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분권형 대통령제

분권형 대통령제

(제왕적 대통령의 권력 나누기)

황태연 (지은이)
생각굽기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300원 -10% 0원
1,350원
22,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분권형 대통령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분권형 대통령제 (제왕적 대통령의 권력 나누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91198909527
· 쪽수 : 435쪽
· 출판일 : 2025-04-17

책 소개

권력의 집중과 독식, 이에 기인하는 친위쿠데타의 유혹과 독재 위험을 청산하고 제왕적 권력을 나눠 적대적 대립 투쟁을 배제하고 지역주의와 지역 대결을 완화할 수 있는, 수미일관 민주적인 헌정 제도를 도입해야 할 때다.

목차

머리글 · 7

들어가기/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와 위험성 · 19
◼ 미국과 한국 대통령제의 반복적 자기파괴 •22
◼ 대통령 단임제의 폐해 •25
◼ 미국 대통령의 내치·외치 겸병과 한국과의 차이 •27
◼ 윌슨 미국대통령의 분권형 대통령제 주장 •31
◼ 승자독식과 패자전실의 제로섬게임 •32
◼ 미국 대통령제 헌법의 우연한 순항 •33
◼ 미국 대통령제의 이식과 변질: 제왕적 대통령제 •35
◼ 부동의 구심으로서 국가원수의 필요성 •41

제1절/ 분권형 대통령제의 개념과 서유럽의 경험 · 49
1.1. ‘분권형 대통령제’ 용어의 탄생 •51
1.2. 서유럽 분권형 대통령제의 정의와 개념 •55
1.3. 분권형 대통령제의 역사와 분포현황 •60
1.4. 공화국의 분권형 대통령제와 군주국의 내각제 •72
1.5. 분권형 대통령제의 가변성과 다양성 •74

제2절/ 분권형 대통령제의 한국적 적합성과 개헌안 · 99
2.1.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 방안 •101
2.2. 분권 없는 ‘4년 중임제 개헌’과 책임총리제 문제 •113
⑴ 분권 없는 ‘대통령 4년 중임제 개헌’의 최악성 •113
⑵ 책임총리제의 위헌성과 기만성 •114
2.3. 기타 개헌논제들에 대한 검토와 평가 •116
⑴ 부마항쟁·5·18정신의 헌법전문 삽입 •117
⑵ 결선투표제 도입 •117
⑶ 수도首都 문제와 양경제兩京制 도입 •118
⑷ 토지공개념? 그 위험성과 불필요성 •124
⑸ 정·부통령제 도입 •130
⑹ 양원제? •130
⑺ 헌법적 의무 조항의 개념적 선명화 •132
⑻ 헌법재판소의 확대개편 •133
⑼ 대통령당선자 지위에 대한 규정 신설 •143
⑽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용어 바로잡기 •144
⑾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 •145

제3절/ 대한민국헌법과 유럽 분권형 대통령제 헌법 · 149
3.1. 대한민국헌법(국문 + 영역문) •151
3.2. 프랑스헌법(국역문 + 영역문) •196
3.3. 오스트리아헌법(독어원문 + 국역문) •250
3.4. 핀란드헌법(국역문 + 영역문) •323
3.5. 이탈리아헌법(국역문 + 영역문) •379

