 중에서
국내외 로컬 브랜드는 성장 과정에 따라 Local to Local(로컬에서 로컬), Local to Multi-Local(로컬에서 멀티 로컬), Local to National(로컬에서 내셔널), Multi-Local to Multi-Local(멀티 로컬에서 멀티 로컬)로 분류했다. 지역에서 활동하고 그곳에서 시장 점유율이 지배적인 기업은 Local to Local, 지역에서 시작해 로컬 모델을 유지하며, 다수의 지역으로 진출한 기업은 Local to Multi-Local, 지역에서 시작해 동일한 모델을 다른 지역으로 확대한 기업은 Local to National, 창업 초기부터 다수 지역에서 로컬 비즈니스를 시작한 기업은 Multi-Local to Multi-Local이다.
--- 「들어가며」 중에서
1982년 미시간주 앤아버 골목에서 처음 문을 연 ‘징거맨 델리카트슨’은 스페셜티 식품과 매장에서 만든 식자재로 만든 음식을 파는 그로서란트다. 특별한 음식과 서비스로 큰 인기를 끌고, 미국 전역으로 매장을 확대하는 프랜차이즈 제안을 받는데, 이러한 제안을 모두 거절하고, 30년째 앤아버 지역만 고집해왔다. 이제 매년 수천 명이 ‘징거맨 델리카트슨’을 맛보기 위해 앤아버를 방문한다. 매장을 늘리는 양적 성장 전략이 아니라 지역에서 로컬 브랜드 생태계를 조성하며 성장해온 ‘징거맨 델리카트슨’의 스토리는 흥미롭다.
--- 「징거맨 델리카트슨」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