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부인·여성·여자

부인·여성·여자

(남자가 읽은 일본 여성사)

가노 마사나오 (지은이), 이은경 (옮긴이)
빈서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980원
17,8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부인·여성·여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부인·여성·여자 (남자가 읽은 일본 여성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98765215
· 쪽수 : 251쪽
· 출판일 : 2024-07-01

책 소개

일본 여성사는 제국시대를 외면하지 않는다. 남성들이 일으킨 세계 대전을 모두 남성 탓으로 돌릴 수도 있겠지만 제국에는 침략 전쟁을 ‘총구의 뒤'에서 뒷받침한 여성들도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 여성 해방 운동은 이에 대한 통렬한 반성을 전제로 삼고 있다.

목차

시작하며 : 여성사와 나 . . . . . . . . . . . . . 17

제 I 편 여자들 ·여성사의 논점 31

제 1 장 여자들의 위치 . . . . . . . . . . . . . 33
1.1 여성의 위치는 변했는가 . . . . . . . . . . 33
1.2 ‘신상 상담’에 대한 답변 . . . . . . . . . . 35
1.3 결혼관의 변화 . . . . . . . . . . . . . . 37
1.4 부부별성의 문제 . . . . . . . . . . . . . 39
1.5 가정관 . . . . . . . . . . . . . . . . . . 42
1.6 취직관 . . . . . . . . . . . . . . . . . . 43
1.7 노동의 변화 . . . . . . . . . . . . . . . 45
1.8 ‘주부’의 시대 . . . . . . . . . . . . . . . 46
1.9 성별역할 분업과 교과서 . . . . . . . . . . 48
1.10 ‘주부’로부터의 이탈과 새로운 문제 . . . . 51
1.11 아그네스 논쟁이 제기한 것 . . . . . . . . 53
1.12 남자들의 전환기 . . . . . . . . . . . . . 56
1.13 새로운 여행의 출발 . . . . . . . . . . . . 58
1.14 여성의 현재와 미래 . . . . . . . . . . . . 60
1.15 세계 여성의 해와 차별철폐조약 . . . . . . 61
1.16 여성문제의 풍화 . . . . . . . . . . . . . 63
1.17 성적 폭력 . . . . . . . . . . . . . . . . . 65
1.18 부인교풍회의 활동 . . . . . . . . . . . . 69
1.19 ‘레이프’의 시점 . . . . . . . . . . . . . . 69

제 2 장 여성사는 지금 . . . . . . . . . . . . . 75
2.1 여성사 연구의 담당자들 . . . . . . . . . . 75
2.2 기초적 사실의 해명 . . . . . . . . . . . . 78
2.3 근현대사에 대한 관심 . . . . . . . . . . . 79
2.4 여성사 논쟁 . . . . . . . . . . . . . . . 81
2.5 남성사에 대한 충격 . . . . . . . . . . . . 83
2.6 『일본 부인문제 자료집성』. . . . . . . . . 86
2.7 여성의 시점 . . . . . . . . . . . . . . . 90
2.8 민간학에 대한 공헌 . . . . . . . . . . . . 91
2.9 여성사 ·여성학의 융성 . . . . . . . . . . 93
2.10 지자체사 ·노동운동사와 여성 . . . . . . . 94
2.11 여성사의 문제점 . . . . . . . . . . . . . 97
2.12 여성사에 대한 두 가지 태도 . . . . . . . . 100
2.13 사회 과목 폐지와 여성사 . . . . . . . . . 101

제 II 편 여성사 다시 보기 103

제 3 장 여자들과 국가 . . . . . . . . . . . . . 109
3.1 여성의 사회참여 . . . . . . . . . . . . . 109
3.2 국가로의 흡수 . . . . . . . . . . . . . . 111
3.3 부선운동과 이치카와 후사에 . . . . . . . . 114
3.4 총동원체제로 . . . . . . . . . . . . . . . 119
3.5 거부의 논리와 참여의 논리 . . . . . . . . 121
3.6 국방부인회 . . . . . . . . . . . . . . . . 123
3.7 부엌에서 거리로 . . . . . . . . . . . . . 125

