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제환경법 주요판례

국제환경법 주요판례

강병근, 이석용, 이용호, 박덕영, 박병도, 이재곤, 모영동, 김기순, 정갑용, 정진석 (지은이)
박영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050원
33,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국제환경법 주요판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제환경법 주요판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기타 법률/법규
· ISBN : 9791130328058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6-02-15

책 소개

국제환경법 발전 초기부터 지금까지 내려진 주요 국제환경법 관련 판례들을 분석하여 이들 사건이 국제환경법과 관련하여 갖는 중요성과 의미, 문제점 등을 파악한 논문들을 모은 책이다. 국제환경법을 연구하는 독자들이 용이하게 국제환경판례에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쓰여졌다.

목차

제1장 서론: 국제환경법 발전과 판례 1
Ⅰ. 서 언 1
Ⅱ. 국제환경법 관련 판례 2
Ⅲ. 국제환경법 발전에 있어 판례의 역할과 관련 판례 개관 5
Ⅳ. 결 어 15

제2장 ‘베링해 물개중재사건’과 생물자원보존을 위한 국제환경법 발전 19
Ⅰ. 서 론 19
1. 서 언 / 19
2. 사건의 배경과 사실관계 / 20
Ⅱ. 양당사국의 주장 및 재판소의 판정 23
1. 양당사국의 주장 / 23
2. 중재재판소의 판정 / 26
Ⅲ. 판정 이후 북태평양에서의 물개보존 29
Ⅳ. 국제환경법 발전에 미친 영향 31
1. 서 언 / 31
2. 공해 상에서의 해양생물자원보존을 위한 연안국의 관할권 행사가능성과 한계 / 31
3. 환경보호와 경제적 이해관계의 균형 / 35
4. 생물자원의 보존 / 37
5. 기타 국제법 일반에 미친 영향과 평가 / 39
Ⅴ. 결 론 40

제3장 Trail Smelter 중재법원결정을 통한 국제적 환경손상의 책임기준에 대한 연구 43
Ⅰ. 서 론 43
Ⅱ. Trail Smelter 중재법원결정의 국제법적 해석 45
1. Trail Smelter 사건의 개요와 중재법원의 결정 / 45
2. 국제법상 원인주의 / 47
3. 국제법상 결과주의 / 50
Ⅲ. 미국연방대법원 판례의 입장 52
1. Trail Smelter 중재법원결정의 미연방대법원 판례 원용근거 / 52
2. 미연방대법원판례를 통해 본 원인주의와 결과주의 / 56
Ⅳ. 결론: 국제환경손상의 책임기준 57

제4장 핵무기의 사용 또는 그 위협의 위법성에 관한 연구 62
Ⅰ. 서 언 62
Ⅱ. 권고적 의견의 수락배경과 주요내용 64
1. 권고적 의견의 수락배경 / 66
2. 권고적 의견의 주요내용 / 69
Ⅲ. 권고적 의견의 검토 70
1. (2)A.B에 대한 검토 / 70
2. (2)C에 대한 검토 / 77
3. (2)D.E에 대한 검토 / 78
4. (2)F에 대한 검토 / 84
Ⅳ. 결 어 84

제5-1장 Gaboikovo-Nagymaros Project 사건에 대한 국제환경법적 고찰 88
Ⅰ. 머 리 말 88
Ⅱ. 국제법원의 판례와 환경적 고려 90
Ⅲ. Gaboikovo-Nagymaros Project 사건의 배경 및 법적 쟁점 93
1. 분쟁의 배경 / 93
2. 사안의 경과 / 94
3. 법적 쟁점 / 95
Ⅳ. ICJ 판결 요지 96
1. 1989년 헝가리의 프로젝트 공사 중단 및 포기 자격 / 96
2. 체코슬로바키아의 “Variant C”의 진행 및 운영 자격 / 101
3. 헝가리 정부의 1977년 조약 및 관련문서의 종료 통보의 법적 효과 / 105
4. 프로젝트의 미래 이행에 대한 결정-지속가능발전 개념 / 109
5. 국제위법행위에 대한 배상 / 112
Ⅴ. 평 석 113
Ⅵ. 맺 음 말 116

