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하지 않을 용기

일하지 않을 용기

(일해야 산다는 강요에 맞서는 사람들)

데이비드 프레인 (지은이), 장상미 (옮긴이)
끌리는책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하지 않을 용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하지 않을 용기 (일해야 산다는 강요에 맞서는 사람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노동문제
· ISBN : 9791198939746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5-05-16

책 소개

영국의 사회학자 데이비드 프레인은 이 책을 통해 일이 중심이 된 자본주의 사회 구조 자체를 날카롭게 비판한다. 일의 도덕화, 비노동자에 대한 낙인, 노동윤리라는 이름으로 강요되는 규범들이 어떻게 우리 삶을 갉아먹는지 그리고 그 속에서 우리가 얼마나 쉽게 ‘존재’보다 ‘생산’을 우선시하게 되었는지를 해부한다.
“일하지 않는 삶,
그건 게으름이 아니라 용기다!”

일에서 벗어난 사람들 그리고 그들이 되찾은 진짜 ‘나의 시간’에 대하여!

“일이 없어도 괜찮은 삶은 가능한가?”


우리는 삶의 절반 이상을 일터에서 보낸다. 일찍 일어나 출근하고, 피로를 안고 퇴근하며, 남은 시간에는 일에 지친 몸을 회복하려고 다시 시간을 쓴다. 언젠가부터 ‘일을 잘하는 사람’이 아니면 쓸모없는 사람 취급을 당한다. 일이 없으면 죄책감을 느끼고, 일이 있어도 행복하지는 않다. 왜 이렇게까지 일해야 하는 걸까?
《일하지 않을 용기》는 이 물음에 정면으로 응답하는 책이다. 영국의 사회학자 데이비드 프레인은 이 책을 통해 일이 중심이 된 자본주의 사회 구조 자체를 날카롭게 비판한다. 일의 도덕화, 비노동자에 대한 낙인, 노동윤리라는 이름으로 강요되는 규범들이 어떻게 우리 삶을 갉아먹는지 그리고 그 속에서 우리가 얼마나 쉽게 ‘존재’보다 ‘생산’을 우선시하게 되었는지를 해부한다.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는 사람이 많은데, 일하지 말라고?”
이 책의 제목만 보고 이렇게 판단하면 절대 안 된다. 이 책은 단순히 ‘왜 일해야 하는지’ 묻는 것이 아니라, 일하는 것밖에 허락하지 않는 이 사회에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우리 사회는 오랫동안 일하는 사람들에게 효율과 성과를 강조해왔다. 열심히 일해야 잘 사는 것이고, 성공하는 것이고, 사회에서 인정받는다고 배우고 가르쳤다. 저자는 이제 ‘왜 일하는지’를 다시 물어야 할 때이며, 이 질문은 일의 개념을 묻는 동시에 일하는 사람들의 삶을 되돌아보는 일이며, 진짜 나다운 삶의 조건과 가치를 찾는 과정이라고 한다. 더 이상 일에 지배당하지 않고 내 시간과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무엇을 위해 일할 것인가’, ‘삶의 진짜 목적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회피하지 말라고 말한다. 무엇보다 우리의 소중한 시간을 ‘생존’이 아닌 ‘살아 있음’을 위한 활동으로 되돌릴 수 있는 정치적 상상력을 되찾으라고 제안한다.

“정상적인 삶에 반기를 든 사람들”

우리는 어릴 때부터 ‘무엇이 되고 싶니?’라는 질문을 받으며 살아왔고, 그 질문은 점점 ‘무슨 일을 하고 있니?’로 변해간다. 내가 ‘하는 일’이 곧 ‘나’라고 믿으며 살아간다. 우리는 또 “무언가 생산하지 않으면 존재 가치가 없다.”는 압박 속에서 살고 있다. 더 오래, 더 열심히 일해야 한다는 사회의 명령은 때로는 삶의 의미마저 앗아가기도 한다. 저자는 이런 믿음을 단호하게 해체하면서, ‘일하지 않으면 무가치하다’는 사회적 통념을 과감하게 뒤흔든다. 단지 일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청년 실업자, 전업주부, 경력단절자, 은퇴자, 돌봄 노동자들을 사회적 무가치자로 분류하는 ‘노동 중심 사회’에 문제를 제기하고 비판하며 ‘일하지 않아도 우리는 충분히 존재할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 감정노동, 자아 정체성 위기, 계층 간 탈노동 불균형 문제, 노동시간 단축과 노동의 가치에 대해서도 폭넓게 조명한다.
일하지 않는 삶(노동을 거부한 삶)을 실천하는 사람들-갑자기 퇴사한 중산층 남성, 파트 타임으로 생계를 꾸리는 여성, 공동체 생활을 선택한 청년들, 실업 상태를 부끄러워하지 않는 자발적 은퇴자들-의 삶과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일하지 않는 삶이야말로 새로운 가능성의 시작임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노동을 거부하는 사람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자율성, 공동체, 여유, 사유를 삶의 중심에 되돌려놓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하나다. ‘일하지 않기로 선택했다’는 점! 그리고 그 선택이 단순한 회피가 아닌, 삶에 대한 적극적인 재설계였다는 점이다.

