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김성곤의 한시산책

김성곤의 한시산책

(자연에 기대어 漢詩의 숲에 노닐다)

김성곤 (지은이)
에피스테메(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220원
19,5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840원 -10% 790원 13,460원 >

책 이미지

김성곤의 한시산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김성곤의 한시산책 (자연에 기대어 漢詩의 숲에 노닐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세계의 문학 > 중국문학
· ISBN : 9788920042362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2-01-05

책 소개

노래하듯 한시를 음송하는 기법으로 한시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중문학자 김성곤 교수의 한시 안내서. 우리에게도 익숙한 두보, 이백, 왕유 등 유명한 옛 시인들의 한시를 소개하고, 작가의 삶을 스토리로 재구성해서 들려주고 있어 한시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쉽게 다가갈 수 있다.

목차

머리말 … 06
초대의 글 – 한시의 쉼터 … 10

1부 한시 만필
1.1 이백의 〈산중문답山中問答〉 … 20
1.2 두보의 〈춘야희우春夜喜雨〉 … 26
1.3 왕유의 〈죽리관竹裏館〉 … 35
1.4 이백의 〈행로난行路難〉 … 43
1.5 두보의 〈망악望嶽〉 … 50
1.6 왕유의 〈종남별업終南別業〉 … 57
1.7 이백의 〈월하독작月下獨酌〉 … 66
1.8 두보의 〈방병조호마房兵曹胡馬〉 … 76
1.9 왕유의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 … 84
1.10 이백의 〈조발백제성早發白帝城〉 … 97
1.11 두보의 〈월야月夜〉 … 107
1.12 왕유의 〈산거추명山居秋暝〉 … 118
1.13 이백의 <증왕윤贈汪倫> … 128
1.14 두보의 <강남봉이구년江南逢李龜年> … 136

2부 한시 만담
2.1 이백의 <장진주將進酒>와 <행로난行路難> … 154
2.2 천년비책, 한시를 다시 읽다 … 171
2.3 한시로 전하는 위로 … 189
2.4 우기충천牛氣衝天! 흰 소가 온다 … 203
2.5 시성 두보, 호연지기로 슬픔을 위로하다 … 213
2.6 장강삼협기행長江三峽紀行 … 244

3부 한시 만유
3.1 강남 만유 … 276
3.2 호북 만유 … 298
3.3 금강 만유 … 316
3.4 한라 만유 … 324

저자소개

김성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중국 고전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두보, 이백, 도연명 등의 중국 문학 외에도 공맹과 노장을 비롯한 동양사상, 《사기》 《한서》 등 사서까지 근 30년간 한결같이 인문고전 연구를 지속해왔고, 그 결과물을 보다 많은 이와 공유하기 위해 저술과 방송 및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2013년부터 현재까지 10여 년간 기업의 리더와 중역들로부터 뜨거운 지지와 찬사를 받아온 SERICEO 명강의 ‘리더의 옥편’을 《리더의 옥편》으로 펴냈으며, 《정본완역 두보전집》의 역해 작업에도 참여했다. 2011년부터 9년여 동안 진행한 EBS 〈세계테마기행 – 중국한시기행〉을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장강·황하 편),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 2》(강남·유배길 편)으로 엮었다. 이외에 《김성곤의 한시산책》, 《중국인문기행》, 《중국명시감상》, 《중국명문감상》(공저) 등을 썼다.
펼치기

책속에서

다양한 휴식의 공간 중 한 곳으로 한시를 제안한다. 혹여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와서 이 한시의 그늘에서 쉼을 얻기를 바란다. 특히 대도시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꼭 와주었으면 하는 생각이 간절하다. 그들에게 한시는 아주 적합한 휴식 공간으로서 역할을 해줄 것이기 때문이다. 대도시의 생활은 속도 숭배와 자연 상실로 요약될 것이다. 속도를 추구하면 피곤해지기 쉽다. 과속에는 긴장이 따르기 때문이다. 그 긴장으로 인한 피로를 적당한 때에 풀어주지 않으면 바로 병이 되는 법이다. 과속으로 인한 피로를 푸는 방법은 그 속도를 줄이는 데 있다. 그리고 속도를 줄이는 방법은 속도가 느린 공간으로 들어가는 일이다. 그게 바로 자연이다. 자연은 속도가 느리다. 강물이 바쁘다고 서둘러 흐르는 법이 없고, 산이 급하다고 계절을 재촉하지 않는다. 태초의 속도 그대로 고요하게 그 자리를 지키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자연 속에 머물면 절로 그 전체적인 느린 속도에 우리의 호흡과 생각의 리듬이 맞춰진다. 느려진 삶의 속도 속에서 우리의 심신은 휴식을 얻는 것이다.
- 초대의 글


농사꾼에게 봄날 가장 긴요한 것이 무엇이겠는가. 예나 지금이나 다를 것 없으려니 바로 때맞춰 내리는 ‘봄비’가아니겠는가. 마침 애타게 기다리던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참으로 고마운 비이다. 처음 두 구절은 이 때맞춰 내리는 비를 의인화하여 표현한 것으로 ‘호우’에 대한 반갑고 고마운 마음을 여실하게 드러낸다. 비라고 다 좋은 비가 아니다. ‘호우’는 ‘시절을 안다’. 자신이 내려야 할 때인지 아닌지를 분별할 줄 아는 비가 바로 ‘호우’이다. 내리지 말아야 할 때 내리는 비는 ‘폭우’이거나 ‘악우惡雨’일 뿐이다. 사람이라고 별반 다르지 않다. 나설 때와 나서지 말아야 할 때를 가릴 줄 아는 사람이 참 좋은 사람 아닌가. 만물이 싹을 틔울 준비하는 시절, 수분이 가장 절실하게 필요한 때에 알아서 내리는 비. 그런데 이 비가 언제 내리는가? 바람을 타고 밤에 들어온다. 그리고 만물을 촉촉이 적시는데 너무 가늘어서 소리조차 없다. 태평한 시절에 내리는 봄비는 꼭 밤에 온다고 했다. 낮에 바깥에서 일하는 농부들을 배려해서 밤에 내리는 것이다. 이 정도 되면 ‘호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인우仁雨’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참으로 어진 비이다.
- 1.2 두보의 〈춘야희우春夜喜雨〉


이백이 노래한다.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황하의 물이 하늘로부터 내려와 미친 듯 흘러 바다로 가서는 다시 돌아오지 못함을.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대갓집 밝은 거울 속, 아침에 푸른 실 같던 머리칼이 저물녘 흰 눈처럼 하얗게 됐다네. 인생은 득의하면 즐겨야 하는 법, 달빛이 빈 잔에 부서지게 해서는 안 될 것이라.” 호탕한 이백의 노래가 밤공기를 가르며 멀리 메아리친다. 달이 웃는다. 그의 웃음을 따라 천하가 잠시 더욱 밝아진다. 갑자기 이백이 일어나 검을 빼어들고 춤을 추기 시작한다. 그림자도 그와 함께 덩실덩실 춤을 춘다. 춤사위가 격렬해지면서 이백이 허물어지듯 외친다. “황하를 건너자 했더니 얼음장이 가로막고, 태항산을 오 르고자 했더니 눈이 산에 가득하네. 내 앞길을 막는 무리들이여! 내 꿈을 걷어차는 세상이여!” 흐느끼는 듯, 하소연하는 듯, 원망하는 듯 이백의 노래와 춤이 끝없이 이어진다.
- 1.7 이백의 〈월하독작月下獨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20043963