제5-2장 Gaboikovo-Nagymaros 공동개발사업 사건 120
Ⅰ. 사건의 개요 및 사실관계 120
Ⅱ. 국제법적 쟁점과 재판소의 판결 124
1. 서 설 / 124
2. 위법성 조각사유로서의 ‘긴급피난’의 문제 / 126
3. 위법성 조각사유로서의 ‘대응조치’ 문제 / 129
4. 조약의 종료문제 / 130
5. 국가승계시 조약의 승계문제 / 133
6. 재판절차상의 문제 / 134
Ⅲ. 국제환경법적 측면 135
1. 서 설 / 135
2. 판결에서의 국제환경법 언급 / 135
3. Weeramantry 재판관의 개별의견 / 138
Ⅳ. 결 론 141

제6장 국제어업자원의 관리와 1999년 남방참다랑어 분쟁사건의 주요 쟁점 145
Ⅰ. 서 론 145
Ⅱ. 남방참다랑어 분쟁의 배경 146
Ⅲ. 남방참다랑어 분쟁사건의 내용 149
1. 사실관계 / 149
2. 분쟁당사국들의 주장 / 150
3. 판결의 내용 / 152
Ⅳ. 남방참다랑어 분쟁사건의 주요 쟁점 153
1. 재판관할권 / 153
2. ‘긴급성’의 여부 / 154
3. 의견교환의무 / 155
4. 예방적 접근원칙 / 157
Ⅴ. 결론 및 시사점 158

제7-1장 MOX Plant Case에 적용된 국제환경법 원칙의 분석 162
Ⅰ. 머 리 말 162
Ⅱ. 국제 핵 이원화 정책과 원자력 안전 규범 164
Ⅲ. ITLOS의 잠정조치 판결 168
1. 사실적 배경 / 168
2. 사안의 경과 / 170
3. 법적 쟁점 / 171
4. ITLOS의 판결 요지 / 171
Ⅳ. UNCLOS 중재재판소의 판결 175
1. 사안의 경과 / 175
2. 법적 쟁점 / 176
3. UNCLOS 중재재판소의 심리 / 177
4. 재판소의 심리 정지 및 절차 보류 / 182
Ⅴ. OSPAR 중재재판소의 판결 183
1. 사실적 배경 / 183
2. 사안의 경과 / 184
3. 법적 쟁점 / 184
4. OSPAR 중재재판소의 판결요지 / 185
Ⅵ. MOX Plant Case와 국제환경법 원칙 193
1. 사전예방의 원칙 / 193
2. 협력의 원칙 / 199
3. 환경영향평가 / 201
4. 정보 접근권 / 204
Ⅶ. 결 론 206

제7-2장 MOX 공장 사건 211
Ⅰ. 서 론 211
Ⅱ. 당사국의 주장 213
Ⅲ. 해양법협약의 분쟁해결제도 216
Ⅳ. 주요 쟁점별 고찰 218
1. 중재재판소 관할권 문제 / 219
2. 의견교환 문제 / 221
3. 잠정조치 내용 / 222
4. 협력의무 / 224
Ⅴ. 결정내용과 평가 224
1. 결정내용 / 224
2. 평 가 / 226

제8장 Iron Rhine철도사건의 국제환경법적 쟁점 230
Ⅰ. 사건의 배경 230
Ⅱ. 중재재판 부탁 사안에 대한 당사국의 주장과 재판부의 판정 234
1. 중재부탁사안 / 234
2. 양당사국의 주장 및 재판부의 판정 / 235
Ⅲ. 국제환경법 쟁점 241
1. 서 언 / 241
2. 영토주권과 환경보호 / 242
3. 환경손해를 야기하지 않을 책임원칙 / 247
4. 지속가능한 개발원칙-경제개발과 환경보호의 통합 / 249
5. 협력원칙 / 251
6. 예방원칙 / 253
7. 환경의 정의 / 253
Ⅳ. 일반 국제법 쟁점 254
1. 국제재판소간의 관할권 충돌 / 254
2. 조약해석에 있어 해석원칙 / 257
3. MOU의 국제법상 효력 / 258
Ⅴ. 결 론 259

제9장 펄프공장 사건(아르헨티나 대 우루과이) 판결의 국제환경법적 함의 261
Ⅰ. 사건의 경과 261
1. 사실관계 / 261
2. 제 소 / 264
Ⅱ. 관 할 권 265
Ⅲ. 판결내용 및 검토 267
1. 절차적 의무 위반 여부 / 267
2. 실체적 의무 위반 여부 / 273
3. 배 상 / 277
Ⅳ. 맺 음 말 278

v제10장 심해저 활동과 관련한 보증국의 의무와 책임에 대한 국제해양법재판소의 권고적 의견 281
Ⅰ. 들어가는 말 281
Ⅱ. 권고적 의견의 배경 및 경과 282
Ⅲ. 권고적 의견 내용 및 검토 284
1. 주요 용어의 의미 / 284
2. 보증국의 법적 의무 / 286
3. 보증국의 책임의 범위 / 291
4. 보증국이 취해야 하는 조치 / 294
Ⅳ. 맺 음 말 296