제 4 장 모성의 논리 . . . . . . . . . . . . . . 129
4.1 여권주의와 모성주의 . . . . . . . . . . . 129
4.2 모성보호논쟁 . . . . . . . . . . . . . . . 130
4.3 ‘모성’의 성화 . . . . . . . . . . . . . . . 131
4.4 히라쓰카 라이초와 다카무레 이쓰에 . . . . 133
4.5 국가와 모성 . . . . . . . . . . . . . . . 136
4.6 ‘이에’의 해체와 모성의 역할 . . . . . . . . 138
4.7 군국의 어머니 . . . . . . . . . . . . . . 140
4.8 전후 사회에서의 ‘모성’ . . . . . . . . . . 144
4.9 ‘모성’의 탐구 . . . . . . . . . . . . . . . 147
4.10 성차로서의 모성 . . . . . . . . . . . . . 149

제 5 장 여성학과 여성사 . . . . . . . . . . . . 153
5.1 여성학의 탄생 . . . . . . . . . . . . . . 153
5.2 여성사는 여성학에게 무엇을 주었나 . . . . 156
5.3 바지에서 치마로 . . . . . . . . . . . . . 157
5.4 화장과 복장 . . . . . . . . . . . . . . . 159
5.5 여성사는 여성학에서 무엇을 얻을 것인가 . 162
5.6 계급지배와 성지배 . . . . . . . . . . . . 163
5.7 신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 . . . . . . . . 165
5.8 부인문제 연구와 여성학 . . . . . . . . . . 166
5.9 성역할의 유동화 . . . . . . . . . . . . . 168
5.10『새로운 여성의 창조』. . . . . . . . . . . 171
5.11 ‘근대’와 페미니즘 . . . . . . . . . . . . . 172
5.12 페미니즘의 다양한 조류 . . . . . . . . . . 173
5.13 여성학의 정의와 방법 . . . . . . . . . . . 177
5.14 여성학의 문제점 . . . . . . . . . . . . . 181

제 6 장 민속학과 여성사 . . . . . . . . . . . . 183
6.1 야나기타 구니오의 여성에 대한 시점 . . . . 183
6.2 서입고 . . . . . . . . . . . . . . . . . . 186
6.3 누이의 힘 . . . . . . . . . . . . . . . . . 188
6.4 스에무라의 여자들 . . . . . . . . . . . . 189
6.5 농촌의 어머니와 아내들 . . . . . . . . . . 193
6.6 여자의 노동 . . . . . . . . . . . . . . . 195
6.7 근세 여성사 연구의 새로운 바람 . . . . . . 199
6.8 자서전의 융성 . . . . . . . . . . . . . . 200

제 7 장 ‘세계’의 시점에서 . . . . . . . . . . . 203
7.1 세계 여성사를 향한 태동 . . . . . . . . . 203
7.2 멕시코에서 나이로비로 . . . . . . . . . . 205
7.3 세계의 여자들은 지금 . . . . . . . . . . . 207
7.4 세계 각국의 여성사 연구 . . . . . . . . . 209
7.5 미국의 여성학 ·여성사 . . . . . . . . . . 214
7.6 소신선언 . . . . . . . . . . . . . . . . . 216
7.7 여자들의 아시아 . . . . . . . . . . . . . 218

제 8 장 ‘지역’의 시점에서 . . . . . . . . . . . 223
8.1 지역 여성사 연구의 열기 . . . . . . . . . 223
8.2 여성사 서클의 작품 . . . . . . . . . . . . 225
8.3 부인회의 사업 . . . . . . . . . . . . . . 227
8.4 지자체의 여성사 . . . . . . . . . . . . . 230
8.5 개인에 의한 저작 . . . . . . . . . . . . . 231
8.6 여성사에 대한 뜨거운 초심 . . . . . . . . 234
8.7 지역 운동과의 연결 . . . . . . . . . . . . 238
8.8 지역성 ·다양성 . . . . . . . . . . . . . . 241
8.9 민중사의 시점 . . . . . . . . . . . . . . 246
8.10 ‘풀뿌리’의 시점 . . . . . . . . . . . . . . 248
8.11 역사의 심부를 비추다 . . . . . . . . . . . 254
8.12 여성사의 요부 . . . . . . . . . . . . . . 258

