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98171719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4-07-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부 어둠에 관하여
1장 우울한 기분이란 무엇인가|2장 경계해야 할 감정의 함정|3장 도움이 되는 것|4장 나쁜 날을 더 나은 날로 바꾸는 방법|5장 기본을 바로잡는 방법
2부 동기부여에 관하여
6장 동기부여란 무엇인가|7장 동기부여 하는 법|8장 하기 싫은 일을 하는 법|9장 인생의 큰 변화, 어디서부터 시작할 것인가
3부 감정적 고통에 관하여
10장 다 사라지게 하기!|11장 감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12장 말의 힘을 활용하는 법|13장 어려움에 처한 이를 도와주는 방법
4부 상실의 슬픔에 관하여
14장 애도란 무엇인가|15장 애도의 단계|16장 애도의 과업|17장 힘의 기둥
5부 자기 회의에 관하여
18장 비판과 비난에 대처하기|19장 자신감을 키우는 열쇠|20장 우리는 우리가 한 실수가 아니다|21장 만족하며 살기
6부 두려움에 관하여
22장 불안에서 벗어나라!|23장 불안을 키우는 행동|24장 지금 당장 불안을 가라앉히는 방법|25장 불안한 생각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26장 피할 수 없는 것에 대한 두려움
7부 스트레스에 관하여
27장 스트레스와 불안은 다를까?|28장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만이 유일한 답은 아닌 이유|29장 좋은 스트레스가 나빠지면|30장 스트레스를 역으로 이용하기|31장 중요할 때 대처하기
8부 의미 있는 삶에 관하여
32장 ‘그저 행복해지고 싶을 뿐’이라는 말에 담긴 문제|33장 무엇이 중요한지 알아내기|34장 삶을 의미 있게 만드는 방법|35장 인간관계|36장 언제 도움을 구해야 할까?
참고 문헌|참고 자료|감사의 말|찾아보기|예비 도구 모음
리뷰
책속에서
그날, 그녀는 고개를 조금 더 높이 들어 올린 채 치료실을 나갔다. 나 때문이 아니다. 나는 누군가를 치유하거나 누군가의 삶을 바꿔줄 마법 같은 능력이 없다. 그녀는 어린 시절에 엉킨 실타래를 풀기 위한, 수년에 걸친 치료가 필요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다른 많은 이들과 마찬가지로, 내가 할 수 있는 역할의 대부분은 가르쳐주는 일이었다. 나는 과학에서 하는 이야기와 다른 사람들에게 효과가 있던 것에 대한 통찰력을 전수했다. 그녀가 개념과 기술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시작하자, 커다란 변화가 시작되었다. 그녀는 미래에 대해 희망을 느꼈다. 자신의 힘을 믿기 시작했다. 그리고 어려운 상황에 건강한 방식으로 새롭게 대처하기 시작했다. 그럴 때마다 대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조금 더 커졌다.
다가올 한 주를 마주하기 위해 그녀가 기억해야 할 것들을 함께 짚어보면서, 그녀는 고개를 끄덕이며 나를 쳐다보더니 말했다. “왜 지금껏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거죠?”
―「들어가며」 중에서
우울감은 우리의 몸의 상태, 인간관계, 우리의 과거와 현재, 생활환경, 생활 방식에서 오기도 한다. 우울감은 내가 하거나 하지 않는 모든 것, 나의 식단과 생각, 움직임, 기억과 관련이 있다. 우리가 어떻게 느끼는지는 단순히 뇌의 산물이 아니다.
우리의 뇌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 끊임없이 작동한다. 그러나 뇌가 작업에 쓸 수 있는 단서는 그 수가 정해져 있다. 뇌는 우리 몸에서 정보(심박수, 호흡, 혈압, 호르몬 등)를 얻는다. 우리가 보고 듣고 만지고 맛보고 냄새를 맡을 수 있는 것과 같은, 각각의 감각으로부터 정보를 얻는다. 또 뇌는 우리의 생각과 행동으로부터 정보를 가져간다. 이 모든 단서와 자신이 과거에 비슷한 느낌을 받았던 때의 기억을 연결시켜 제안하는데, 이는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으며 그에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대한 가장 그럴듯한 추측이다. 그 추측은 때로 감정이나 기분으로 느껴진다.
―「1장 우울한 기분이란 무엇인가」 중에서
• 감사하다고 느끼는 세 가지를 적어보자. 우리 삶에서 크고 심오한 면을 차지하는 것이 될 수도 있고, 하루 중 아주 작은, 사소한 부분이 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무엇을 적을 것인가가 아니라 의도적으로 주의를 돌리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다.
• 하루 몇 분 동안은 감사한 일들을 돌아보고 감사하는 행위에 집중함으로써 찾아오는 감각과 감정을 느껴보자.
• 이것을 한번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매일 이것을 실천하는 것은 관심을 두고자 하는 대상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마음 근육을 기르고 그 이점을 몸소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삶의 수련이다.
―「3장 도움이 되는 것」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