제11장 에콰도르 환경분쟁소송의 국제성에 관한 연구 298
Ⅰ. 서 론 298
Ⅱ. 사건 배경 300
Ⅲ. 환경오염 손해배상 소송 301
Ⅳ. 투자조약에 근거한 국제중재 303
1. 첫 번째 투자조약중재 / 303
2. 두 번째 투자조약중재 / 305
Ⅴ. 투자조약중재 관련 국내소송 307
1. 중재절차중지가처분소송 / 307
2. 중재에 활용하기 위한 증거수집관련 소송 / 308
3. 중재판정 취소소송 / 310
4. 중재판정 집행소송 / 311
Ⅵ. 에콰도르 판결 관련 국내소송 312
1. 미국 내 판결집행금지가처분소송 / 312
2. 미국 이외 판결의 승인?집행 소송 / 313
3. 공갈매수 및 부패조직 처벌 관련 소송 / 315
Ⅶ. 결 론 317

제12장 동남아 연무사례 연구 321
Ⅰ. 서 론 321
Ⅱ. 연무의 발생원인과 피해상황 323
1. 연무의 발생원인 / 323
2. 2013년 연무로 인한 피해 상황 / 325
3. 연무로 인한 외교적 갈등 / 326
Ⅲ. 연무문제에 대한 법적 책임 327
1. 연무문제에 대한 국제법상 국가 책임 / 327
2. 주요 국가의 연무문제에 대한 법적 책임 / 331
3. 국가책임제도를 통한 연무문제 해결의 한계 / 333
Ⅳ. 연무문제에 대한 ASEAN의 대응 335
1. 의의-공동의 문제 / 335
2. ASEAN의 연성법적 환경문서 / 335
3. 2002년 국경을 넘는 연무오염에 관한 ASEAN협정 / 341
4. 평 가 / 342
Ⅴ. 연무문제 해결방안의 국제법적 함의 343
1. 연무문제 해결의 실마리-ASEAN 지역 환경 거버넌스 / 343
2. 유연한 접근방법: 연성법적 접근의 유용성 / 345
3. 여전히 넘기 힘든 장애물들 / 347
Ⅵ. 결 론 348

제13장 남극해포경사건과 포경활동의 국제적 규제 352
Ⅰ. 서 언 352
Ⅱ. 포경활동의 국제적 규제 354
Ⅲ. 국제사법재판소의 판결 359
1. 사건 당사국들의 청구내용과 주장 / 359
2. 법적 쟁점과 판결 / 360
Ⅳ. 국제적 포경규제에 미치는 영향과 과제 374
1. 서 언 / 374
2. ‘과학조사’와 ‘과학조사목적을 위한’의 의미 / 375
3. 포경협약체제의 변경과 과제 / 377
Ⅴ. 결 어 380