참고문헌 · 432

저자소개

황태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과 대학원에서 <헤겔에 있어서의 전쟁의 개념>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1991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교에서 <지배와 노동(Herrschaft und Arbeit)>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1994년 동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초빙되어 30년 동안 동서양 정치철학과 정치사상을 연구하며 가르쳤다. 그러다 2022년 3월부로 명예교수가 되었다. 그는 지금도 동국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강의를 계속하며 집필에 매진하고 있다. 그는 근 반세기 동안 동서고금의 정치철학과 제諸학문을 폭넓게 탐구하면서 동·서양 정치철학과 정치사상, 그리고 동서통합적 도덕·정치이론에 관한 연구에 헌신해 왔다. 그는 반세기 동안 총 87권(저서 49부작 75권+역서 12권)의 책을 썼다. 그는 서양정치 분야의 연구서로 Herrschaft und Arbeit im neueren technischen Wandel(최신 기술변동 속의 지배와 노동, Frankfurt/Paris/New York: 1992), <환경정치학>(1992), <포스트사회론과 비판이론>(공저, 1992), <지배와 이성>(1994), <분권형 대통령제 연구>(공저, 2003), <계몽의 기획>(2004), <서양 근대정치사상사>(공저, 2007), 그리고 본서 <서양 경험론과 정치철학>의 연작에 속하는 <베이컨에서 홉스까지>(2024), <로크에서 섀프츠베리까지>(2024), <데이비드 흄에서 다윈까지>(2024) 등 여러 저서를 출간했다. 동서통합적 연구서로는 <감정과 공감의 해석학(1, 2)>(2014-15)과 <패치워크문명의 이론>(2016)을 냈고, 2023-24년에는 <놀이하는 인간>(2023), <도덕의 일반이론(상·하)>(2024), <정의국가에서 인의국가로(상·하)>(2025), <예술과 자연의 미학>(2025) 등을 출간했다. 공자철학과 공자철학의 서천西遷에 관한 연구서로는 <실증주역(상‧하)>(2008), <공자와 세계(1-5)>(2011), <공자의 인식론과 역학>(2018), <공자철학과 서구 계몽주의의 기원(1-2)>(2019), <근대 영국의 공자숭배와 모럴리스트들(상·하)>(2020·2023), <근대 프랑스의 공자열광과 계몽철학>(2020·2023), <근대 독일과 스위스의 유교적 계몽주의>(2020·2023), <공자와 미국의 건국(상·하)>(2020·2023), <유교적 근대의 일반이론(상·하)>(2021·2023) 등을 냈다. 그리고 <공자의 자유·평등철학과 사상초유의 민주공화국>(2021)에 이어 <공자의 충격과 서구 자유·평등사회의 탄생(1-3)>(2022)과 <극동의 격몽과 서구 관용국가의 탄생>(2022), <유교제국의 충격과 서구 근대국가의 탄생(1-3)>(2022) 등을 연달아 공간했다. 공자 관련 저서는 15부작 전29권이다. 한국정치철학 및 한국정치사·한국정치사상사 분야로는 <지역패권의 나라>(1997), <사상체질과 리더십>(2003), <중도개혁주의 정치철학>(2008), <조선시대 공공성의 구조변동>(공저, 2016), <대한민국 국호의 유래와 민국의 의미>(2016), <갑오왜란과 아관망명>(2017), <백성의 나라 대한제국>(2017), <갑진왜란과 국민전쟁>(2017), <한국 근대화의 정치사상>(2018), <일제종족주의>(공저, 2019·2023), <사상체질, 사람과 세계가 보인다>(2021·2023), <대한민국 국호와 태극기의 유래>(2023), <한국 금속활자의 실크로드>(2022)와 <책의 나라 조선의 출판혁명(상·하)>(2023), <창조적 중도개혁주의>(2024) <사상가 김대중>(편저, 2024)등 여러 연구서를 냈다. 해외로 번역된 저자의 책으로는 중국 인민일보 출판사가 <공자와 세계> 제2권의 대중보급판 <공자, 잠든 유럽을 깨우다>(2015)를 중역中譯·출판한 <孔夫子與歐洲思想啟蒙>(2020)이 있다. 최근 저자는 <서양 합리론과 정치철학> 연작 6권의 집필을 마치고, 이어서 <공감적 해석학과 공감장의 이론> 원고를 방금 탈고했다. 현재 저자는 이 책들을 집필하느라 한동안 중단했던 ‘100년 한국현대사’의 연구로 다시 돌아갔다. 2018년부터 유튜브 “황태연아카데미아”를 통해 위 저서들과 관련된 대학원 강의를 시청할 수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 대통령제에서 제일 먼저 유의해야 할 제도적 결함은 미국 대통령제와 공통된 것으로서 대통령이 국가수반(국가원수)직과 행정수반직을 혼자 겸직함으로써 외정권과 내정권, 비상시의 권력과 평시의 권한을 둘 다 겸병한다는 것이다. 해님이 달님의 일까지 하거나 바깥양반이 안사람의 가사 결정·운영권까지 빼앗아 겸병하는 것으로 비유될 수 있는 미국식 대통령제의 이 제도적 결함은 본질적으로 상이한 두 권한의 제도적 충돌, 즉 대통령의 (초당파적이어야 할) 국가수반직과 (당파적일 수밖에 없는) 정부수반직 간의 지위 충돌이다.


한국의 적대적 정당 투쟁과 이로 인한 국민 분열 등 사분오열 현상은 선거구마다 최다득표자 1명을 국회의원으로 뽑는 소선거구제와 ‘제왕적 대통령제’에서 비롯된 것이다. 대통령 선거와 마찬가지로 승자독식과 패자전실의 결과를 초래하는 선거제도와 결합된 제왕적 대통령제는 세력 간 권력분점을 배제하고 승자와 패자 간의 권력 격차를 ‘100 대 0’으로 확대해 놓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승자독식과 패자전실에 귀인歸因하는 험악한 적대적 정당 갈등과 정국 마비는 소선구제와 대통령제를 동시에 채택한 미국·프랑스·한국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다. 영국·독일·일본에서 선거는 소선구제를 택했더라도 대통령 선거가 없기 때문에 조용하게 진행된다. 대통령도 없고 비례대표 대선거구제를 택한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선거와 정치도 아주 조용한 편이다. 프랑스처럼 분권형 대통령제를 택하고 노르웨이와 스웨덴처럼 비례대표 대선거구제를 택한 핀란드의 선거는 더 조용하게 치러지고 정치도 더 조용하다. 지역 대결과 중첩되어 가열되는 적대적 정치투쟁은 소선거구 제도의 폐지와 함께 이 제왕적 대통령제의 혁파 없이 결코 퇴치될 수 없다.


가령 경제위기와 남북 관계 위기가 동시에 닥치는 시점에 현행 헌법 아래에서라면 한국 대통령은 본질이 서로 다른 두 위기를 동시에 대처해야 한다. 이때 제왕적 대통령은 둘 중 하나를 실패하거나 둘 다 실패할 확률이 높다. 두 위기를 동시에 상대해야 하는 제왕적 대통령과 반대로 분권형 대통령은 안보·대북 문제에만 전념하면 되는 한편, 총리는 내정에 속하는 경제문제에만 전념하면 된다. 특히 핀란드처럼 주변 강대국과의 외교·군사 관계에 나라의 존망이 결린 반도국가인 한국에서 대통령이 외교·국방·안보 업무 및 민족 교류 업무와 위기관리 업무에만 전념하는 것은 절체절명의 필요 사항이다. 이런 의미에서 외교와 국방을 대통령의 ‘전업專業’으로 만드는 분권형 대통령제는 영원히 변치 않을, 대륙 세력과 해양 세력에 둘러싸인 반도국가의 지정학적 위상 때문에 통일 이후에도 여전히 타당한 정부제도일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