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명과학
· ISBN : 9791198356642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3-10-25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 005
서문 • 008
1 부 후성유전이란?
1장 라마르크의 귀환, 후성유전 • 017
라마르키언, 라마르크의 후계자들 | 후성유전학의 등장 | 획득형질 유전의 증거
2장 디지털 암호로 된 DNA 속의 유전정보 • 040
DNA 속의 유전정보를 읽어내는 과정 | DNA에 유전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 DNA 유전정보로부터 단백질을 만드는 원리
3장 DNA의 포장 시스템 • 057
2 부 같은 DNA, 다른 운명
4장 일란성 쌍둥이는 완전히 똑같을까? • 069
5장 우리 몸을 만드는 세포의 탄생 비밀 • 077
6장 유전자와 형질의 일반적인 관계 • 088
나비의 날개 색깔로 살펴본 유전자와 형질의 관계도 | 유전자의 존재감을 부각하는 형질들
7장 DNA는 우리의 운명이라는 등식을 깨는 미스터리들 • 102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이 만드는 신기한 표현형 | 후성유전적 작동 시스템과 연관된 표현형 | 후성유전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미스터리 표현형
3 부 후성유전으로 풀어낸 생명 현상
8장 DNA 포장 시스템의 특별한 사용설명서 • 123
이질염색질 연구의 시작과 최대 전환점 | 압축포장의 결과물인 이질염색질의 종류와 역할 | 이질염색질을 만드는 압축포장 기술의 원리
9장 종 보존을 위한 분자저울 • 154
성 결정 시스템과 분자저울의 상관관계 | 생물종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분자저울 시스템 | 포유류에서 압축포장 된 성염색체의 발견과 의미 | 포유류 분자저울 시스템의 원리
4 부 새롭게 밝혀진 질환의 원인, 후성유전 오류
10장 단성생식을 막아라 • 177
생쥐 모델에서의 각인 현상 | 각인과 연관된 사람의 유전질환
11장 세포기억 시스템의 기적 • 197
초파리 모델의 개체 발달 과정 | 개체 발생의 기적을 가져다준 세포기억 시스템
12장 우리 몸속의 암세포를 찾아서 • 211
암세포의 기본 특성과 발생 원인 | 후성유전적 오류에 의한 돌연변이 | 후성유전학에서 찾은 암 치료의 새로운 길 | 암 환자 생존율 개선을 위한 새로운 전략
나가며: 생물학 연구의 블루오션, 후성유전학 • 234
에필로그 • 242
추위를 견뎌내야만 꽃을 피우는 식물의 비밀 | 세포기억 시스템의 오류와 암 발생 | 후성유전으로 풀어본 노화와 식생활 상식 | 생체시계를 관리하는 후성유전 | 장내미생물-숙주세포 상호작용도 후성유전적 변화가 동반된다 | 후성유전이란 극장의 레드 카펫을 빛내는 비암호화 RNA
감사의 글 • 266
참고문헌 • 268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생명체의 형질을 결정하는 것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DNA라는 유전물질에서 기인합니다. 그렇기에 일란성 쌍둥이는 똑같은 DNA를 가지고 태어났으므로 같은 형질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는 것이죠. 태어나자마자 서로 다른 나라로 입양되어 완전히 다른 환경에서 성장한 쌍둥이가 성인이 되어 만났다고 가정해 봅시다. 두 사람은 얼굴 모습, 체형, 식습관, 취미 등에서 닮은 점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다른 환경에서 자란 쌍둥이의 형질이 닮은 이유를 잘 알고 있습니다. 일란성 쌍둥이의 DNA가 똑같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한 가정에서 자란 일란성 쌍둥이라고 하더라도 형질이 완전히 같지 않고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사실 또한 우리는 경험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같은 DNA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형질을 가지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랫동안 그 해답을 찾으려고 노력한 사람들 덕분에 후성유전학의 개념이 정립되었습니다.
- 1부 1장 라마르크의 귀환, 후성유전
그렇다면 과연 유전자가 개체의 형질을 결정하는 유일한 인자일까요? 라마르크의 주장은 완전히 틀린 것일까요? 유전자가 형질을 결정하는 유일한 인자라는 주장은 멘델이 유전법칙을 발표한 이후부터 최근까지 정설로 받아들여져 왔습니다. 그러나 유전자가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형질이 결정되는 증거가 나오면서 후성유전학이라는 분야가 새로이 대두됐습니다. 후성유전학의 원리와 개념들은 멘델의 유전법칙으로 설명되지 않던 미스터리들을 풀어내는 데에 있어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해 주었고 라마르크의 주장을 다시금 되돌아보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2부 4장 일란성 쌍둥이는 완전히 똑같을까?, 후성유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