찾아보기 385

저자소개

강병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과 법학사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석사 영국 Edinburgh 대학 법학박사 한국국방연구원(KIDA) 군비통제연구센터 연구원 한림대학교 법행정학부 교수 대한국제법학회 부회장 (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국제중재의 기본문제」, 소화출판사(2000) 「ICSID 중재제도 연구」, 법무부(2006) “UNCITRAL 투명성 규칙 초안과 한미 FTA 중재절차의 투명성 규정의 비교 검토”, 「국제경제법연구」 제11권 제1호(2013.3) “국제법적 관점에서 본 일제강제징용 배상판결의 주요쟁점에 관한 연구”, 「저스티스」 통권 제143호(2014.8) “한일청구권협정 제3조의 분쟁해결방식에 관한 연구”, 「국제법학회 논총」 제59권 제4호(2014.12)
펼치기
이석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및 대학원 졸업(법학박사) 하와이East-WestCenter객원연구원 예일대, 워싱턴대, 버클리대 Visiting Scholar 사법고시등각종시험위원 외교부, 해양수산부, 해양경찰청 등 자문위원 사단법인 해양법포럼 회장 한남대학교 법과대학장 대한국제법학회 회장 국제해양법학회 회장 한남대학교 명예교수
펼치기
이용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경상북도 경주에서 태어나 경주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영남대학교에 서 학사·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남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순천향대학교 법학과 전임강 사, 방위사업청 대표옴부즈만(제3대·제4대),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분쟁조정위원회 위원 및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로스쿨 연구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외교부 국제인도법 한국위원회 위원, 대한적십자사 인도법자문위원회 위원, 제2작전사령부 자 문위원회 위원, 행정안전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경상북도 독도위원회 위원 등으로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군축법 및 국제인도법이다.
펼치기
박덕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법학사, 법학석사, 법학박사 대한민국 교육부 국비유학시험 합격 영국 캠브리지대학교(LL.M), 에딘버러대학교 박사과정 마침 (현)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기후변화와 국제법 연구센터 소장 대한국제법학회 회장, 한국국제경제법학회 회장, 한국환경법학회 부회장 역임 (현)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국회 입법자문위원 주요저서 및 논문 국제환경법(제2판)(공동), 파리협정의 이해(공동), 기후변화와 국제법(공역) 국제법 기본조약집(제4판), 국제경제법 기본조약집(제2판) Essential Documents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Legal Issues on Climate Change and International Trade Law(Springer) 국제경제법(신판), 국제환경법, 국제투자법, 미국법과 법률영어 등 저서와 논문 다수
펼치기
이재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법학석사, 법학박사) 미주리대, 듀크대 로스쿨 방문교수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장 금강물포럼위원 국제법평론회 회장 대한국제법학회 회장 등 역임 (현)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외교부 자체평가위원대전고등법원 조정위원 Yearbook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National Reporter 국제환경법주요판례(공저), 박영사, 2016 국제법(공저), 박영사, 2010 우주활동과 국제환경법, 충남대학교출판부, 2009 현대사회와 법(공저), 삼영사, 2003 생물다양성의 환경법적 보호(공저), 길안사, 1998 소련법률제도(공편역),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8 등
펼치기
모영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박사 미국 일리노이대학교(LL.M) 성균관대학교 글로벌리더학부 초빙교수 국제해저기구 정부대표단 (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소 “環境損傷으로 인한 國際責任과 國際犯罪”, 박사학위 청구 논문(2013) “國際環境危害의 責任基準에 대한 연구-Trail Smelter 중재법원판결과 미연방대법원판례의 비교 검토”, 「미국헌법연구」 제24권 제1호(2013) “국제법상 환경범죄론의 재고찰”, 「성균관법학」 제25권 제3호(2013) “국가안보에 대한 위협으로서의 국제적 환경손상: 환경안보의 이론과 사례에 대한 검토”, 「한국경호경비학회」 제36호(2013) “UN해양법협약상 해양환경보호규정의 구조에 관한 연구”,「국제법학회논총」(공저) 제59권 제4호(2014)
펼치기
김기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학박사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원 고려대학교 법학과 Post-Doc. UNEP 한국위원회 환경법 전문위원 해양수산부 방제분담금신설심의위원회 위원 고려대학교, 전주대학교, 한남대학교, 대전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시간강사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 (현) 산하온환경연구소 소장 「자연환경과 국제법」(2인 공저), 범양사출판부(1994) “국제유류오염배상제도와 Hebei Spirit호 사고의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법조」(2009.2) “북극의 분쟁과 해양경계획정에 관한 연구”, 「국제법학회논총」(2009.12) “일본의 방사능오염수 해양배출에 대한 국제책임 연구”, 「국제법학회논총」(2011.12) “남극 관광의 관리와 규제에 관한 연구”, 「안암법학」(2015.2)
펼치기
정갑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학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 한국해양연구원 연수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원 해양수산부 파견(법률자문관) (현) 한국해사법학회 부회장 (현) 영산대학교 해양법연구센터장 (현) 영산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국제수산기구에 있어서 어업실체의 법적 지위”, 「토지공법연구」(2009) “남극대륙붕의 관할권 주장에 관한 법적 문제”, 「영산법률논총」(2011) 「독도에 관한 국제법적 쟁점 연구」, 서울: 경인문화사(2013) “필리핀과 중국의 남중국해 도서분쟁”, 「해사법연구」(2013) “중국이 주장하는 남중국해 ‘9단선’의 합법성 검토”, 「독도연구」(2014)
펼치기
정진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학사 서울대학교 법학석사 영국 Bristol 대학교 법학박사(Ph.D) 대한국제법학회 부회장 (현) 국민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유엔해양법협약 관련 쟁점과 대응방안」(공저), 세창출판사(2012) “베이징 항공테러협약: 새로운 위협 새로운 대응”, 「국제법평론」 제36호(2012.10)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