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과학 일반
· ISBN : 9788901058351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06-06-30
책 소개
목차
첫 번째 이야기 - 빛이란 무엇인가요?
빛이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빛은 알갱이인가요, 파동인가요?
빛으로 양분을 만든다고요?
빛보다 빠른 것은 없나요?
광년은 시간을 재는 단위인가요, 거리를 재는 단위인가요?
후이칠로포틀리가 무엇인가요?
무지개는 어떻게 생기나요?
무지개를 만들어요
번개의 불빛과 석영등의 불빛은 어떻게 다른가요?
색깔은 어떻게 나타나는 걸까요?
녹색 허깨비 그림자를 만들어요
빛의 밝기는 어떻게 나타내나요?
두 번째 이야기- 집 밖의 불빛들
낮과 밤은 왜 생길까요?
가로등은 어떻게 발전해 왔나요?
절약형 가스등-가스등은 어떻게 개선되었나요?
세계 최초의 전깃불인 아크등은 어떻게 불빛을 내나요?
가로등은 우리의 일상생활을 어떻게 바꾸었나요?
빛 공해란 무엇인가요?
경기장은 어떻게 밤에도 대낮처럼 환할 수 있나요?
왜 상점들은 밤에도 화려하게 불을 밝힐까요?
세 번째 이야기- 집 안의 불빛들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불을 밝혔을까요?
물속에서도 초가 탈까요?
옛날에는 누가 초를 만들었나요?
백열전구는 어떤 얼개로 되어 있나요?
빛을 설계한다는 것은 어떤 일인가요?
조명용 빛 말고 다른 빛도 있나요?
성냥은 어떻게 발달해 왔나요?
사람들은 왜 요즘에도 촛불을 켤까요?
공연장에서 조명은 어떤 효과를 발휘하나요?
네 번째 이야기-신호가 되어 주는 불빛
불빛이 신호가 될 수 있나요?
LED가 무엇인가요?
레이저광선검을 진짜로 만들 수 있나요?
경찰차는 왜 번쩍거리며 달려가나요?
다섯 번째 이야기-아주 어두운 곳을 밝히는 불빛
불빛이 안전을 지켜 주기도 하나요?
몸속을 밝히는 불빛도 있나요?
여섯 번째 이야기-빛과 그림자
그림자로 연극을 한다고요?
도깨비불은 상상 속의 불인가요?
해시계를 만들어 보세요!
추운 곳에서도 햇빛 때문에 화상을 입을 수 있나요?
일곱 번째 이야기-자연에서 생기는 빛
해파리는 왜 빛을 낼까요?
반딧불이는 왜 불빛을 낼까요?
고양이 눈과 야간 반사경은 무엇이 비슷한가요?
오로라는 어떻게 해서 생기나요?
옮긴이의 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도깨비불은 머릿속에만 있는 상상의 불일까요? 아닙니다. 도깨비불은 정말 있습니다. 이 사실을 처음으로 밝힌 사람은 독일의 천문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입니다.
베셀은 1807년 어느 더운 여름날, 독일 브레멘 시 외각 어느 늪지대에서 별자리를 관측하고 있었습니다. 달도 뜨지 않은 아주 깜깜한 밤이었는데 그는 주변에서 푸른색 빛이 감도는 불꽃들이 일렁거리며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그는 그 불꽃의 정체를 밝히려고 노력했습니다. -본문 143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