“삶의 전환을 위한 용기”

가족 부양하고, 경력 쌓고, 집 사고, 은퇴 계획하는 사람들에게 ‘일하지 않는 삶’은 한없이 낯설고 비현실적일 수 있다. 일하지 않으면 최소한의 생존도 보장되지 않는 빈곤층에게는 사치스러운 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저자는 “지금 당신이 느끼는 피로와 허무감, 번아웃은 단지 노력 부족이 아니라 사회 구조의 문제”라고 말한다. 그 구조에 순응하는 게 반드시 옳은 길이 아니고, 그래서 사회적 논의와 합의가 필요하고, 정치적 대안과 장치, 제도도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일하지 않는 삶도 인정하고 보장해주는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해야 할 일도 많다고 말한다. 우리가 지금껏 해온 모든 선택을 부정하자는 것이 아니라, 일 밖의 삶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면, 우리 삶은 그 순간부터 훨씬 더 넓고 유연해지고 사회 역시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향으로 개인의 삶을 질적으로 바꿔줄 것이라고….

*《일하지 않을 용기》는 2015년 영국에서 출간된 후 전 세계에서 주목을 받았고, “왜 우리는 일을 해야 하는가?”라는 불편하지만 본질적인 질문을 정면으로 던졌다. 코로나19 이후 ‘일-삶-소득-자아’의 경계가 무너진 지금, 이 책은 현재를 살아가는 독자들에게 다시 일의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2017년 ‘일하지 않을 권리’로 번역되었다가 절판된 후, 이번에 새롭게 번역해 《일하지 않을 용기》로 출간되었다.

목차

서문 왜 이렇게까지 일해야 하나?
책의 구성

1장 일이 정말 우리를 행복하게 할까?
일이 중심인 사회
일이란 무엇인가
노동의 탄생
노동의 종말
노동시간의 사회적 분배

2장 일이 괴로운 사람들
분리와 무관심
감정노동의 괴로움
자율적으로 일하기의 어려움

3장 내가 하는 일이 나라는 착각
자유시간
고용 가능성이라는 압박
소비라는 복음

4장 일하지 않을 용기
비노동자 악마화하기
일이 약이라는 믿음
일에 대한 저항

5장 회사를 떠난 사람들, 진짜 삶을 시작하다
산타클로스여, 안녕
형편없는 일자리
작은 이상향
망가진 몸
쓸모의 윤리

6장 덜 벌어도, 더 자유롭게
불편한 즐거움
만끽하는 즐거움
생산적 즐거움

7장 일하지 않는 나, 괜찮을까?
실업자라는 낙인
끔찍한 질문
단절과 지지

8장 일하지 않아도 괜찮은 세상은 가능할까?
노동시간의 인간화를 향해
토론하고, 연대하고, 투쟁하고, 상상하자

감사의 말
미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데이비드 프레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에서 일과 복지의 미래를 연구하는 사회학자로, 카디프대학교와 뉴욕대학교, 케임브리지대학교를 거쳐 현재 솔퍼드대학교(University of Salford)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자율의 정치, 실업 및 불안정 노동, 기본소득, 노동시간 단축, 돌봄노동의 사회적 조직화 등이다. 2015년에 《The Refusal of Work》(Zed Books)를 출간했고, 2019년에는 공저자 및 편집자로서 《노동치유(The Work of Cure)》(Monmouth:PCCS) 출간에 참여했다. 2024년에는 케임브리지대학교의 브렌던 버첼 교수(Brendan Burchell)와 함께 진행한 ‘주 4일 노동을 통한 생산성 및 행복도 향상(Improving productivity and wellbeing with a four-day working week)’ 연구로 영국 경제사회연구위원회(Economic and Social Research Council, ESRC)에서 수여하는 “Celebrating Impact Prize 2024”의 ‘기업 영향력 부문 우수상(Outstanding Business and Enterprise Impact)’을 수상했다.
펼치기
장상미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학원에서 시민사회 운동을 공부했고 시민단체에서 상근 활동가로 일하며 출판 번역을 시작했다. 사회운동, 생태, 인권에 관한 저작을 주로 다룬다. 최근 옮긴 책으로 《망가지기 쉬운 영혼들》 《헬렌 켈러》 《휴식은 저항이다》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사회의 생산성이 극도로 발달했는데도 여전히 사람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일하며 보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뭘까? 일의 목적은 무엇이며, 만약 우리가 대부분의 시간을 일하는 데 보내지 않아도 되는 시대가 온다면 일 외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시민들이 상업적 부를 생산하지도 소비하지도 않는 자유시간은 자본주의에서는 아무 쓸모가 없다. 자본주의는 자유시간에도 사익이 창출되기를 바라기 때문에, 예전부터 늘 생산성 향상으로 확보된 시간을 낚아채어 추가 노동을 창출하도록 되먹이는 식으로 대응해왔다. 이런 노동은 비생산적이고 환경 파괴적이며 상업적 활동의 영역을 사적인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밀어 넣는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