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98120984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3-02-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비즈니스로 도약하는 디지털 헬스케어를 위한 책!(황희, 카카오 헬스케어 대표)
프롤로그 여전히 문제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1장 진단과 검사의 특징
1 의료에서 중요한 가치
2 디지털 헬스케어 진단기기 보험 수가 적용 사례
스크리닝 검사 보험 적용 사례
위험도 구분 검사 보험 적용 사례
확진 관련 검사 보험 적용 사례
동반 진단 검사 보험 적용 사례
모니터링 보험 적용 사례
3 또 다른 비즈니스 모델: 대형 의료기기 회사와의 협업
2장 디지털 치료기기 비즈니스 모델
1 제품의 원리와 용도에 대한 고민
표준 진료에 기반을 두었는가의 이슈
제품 용도의 이슈
2 의료보험 적용 현황 (1): 미국
메디케이드 보험 적용 현황
민간 보험회사들의 디지털 치료기기 보험 적용 상황
요양비로 수가 적용을 받는 경우
미국 보험 적용을 위한 선결 조건: 보험 청구 코드
의사 처방 및 이후의 절차
미국 내 디지털 치료기기 가격
3 의료보험 적용 현황 (2): 독일 및 기타 국가들
디지털 헬스 앱의 정의
효과성 입증을 위한 연구의 형태
보험 수가 등재 과정
독일 보험 수가 현황
벨기에 및 프랑스의 디지털 치료기기 수가 사례
일본의 디지털 치료기기 수가 사례
4 제약회사와의 협력 모델
3장 B2C 헬스케어 비즈니스 모델
1 왜 B2C 헬스케어 비즈니스는 힘든가
B2C 헬스케어가 힘든 이유 (1): 제품의 성격
B2C 헬스케어가 힘든 이유 (2): 소비자 인식
B2C 헬스케어가 힘든 이유 (3): 고객 비용 부담 구조
B2C 비즈니스 모델이 성립하는 경우
2 디지털 헬스케어에서의 B2C 구독 비즈니스 모델
정기 배송형
하드웨어 무제한 제공형
소프트웨어 무제한 제공형
디지털 치료기기의 무제한 제공형
멤버십형
4장 원격진료
1 미국 원격진료 회사 현황
미국 원격진료 모델 (1): 인프라 모델
미국 원격진료 모델 (2): 진료 중개 모델
2 원격진료 회사의 수익성 향상 전략
3 한국 원격진료 현황
5장 디지털 헬스케어 슈퍼 플랫폼
1 디지털 헬스케어 슈퍼 플랫폼 개요
2 미국의 슈퍼 플랫폼 후보들
원격진료 관련 회사 (1): 풀스택 원격진료 회사
원격진료 관련 회사 (2): 온오프라인 통합 진료 회사
원격진료 관련 회사 (3): 틈새시장 전문 원격진료 회사들
원격진료 관련 회사 (4): 인접 영역에서의 진입
헬스 내비게이션
의료보험회사
유통 대기업: 약국 체인, 월마트, 아마존
3 한국에서의 슈퍼 플랫폼
6장 디지털 헬스케어 피벗 스토리
환자 케어를 돕는 도구에서 의료 공급자로 전환
원격진료에서 병의원 사용 도구로 피벗
돈이 될 것 같은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
사업 확장 모델
헬스케어 데이터 비즈니스 피벗 사례
7장 헬스케어 데이터 비즈니스
1 처방 및 가격 정보
2 정밀 의료 데이터
부록 미국 의료 시스템의 이해
미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의료보험과 의사는 어떤 관점에서 디지털 헬스케어를 비롯한 새로운 의료 기술을 평가할까? 가장 중요한 기준은 환자의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다. 사용했을 때 환자가 얼마나 좋아질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기본적으로 의료계에서 보고자 하는 치료 결과는 환자 생존율 향상이다. 새로운 진단과 치료를 도입했을 때 기존보다 환자들이 더 오래 살 수 있는지를 입증해야 한다. 최종적으로 여기에 들어가는 비용까지 감안해서 비용 대비 효과를 따지게 된다. 생존율 향상을 직접적으로 증명할 수도 하지만 생존률과 관련이 높다고 알려진 대리 표지자surrogate marker를 호전시킬 수 있음을 입증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증명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사례들을 정리하면 이미 입증된 기술에 바탕을 두고 여기에 새로운 가치를 더함으로써 보험 적용을 받은 경우가 많다. 헬스케어에서 가장 큰 지불자인 의료보험이 보험 적용 여부를 결정할 때 중요한 기준은 제품이 비용 대비 얼마나 큰 가치를 줄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따라서 단순히 어떤 측정 방식을 단순화해서 이를 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측정 결과가 충분한 의미가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그 결과로 환자에게 어떤 조치를 해서 건강을 향상할 수 있다는 근거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는 양성 예측도와 같은 헬스케어의 논리를 통해서 증명돼야 한다.
정리하자면 B2C 헬스케어 비즈니스는 힘들다. 지금까지 예시를 든 것과 같이 고객이 지갑을 열 만한 뚜렷한 이유가 없다면 B2C 헬스케어 비즈니스는 성립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많은 회사가 빠지는 함정 중 하나가 비록 고객이 지금 돈을 쓰고 있지는 않지만 어떤 논리 때문에 앞으로는 돈을 쓸 것이라고 넘겨짚는 것이다. 이보다는 현재 오프라인으로 돈을 쓰고 있는 서비스를 온라인화하는 것이 더 현실적인 접근이라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