맺으며 : 여성사 그리고 그 너머 . . . . . . . . . 263
1 여성사 ·여성학 ·여성문제 . . . . . . . . . 263
2 여성사가 안고 있는 위험 . . . . . . . . . 264
3 여권과 모성 . . . . . . . . . . . . . . . 265
4 장애인 문제와 여성문제 . . . . . . . . . . 268
5 ‘계급’ 일원론 흔들기 . . . . . . . . . . . 272
6 새로운 ‘계급’ 개념의 구축을 . . . . . . . . 274
7 여성사의 미래 . . . . . . . . . . . . . . 276

후기 . . . . . . . . . . . . . . . . . . . . . . . 277
1 저자 후기 . . . . . . . . . . . . . . . . . 277
2 역자 후기 . . . . . . . . . . . . . . . . . 280

찾아보기 . . . . . . . . . . . . . . . . . . . . . 287

저자소개

가노 마사나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의 역사학자. 근현대의 역사와 사상사, 여성사 등을 폭넓게 연구했다. 와세다대학 문학부의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한 후 1958년부터 1999년까지는 교수로 재직했다. 『이와나미 신서의 역사』(AK), 『근대 일본의 사상가들』(삼천리), 『근대 일본의 학문』(소화) , 『근대 일본사상 길잡이』(소화), 『일본의 근대사상』(한울), 『현대 일본 여성사』(책사랑) 등이 번역되었다. 『가노 마사나오 사상사론집』(전 8권, 이와나미)이 2008년에 출간되었다.
펼치기
이은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부교수. 주로 근대 일본의 역사를 여성 인물과 운동을 중심으로 연구해 왔고, 대중적 글쓰기에도 관심이 있다. 저서로는 『근대 일본 여성 분투기』, 공저로 『젠더와 일본 사회』·『난감한 이웃 일본을 이해하는 여섯 가지 시선』·『근대 일본인의 국가인식』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여성사 주인공의 공식적인 호칭은 근대 일본에서는 자칭·타칭 `부인'에서 `여성'으로 변경되는 추이를 밟아왔습니다. `부인'이라는 말은 현재 보수적인 이미지를 띠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본래 근대화 과정에서는 여자가 남자의 장난감 정도로 간주되었던 종래의 통념에 대해, 그녀들도 인간적인 존엄을 가진 존재라는 인식을 담아 점차 널리 사용되어 갔다고 여겨집니다. ... 그리하여 인간으로서의 요구를 담은 경우, 부인운동·부인참정권 등으로 익숙한 용어가 되었습니다.


직업인 여성의 노동에 대한 관심이 전례없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게 되었습니다. 나아가 그 노동에 관한 새로운 분야가 개척되려는 듯합니다. 여성의 프로페셔널, 즉 전문직이나 관리직이 초점의 하나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법사회학'을 따라서인지, `법여성학'이라는 분야도 제창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어둡고 은밀한 영역에 있던 이혼이 백일하에서 다루어지게 되었고, 그러한 의미에서 `시민권'을 얻었다고 할 법한 상황도 보입니다. 그 한편으로 현대 가족이 안고 있는 병리나 이제부터의 가족을 향한 모색도 과제로서 등장하고 있습니다. 남자들과의 새로운 관계 수립이 요구되고 있기도 합니다. 나아가 여기에는 등장하지 않습니다만, 최근 특히 여성을 둘러싸고 있는 문제로서 고령화가 있습니다. 그것은 자기 자신의 고령화로서는 `라이프 사이클'의 문제임과 동시에 가족·친족과 관련해서는 개호(돌봄)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문제의식을 최초로 가장 명료하게 내걸었던 것은 아마도 가노 미키요 씨 등이 참여한 `여자들의 현재를 묻는 모임'이었습니다. 『총후사 노트』라는 표제를 가진 이 모임 기관지의 창간호 권두에는 `간행에 즈음하여'라는 글이 게재되었는데, 여기에서 아래와 같이 모임의 목적의식을 단적으로 드러냈습니다. "어머니들은 분명 전쟁의 피해자였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침략전쟁을 뒷받침하는 `총구 뒤의(銃後)'의 여성들이었습니다. 왜 그럴 수밖에 없었을까. 이 기관지를 통해 그 점을 명확하게 하고 싶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